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10-21 12:20
[전기/전자] 삼성전자 서버 D램도 '초격차'..세계 4위 난야는 생산 축소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4,600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675702







삼성전자는 이번에 세계 최초로 256GB 서버용 D램 개발하면서 세계를 놀라게 해..

기술로 봤을때 삼성전자가 경쟁사에 비해 두발자국 이상 더 앞서 있다는 의미 





<삼성전자의 서버용 D램 수준> 


1. 삼성전자 256GB 서버용 D램 내놓음 -> 다른 반도체회사 64GB 수준에 머물러 있어 

2. 서버용 D램은 막대한 데이터를 고속으로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완전한 성능이 뒷받침되어야 함 





<2018년 1분기 세계 서버용 D램 시장 점유율 순위>


1위 삼성전자 (대한민국) (51%) (33억 900만 달러)

------------------------------- 

2위 SK하이닉스 (대한민국)

3위 마이크론 (미국) 


------------------- 3개 업체 시장점유율 합계 99.8%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크레치 18-10-21 12:21
   
바람노래방 18-10-21 14:40
   
반도체 이 분야는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한국 기업의 독점 체제로 굳어질듯 합니다.
magic 18-10-21 14:50
   
Nanya가 아직도 살아있다는 게 신기!!
     
스크레치 18-10-21 23:46
   
0~1%대 점유율로 존재감 없이 살아만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워낙 매출규모가 적고 동시에 투자규모도 적다보니

기술력 격차가 점점 더 벌어지고



넘사벽인 삼성은 제외하고라도

SK하이닉스와 미국 마이크론이 완벽하게 D램 시장을 장악해버린 상황이라

그들이 또 엄청난 매출과 영업이익을 내면서

다음해에 천문학적인 투자를 진행해서 더 시장을 공고히하고


대만 D램업체는 언제 소멸해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


급기야 D램 시장에서도 기술력이 많이 필요하고 고부가가치인

서버용 D램은 삼성이 50% 이상 장악하고

나머지 2개업체 포함

3개업체가 99.8%라는 말도 안되는 점유율로 시장을 완전 장악한 상황입니다.
     
영종햇살 18-10-23 21:16
   
난야는 디램 전문 생산 업체로 글로벌 디램 매출로는 세계 4위의 점유율 차지.
2018년1분기 매출 6억42백만 달러로 점유율 2.8% 차지.
2018년 2분기 매출 8억26백만 달러로  점유율 3.2% 차지.
간단하게 디램 매출이 하이닉스 디램 매출의 10% 정도 되는 회사입니다.
참고로 하이닉스의 디램 매출은 하이닉스 전체 매출의 80%정도임.
          
영종햇살 18-10-23 21:21
   
2018년 1분기 글로벌 서버 디램 매출 점유율.
삼성 44.6%,  하이닉스 32.3%,  마이크론 23.1%.
3회사 합해서 100%.

2018년 4분기부터 난야도 서버 디램 생산한다고 하는데 결과는 안 나온 상태.
테이로 18-10-22 17:22
   
중국 반도체 궐기는 언제 빛을 볼까요?ㅎㅎㅎㅎ
     
스크레치 18-10-24 14:02
   
만드는것 자체를 못하는데 굴기를 할수가 있을까요?
새끼사자 18-10-22 23:54
   
서버용이라면 사실 가격에 대한 저항감이 적어서 난야같은 업체 것을 사용할 이유가 거의 없지요...일반 사용자들이나 단돈 천원에 이거 살까 저거 살까 하는거지...ㅋㅋㅋㅋㅋ
멀리뛰기 21-01-02 14:54
   
[전기/전자] 삼성전자 서버 D램도 '초격차'..세계 4위 난야는 생산 축소 감사합니다.
멀리뛰기 21-01-08 14:42
   
[전기/전자] 삼성전자 서버 D램도 '초격차'..세계 4위 난야는 생산 축소 감사^^
 
 
Total 16,508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7708
3883 [기타경제] 美,중국 정보기관 요원 등 10명 기소…항공 엔진기술 탈… (3) 굿잡스 10-31 2055
3882 [전기/전자] 미국의 '하이테크 봉쇄작전'… 중국 D램 양산 싹 … (7) 굿잡스 10-31 3226
3881 [과학/기술] `태양광`으로 달리는 쏘나타…현대·기아차, 솔라시스템 … (6) 진구와삼숙 10-31 1855
3880 [기타경제] 이베리아 반도 양대 선진국 [스페인 - 포르투갈] 경제 (2) 스크레치 10-30 2955
3879 [전기/전자] ‘전자산업의 쌀’ MLCC 호황에 증설 경쟁 (15) 스크레치 10-30 3590
3878 [과학/기술] 천연가스에 풍부한 메탄 자원화…촉매기술 구현 (4) 진구와삼숙 10-30 2230
3877 [과학/기술] KAIST, 인터넷 속도 느려도 유튜브서 고화질 영상 감상할 … (8) 진구와삼숙 10-30 2737
3876 [금융] [단독] 4대 은행 글로벌 순익 1조 돌파한다..사상최초 (4) 설설설설설 10-30 2167
3875 [기타경제] 美, 중국 국유 반도체회사와 거래 금지령 (16) 굿잡스 10-30 3308
3874 [전기/전자] 삼성디스플레이, QD-OLED 라인 국산장비 비중 확대 (12) 스크레치 10-30 2596
3873 [전기/전자] 삼성전자 파운드리 올해 세계 2위 유력..'메모리 다음… (13) 번개머리 10-30 3195
3872 [기타경제] 대한민국에 국민소득을 역전당한 나라들 (연도순) (5) 스크레치 10-29 5046
3871 [잡담] 국내 초대형 IB들, 아시아 시장서 몸집불리기 경쟁 (5) 4457205 10-29 3419
3870 [기타경제] 중진국 함정에서 헤어나오지 못하는 나라들 (30) 스크레치 10-28 4911
3869 [전기/전자] 반도체 업계, 미국 월가의 '반도체 고점론' 반박 (5) 귀요미지훈 10-28 3282
3868 [전기/전자] 대만, 2019년 세계 반도체 업황 긍정적 전망 (3) 귀요미지훈 10-28 2777
3867 [전기/전자] TV 및 디스플레이 세계시장 현황 (8) 귀요미지훈 10-28 2689
3866 [전기/전자] 중국 꿇어! TV에선 삼성·LG가 지존 (22) 스크레치 10-28 3716
3865 [기타경제] 반도체 고점론 '무색'…3분기 반도체 판매 역대 … (9) 굿잡스 10-28 3049
3864 [기타경제] 선진국 라이벌 대한민국 vs 이탈리아 1인당 국민소득 변… (14) 스크레치 10-26 6252
3863 [전기/전자] LG화학은 전기차배터리 관련해서 자신감이 넘치나보네요 (13) 설설설설설 10-26 3720
3862 [기타경제] 선진국 3만불 돌파까지 걸린 시간 (2만불 -> 3만불까지) (13) 스크레치 10-26 2690
3861 [기타경제] 한국, 국가브랜드 가치 2조 달러…세계 10위 (9) 스크레치 10-25 4496
3860 [과학/기술] 휴대폰이나 노트북 배터리 용량 2배 이상 늘어난다 (10) 귀요미지훈 10-25 3377
3859 [기타경제] 中, 무역전쟁 확산 막으려 트럼프 아이폰 도청 (12) 귀요미지훈 10-25 3526
 <  501  502  503  504  505  506  507  508  509  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