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10-26 22:29
[기타경제] 선진국 라이벌 대한민국 vs 이탈리아 1인당 국민소득 변화양상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6,252  

<선진국 라이벌 대한민국 - 이탈리아 1인당 국민소득 변화양상> (IMF 확정판) (2018.10월 최신기준)



현재 전세계에서 대한민국과 1인당 국민소득과 각종 규모면에서 

가장 라이벌로 평가될만한 주요 선진국이 바로 이탈리아 



올해부터 향후 5년간 대한민국과 이탈리아의 1인당 국민소득 변화양상 






<선진국 라이벌 - 대한민국 vs 이탈리아 향후 5년간 1인당 국민소득 변화양상> 





[2018년]


대한민국 (3만 2046 달러)

이탈리아 (3만 4349 달러) 



* 2018년 국민소득 격차 (2303 달러) 





[2019년]


대한민국 (3만 2766 달러)

이탈리아 (3만 4784 달러) 


* 2019년 국민소득 격차 (2018 달러)  




[2020년]


대한민국 (3만 4209 달러)

이탈리아 (3만 6096 달러) 



* 2020년 국민소득 격차 (1887 달러)




[2021년]


대한민국 (3만 5658 달러)

이탈리아 (3만 7170 달러)



* 2021년 국민소득 격차 (1512 달러)




[2022년]


대한민국 (3만 7315 달러)

이탈리아 (3만 8406 달러) 



* 2022년 국민소득 격차 (1091 달러) 




[2023년]


대한민국 (3만 8969 달러)

이탈리아 (3만 9516 달러) 



* 2023년 국민소득 격차 (547 달러) 







-> 해마다 500달러 정도씩 국민소득 격차를 줄이는 상황을 고려할때 

다른 변수 없이 지금 환율과 경제성장률 체제로 쭉 나갈시 

2024년 정도에 이탈리아를 1인당 국민소득에서 추월할 것으로 보이네요 


즉, 이탈리아는 엄청난 경제상황에 큰 변수등 영향이 없다면 

무난하게 추월을 하는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다만 이것도 현재 성장률, 환율변수 등이 모두 그대로라는걸 가정했기 때문에 환율 등 영향을 고려하면 

훨씬 더 빠른시점에 이탈리아를 앞설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사실 지금 현재도 

유로화의 환율 영향을 제외했다면 이미 넘어섰을수도)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귀요미지훈 18-10-26 22:54
   
최근 3년 환율을 보면
원달러 환율은 좀 내렸다가 다시 올라가는 추세(원화약세)에 있고
유로달러 환율은 좀 올랐다가 다시 내려가는 추세(유로강세)에 있는지라

환율만 놓고 보면 이태리가 우리보다 유리한 점이 분명히 있지요.

며느리도 모를 이 눔의 환율 좀 내려야할텐데...

제 개인적인 추측일 뿐입니다만, 최근 미국의 경제성장율이 좋은데다 최근에 그랬던 것처럼 미국이 또 금리를 인상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변동폭이 큰 원달러 환율이 내리기는 커녕 계속 오르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럼 우리 달러표시 gdp 상승은 예상보다 더 더뎌지지 않을까 좀 우려가 되긴 합니다.
     
스크레치 18-10-28 12:40
   
예 환율 영향등을 고려할때

2024년 정도 예상됩니다.


이미 저 2018.10월 기준에 최근 환율영향이 반영이 되었거든요
바람아 18-10-26 23:41
   
잘 봤습니다.
노브레인 18-10-27 00:49
   
인자 이탈리아도 라이벌 정도
     
스크레치 18-10-28 12:41
   
라이벌이 된지는 비교적 꽤 되었습니다.

최근 주요선진국중 대한민국과 가장 유사한 인구규모와 1인당 국민소득 보이는곳이 이탈리아입니다
자그네브 18-10-27 08:37
   
한국이 앞서지 않을까요? 한국이 추월한다기보다 추월되어지는
스크레치님이 쓰신 방법을 이번에는 반대방향으로 10년간 환산해 보면
2008년도 이탈리아와 한국의 격차는 약 20000달러였고
2013년엔 이 격차가 약 10000달러로 줄어들었고
2018년엔 약 2000달러가 되었는데
그럼 2023년엔?
추세라는게 있죠.
이탈리아가 큰 변화가 없는데
불과 5일전에 신용등급이 투자부적격 한단계 위인 투기등급으로 강등되었죠. 과도한 국가부채로 인해 경기부양책을 사용도 못하고 있습니다. 정치 경제 다 메롱한 상태죠. 큰병에 걸린 많이 아픈 환자인데 한국에겐 세계적으로 포지션이 한단계 올라설 기회 같습니다. 힌국이 앞질러 나간 다른나라들과 다르게 G7중 한나라를 추월한다는 의미가 있고 물론 우리가 잘한것보다 이탈리아가 헤메는게 더 큰 원인으로 작용하여 그 큰격차가 근소한 차이가 되었고 그 추세가 이어져서 가까운 시일내에 역전될거라 생각합니다. 몇년도에 역전되느냐가 문제인데 저는 2023년 이전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진짜 한걸음차이까지 와있는데요 우리도 느리긴 하지만 그나마 선진국중엔 가장 성장률이 높은쪽의 나라중 하나이고 이탈리아는 올해 경제성장율 1.2% 내년엔 1.0% 예상될 정도로 경제에 활력이 없고 일본과 치열하게 꼴찌를  다투고 있는 나라인데 IMF의 예측보다는 빨리 역전되지 않을까요? 물론 경제적 격변이나 경제위기가 올수 있지만 이탈리아는 과거 10년간에도 2009년 2010년 2012년 2015년에 1인당 국민소득이 감소할 만큼 경제위기에 대처할 체력이 우리보다 더 취약한 상태로 보이거든요..
     
