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10-21 23:56
[기타경제] 역대 선진국 1만불/2만불/3만불 돌파시점 (IMF)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2,520  

<역대 주요 선진국 1만불/2만불/3만불 돌파시점> (IMF 역대 국민소득 현황)




IMF에 1980년 기록부터 남아있어 1980년 전에 이미 1만불을 돌파한것으로 보이는 나라들도 많으나 


1980년 이전은 기록확인이 불가해 1980년으로 기록하겠습니다. 

(1980년으로 표기된 나라들은 이미 70년대에 1만불을 돌파한 선진국들입니다) 





* 대한민국 (1만불 돌파 - 1994년) (2만불 돌파 - 2006년) (3만불 돌파 - 2018년) 





1. 호주 (1만불 돌파 - 1980년) (2만불 돌파 - 1995년) (3만불 돌파 - 2004년) 

2. 오스트리아 (1만불 돌파 - 1980년) (2만불 돌파 - 1990년) (3만불 돌파 - 2003년)  

3. 벨기에 (1만불 돌파 - 1980년) (2만불 돌파 - 1990년) (3만불 돌파 - 2003년)  

4. 캐나다 (1만불 돌파 - 1980년) (2만불 돌파 - 1989년) (3만불 돌파 - 2004년)  

5. 덴마크 (1만불 돌파 - 1980년) (2만불 돌파 - 1987년) (3만불 돌파 - 1994년) 

6. 핀란드 (1만불 돌파 - 1980년) (2만불 돌파 - 1988년) (3만불 돌파 - 2003년)  

7. 프랑스 (1만불 돌파 - 1980년) (2만불 돌파 - 1990년) (3만불 돌파 - 2003년) 

8. 독일 (1만불 돌파 - 1980년) (2만불 돌파 - 1990년) (3만불 돌파 - 1995년) 

9. 그리스 (1만불 돌파 - 1991년) (2만불 돌파 - 2004년) (3만불 돌파 - 2008년) 

10. 아이슬란드 (1만불 돌파 - 1980년) (2만불 돌파 - 1987년) (3만불 돌파 - 1998년) 

11. 아일랜드 (1만불 돌파 - 1988년) (2만불 돌파 - 1996년) (3만불 돌파 - 2002년) 

12. 이스라엘 (1만불 돌파 - 1988년) (2만불 돌파 - 2000년) (3만불 돌파 - 2010년)

13. 이탈리아 (1만불 돌파 - 1986년) (2만불 돌파 - 1990년) (3만불 돌파 - 2004년)  

14. 일본 (1만불 돌파 - 1981년) (2만불 돌파 - 1987년) (3만불 돌파 - 1992년)  

15. 룩셈부르크 (1만불 돌파 - 1980년) (2만불 돌파 - 1987년) (3만불 돌파 - 1990년)  

16. 네덜란드 (1만불 돌파 - 1980년) (2만불 돌파 - 1990년) (3만불 돌파 - 2003년) 

17. 뉴질랜드 (1만불 돌파 - 1987년) (2만불 돌파 - 2003년) (3만불 돌파 - 2007년) 

18. 노르웨이 (1만불 돌파 - 1980년) (2만불 돌파 - 1987년) (3만불 돌파 - 1992년)  

19. 스페인 (1만불 돌파 - 1989년) (2만불 돌파 - 2003년) (3만불 돌파 - 2007년)  

20. 스웨덴 (1만불 돌파 - 1980년) (2만불 돌파 - 1987년) (3만불 돌파 - 1991년)  

21. 스위스 (1만불 돌파 - 1980년) (2만불 돌파 - 1986년) (3만불 돌파 - 1988년)

22. 영국 (1만불 돌파 - 1980년) (2만불 돌파 - 1990년) (3만불 돌파 - 2003년) 

23. 미국 (1만불 돌파 - 1980년) (2만불 돌파 - 1987년) (3만불 돌파 - 1997년)  








<주요 24개 선진국 2만불 -> 3만불 돌파까지 걸린 시간> (최단기간 순) (IMF 역대 국민소득 현황) 



* 현재 고소득 선진국의 대략적인 기준점으로 보는 3만불 돌파까지 

2만불 돌파에서 3만불 돌파까지 선진국이 그동안 걸린 시간 



1. 스위스 (2년)

2. 룩셈부르크 (3년) 

3. 스페인, 스웨덴, 그리스, 뉴질랜드 (4년)

