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10-26 16:19
[기타경제] 선진국 3만불 돌파까지 걸린 시간 (2만불 -> 3만불까지)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2,690  

역대 주요 선진국들 상당수가 2만불에서 3만불 넘어가는 시점이 10년이 넘어갈 정도로 

확실히 이 1인당 국민소득 "3만불" 이라는 기준이 

주요 선진국 진입이라는 목표의 마지막 끝판왕 같은 관문이라고 불리는 이유를 

대충은 알 수 있을것 같습니다.


흔하게 생각하는 이미지와 달리 

캐나다와 핀란드도 2만불 돌파에서 3만불 고지를 돌파하는데 무려 

15년이 걸렸다는 사실이 흥미롭게 다가왔습니다. 


의외로 스페인과 그리스가 초고속으로 불과 4년만에 2만불에서 3만불 고지까지 순식간에 돌파 


미국조차 10년의 세월이 걸림 




대한민국도 2006년 첫 2만불을 돌파한 이후 

12년만인 2018년 드디어 3만불 고지를 돌파했습니다 (3만 2046 달러) 



얼마전까지 대한민국은 2만불대에서 너무 오래 머물고 

너무 늦게 3만불 고지를 돌파하는거 아니냐는 여러 언론들의 우려와 달리 

다른 주요선진국들과 비교할때도 

비교적 적절한 시점에 무난하게 국민소득 3만불 고지를 돌파했다는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주요 24개 선진국 2만불 -> 3만불 돌파까지 걸린 시간> (최단기간 순) (IMF 역대 국민소득 현황) 



1. 스위스 (2년)

2. 룩셈부르크 (3년) 

3. 스페인, 스웨덴, 그리스, 뉴질랜드 (4년)

4. 독일, 일본, 노르웨이 (5년) 

5. 아일랜드 (6년) 

6. 덴마크 (7년) 

7. 호주 (9년)

8. 미국, 이스라엘 (10년) 

9. 아이슬란드 (11년) 

10. 대한민국 (12년) 

11.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벨기에 (13년) 

12. 이탈리아 (14년)

13. 캐나다, 핀란드 (15년)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사람이라우 18-10-26 17:35
   
늦은줄 알았더니 그렇지도 않네요 ㅡㅡ
     
스크레치 18-10-26 22:10
   
2만불대 있을때 언제 탈출하냐 뭐하냐 하면서 언론에 많이 나왔던것이 기억이 나네요
김쌍큼 18-10-26 17:35
   
이나라 언론들은 비교는 엄청 좋아하면서 정작 잘도못하죠..
     
Sulpen 18-10-26 21:21
   
GNI 비교이긴 한데 본문 내용(GDP 비교)과 거의 일치합니다. 기자들이 분석을 잘 못하기도 한데
 이 주제에 관련해서는 분석한 결과를 자신들의 관점으로 억지로 해석하는게 심하지요. 오래걸렸다는걸 강조하려고 논조를 그렇게 강조하지요 ㅎㅎ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3/28/0200000000AKR20180328065151002.HTML

한은에 따르면 1인당 GNI 2만 달러, 인구 2천만 명 이상 국가들을 의미하는 '20-20클럽'은 평균 10.1년이 걸렸다. 20-20클럽에 드는 국가는 한국을 포함해 전 세계에서 미국, 일본, 영국, 프랑스, 독일, 캐나다, 호주, 이탈리아, 스페인 등 10개국뿐이다.

이중 한국과 스페인을 제외하면 모두 1인당 GNI가 3만 달러를 넘는다.

일본과 독일은 쾌속 성장했다. 이들은 1인당 GNI 2만 달러에서 3만 달러까지 불과 5년밖에 걸리지 않았다.

미국과 호주가 각각 9년이 걸렸고 영국은 11년, 프랑스 13년, 이탈리아 14년, 캐나다 15년이 소요됐다.