스크레치 18-10-28 12:41
   
예 큰 변수가 없다면 (환율 폭락, 세계경제 급변상황 등등)

2024년엔 무난하게 이탈리아를 넘어설 것으로 보입니다.


이탈리아 경제성장률은 그리 좋지가 않거든요
사람이라우 18-10-27 19:21
   
이탈리아 반응이 궁금 하네요
kira2881 18-10-28 09:34
   
유로화 버프 없었으면 이미 2020년전에 추월했을겁니다.
     
스크레치 18-10-28 12:42
   
2년전 IMF 예상치에 이미 2019년 추월하는것으로 예상했던 자료가 있으니까요

그 예상치가 환율등 영향으로 수정이 되긴 했지만요
Irene 18-10-28 11:25
   
이태리가 국민소득은 한국보다 앞서있지만
라이벌이라 하기에는 산업구조나 성장세가
차이가 많이 납니다.
사실 유로화버프가 없다면 이미 잡았을수도
있구요.
국민소득이 비슷해서 라이벌이라면 한국에게
1인당소득이 추월당한 국가들은 한때는
모두 다 한국의 라이벌이었다는 말이 되니까요
     
스크레치 18-10-28 12:44
   
예 이탈리아와는 현재 딱 동급, 유사한 라이벌 선진국이라고 평가하기에 가장 적당한 나라라고

생각합니다.

뭐 과거에 대한민국과 비슷했다면 그 당시엔 라이벌 국가라고 볼수도 있겠지요
멀리뛰기 21-01-02 14:55
   
[기타경제] 선진국 라이벌 대한민국 vs 이탈리아 1인당 국민소득 변화양상 감사합니다.
멀리뛰기 21-01-08 14:45
   
[기타경제] 선진국 라이벌 대한민국 vs 이탈리아 1인당 국민소득 변화양상 멋진글~
 
 
Total 16,50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8121
3909 [기타경제] 80년대 부자나라 TOP 30 (4) 스크레치 11-04 2611
3908 [전기/전자]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반도체 투자 축소해 업황 회복 앞… (10) 굿잡스 11-04 3361
3907 [전기/전자] 삼성전기 `MLCC 매직`…日무라타 아성에 도전 (6) 스크레치 11-04 3285
3906 [전기/전자] 중국·대만 디스플레이 업계 `빨간불` (9) 귀요미지훈 11-04 3730
3905 [자동차] 도요타 또 에어백 결함…전세계 100만대 리콜 (6) 귀요미지훈 11-04 1480
3904 [과학/기술] 한국 반도체의 쾌거..SK하이닉스, 96단 4D 낸드 플래시 개… (5) 설설설설설 11-04 2632
3903 [전기/전자] 美 세탁기 관세에도 1~2위 자리 지킨 삼성·LG (8) 스크레치 11-04 3123
3902 [기타경제] 세계 국가브랜드 가치 순위 11위~20위 (35) 스크레치 11-02 4712
3901 [과학/기술] [우주항공 특집다큐] 누리호, 우주시대를 열다! (6) 귀요미지훈 11-02 2253
3900 [전기/전자] ‘아파트 한 평 값’ 삼성 8K TV 출시…LG는 88인치 OLED로 … (10) 스크레치 11-02 3177
3899 [전기/전자] 전세계 TV 점유율 엘지 2위 (17) 미데카아 11-02 3418
3898 [잡담] 미중 무역전쟁에 대한 의문점 (10) 프라하의밤 11-02 2637
3897 [전기/전자] 중국 프리미엄TV 시장 업체별 점유율 순위 (2018년) (12) 스크레치 11-02 3791
3896 [자동차] 美포드-中바이두, 중국에서 자율주행차 파트너쉽 (8) 귀요미지훈 11-01 2394
3895 [기타경제] 인도네시아, 최저임금 8.13% 인상 (3) 귀요미지훈 11-01 2592
3894 [기타경제] 동유럽 1인당 국민소득 & 명목 GDP 현황 (2018년) (3) 스크레치 11-01 2778
3893 [기타경제] 작년 '1000억 벤처' 572개 (3) 귀요미지훈 11-01 1449
3892 [기타경제] 그리스 선주 ‘돈’과 한국 조선 ‘기술’이 만나면 선… (6) 스크레치 11-01 4227
3891 [전기/전자] 삼성 vs LG..`차량용 디스플레이` 개발 전쟁 (9) 스크레치 11-01 1949
3890 [기타경제] 세계 최대두께 700mm 슬래브… 포스코의 ‘철강 초격차’ (12) 스크레치 11-01 2645
3889 [자동차] 베트남 자동차 Vinfast, 총 42억 달러 투자 예상 (7) 귀요미지훈 11-01 2597
3888 [전기/전자] 삼성·화웨이, 접는 스마트폰 '최초' 뺏겼다 (30) 자비스05 11-01 3786
3887 [전기/전자] 애플 전 CEO "팀 쿡의 삼성 따라하기 전략, 똑똑하다" (6) 굿잡스 11-01 2708
3886 [잡담] 장하준식 경제 해법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8) lanova 11-01 1538
3885 [기타경제] 세계 TOP30 부자나라 순위 (2023년) (2) 스크레치 10-31 3105
 <  501  502  503  504  505  506  507  508  509  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