4. 독일, 일본, 노르웨이 (5년) 

5. 아일랜드 (6년) 

6. 덴마크 (7년) 

7. 호주 (9년)

8. 미국, 이스라엘 (10년) 

9. 아이슬란드 (11년) 

10. 대한민국 (12년) 

11.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벨기에 (13년) 

12. 이탈리아 (14년)

13. 캐나다, 핀란드 (15년)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멀리뛰기 21-01-02 14:54
   
[기타경제] 역대 선진국 1만불/2만불/3만불 돌파시점 (IMF)  잘 보았습니다.
멀리뛰기 21-01-08 14:42
   
[기타경제] 역대 선진국 1만불/2만불/3만불 돌파시점 (IMF) 잘 봤습니다.
 
 
Total 16,508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7777
3883 [기타경제] 美,중국 정보기관 요원 등 10명 기소…항공 엔진기술 탈… (3) 굿잡스 10-31 2055
3882 [전기/전자] 미국의 '하이테크 봉쇄작전'… 중국 D램 양산 싹 … (7) 굿잡스 10-31 3226
3881 [과학/기술] `태양광`으로 달리는 쏘나타…현대·기아차, 솔라시스템 … (6) 진구와삼숙 10-31 1855
3880 [기타경제] 이베리아 반도 양대 선진국 [스페인 - 포르투갈] 경제 (2) 스크레치 10-30 2955
3879 [전기/전자] ‘전자산업의 쌀’ MLCC 호황에 증설 경쟁 (15) 스크레치 10-30 3590
3878 [과학/기술] 천연가스에 풍부한 메탄 자원화…촉매기술 구현 (4) 진구와삼숙 10-30 2230
3877 [과학/기술] KAIST, 인터넷 속도 느려도 유튜브서 고화질 영상 감상할 … (8) 진구와삼숙 10-30 2737
3876 [금융] [단독] 4대 은행 글로벌 순익 1조 돌파한다..사상최초 (4) 설설설설설 10-30 2167
3875 [기타경제] 美, 중국 국유 반도체회사와 거래 금지령 (16) 굿잡스 10-30 3308
3874 [전기/전자] 삼성디스플레이, QD-OLED 라인 국산장비 비중 확대 (12) 스크레치 10-30 2596
3873 [전기/전자] 삼성전자 파운드리 올해 세계 2위 유력..'메모리 다음… (13) 번개머리 10-30 3195
3872 [기타경제] 대한민국에 국민소득을 역전당한 나라들 (연도순) (5) 스크레치 10-29 5046
3871 [잡담] 국내 초대형 IB들, 아시아 시장서 몸집불리기 경쟁 (5) 4457205 10-29 3419
3870 [기타경제] 중진국 함정에서 헤어나오지 못하는 나라들 (30) 스크레치 10-28 4911
3869 [전기/전자] 반도체 업계, 미국 월가의 '반도체 고점론' 반박 (5) 귀요미지훈 10-28 3282
3868 [전기/전자] 대만, 2019년 세계 반도체 업황 긍정적 전망 (3) 귀요미지훈 10-28 2777
3867 [전기/전자] TV 및 디스플레이 세계시장 현황 (8) 귀요미지훈 10-28 2689
3866 [전기/전자] 중국 꿇어! TV에선 삼성·LG가 지존 (22) 스크레치 10-28 3716
3865 [기타경제] 반도체 고점론 '무색'…3분기 반도체 판매 역대 … (9) 굿잡스 10-28 3049
3864 [기타경제] 선진국 라이벌 대한민국 vs 이탈리아 1인당 국민소득 변… (14) 스크레치 10-26 6252
3863 [전기/전자] LG화학은 전기차배터리 관련해서 자신감이 넘치나보네요 (13) 설설설설설 10-26 3720
3862 [기타경제] 선진국 3만불 돌파까지 걸린 시간 (2만불 -> 3만불까지) (13) 스크레치 10-26 2690
3861 [기타경제] 한국, 국가브랜드 가치 2조 달러…세계 10위 (9) 스크레치 10-25 4496
3860 [과학/기술] 휴대폰이나 노트북 배터리 용량 2배 이상 늘어난다 (10) 귀요미지훈 10-25 3377
3859 [기타경제] 中, 무역전쟁 확산 막으려 트럼프 아이폰 도청 (12) 귀요미지훈 10-25 3526
 <  501  502  503  504  505  506  507  508  509  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