한은 관계자는 "20~20클럽 국가들은 모두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에 1인당 GNI 3만 달러를 달성했다"며 "우리나라는 글로벌 금융위기 때문에 2년 정도 더 걸리게 됐다"고 설명했다.
바람아 18-10-26 21:14
   
잘 봤습니다.
Sulpen 18-10-26 21:17
   
몇년전까지는 이제 3만불이 선진국의 기준이 아니라는 관점이 대두될 정도였긴 했는데...

막상 세계경제위기와 유럽발 경제위기 등의 여파로 기존의 앞서가던 선진국(일정 이상 인구)들이 다시 3만불아래로 혹은 4만불에서 3만불대로 떨어지면서 요즘은 조금 의미를 가진거 같습니다.

다른쪽으로 보면 캐나다, 호주라거나 북유럽 국가들 gdp를 보면 정작 3만불이 큰 의미가 있나 싶기도 합니다 ㅎㅎ
     
스크레치 18-10-26 22:12
   
캐나다, 호주만 선진국은 아니니까요

룩셈부르크, 스위스, 아일랜드 등이 기준이면 8만불도 넘어갑니다. ㅋ


저 3만불 기준도 10년, 20년 뒤엔 또 더 높아지겠죠

세계 평균이 계속 상승하니까요
항해사1 18-10-27 20:57
   
4인가족해서 1인당 3만불이면, 1년에 한 가정에서 12만불을 벌어야 한다는 소리인데, 우리나라에서 12만불을 버는 가장이 과연 얼마나 될까요?
     
스크레치 18-10-28 12:37
   
그런 기준이면 다른나라는 뭐 다를까요?
darkbryan 18-10-27 21:35
   
김대중 정부시절만해도  해외에서 한국이 5만불까지 금방 갈꺼라는 말도 나왔는데, 요즘 보면 아쉽네요
     
스크레치 18-10-28 12:37
   
해외예상은 그냥 예상 그 이상 이하도 아닙니다.

2050년에 대한민국이 세계 2위 경제대국이 될것이라는 예상도 많았습니다만...


경제 상황은 국제 상황도 함께 연동되어 민감하게 변할수 있는데

그 예상대로 쭉 갈수가 없죠

즉 경제는 변수 요인이 정말 많다는것입니다.


예상대로 다 갔으면 현재 전세계에 발전안했을 국가가 없죠
멀리뛰기 21-01-02 14:55
   
[기타경제] 선진국 3만불 돌파까지 걸린 시간 (2만불 -> 3만불까지)  잘 보았습니다.
멀리뛰기 21-01-08 14:43
   
[기타경제] 선진국 3만불 돌파까지 걸린 시간 (2만불 -> 3만불까지) 감사합니다.
 
 
Total 16,511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8171
3911 [기타경제] 주요 선진국 4만불 돌파시점 현황 (2) 스크레치 11-05 1614
3910 [기타경제] "EU, 英 전체 관세동맹 잔류 수용…미래 경제 파트너십도 … (5) 굿잡스 11-04 2004
3909 [기타경제] 80년대 부자나라 TOP 30 (4) 스크레치 11-04 2611
3908 [전기/전자]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반도체 투자 축소해 업황 회복 앞… (10) 굿잡스 11-04 3361
3907 [전기/전자] 삼성전기 `MLCC 매직`…日무라타 아성에 도전 (6) 스크레치 11-04 3286
3906 [전기/전자] 중국·대만 디스플레이 업계 `빨간불` (9) 귀요미지훈 11-04 3730
3905 [자동차] 도요타 또 에어백 결함…전세계 100만대 리콜 (6) 귀요미지훈 11-04 1480
3904 [과학/기술] 한국 반도체의 쾌거..SK하이닉스, 96단 4D 낸드 플래시 개… (5) 설설설설설 11-04 2632
3903 [전기/전자] 美 세탁기 관세에도 1~2위 자리 지킨 삼성·LG (8) 스크레치 11-04 3123
3902 [기타경제] 세계 국가브랜드 가치 순위 11위~20위 (35) 스크레치 11-02 4712
3901 [과학/기술] [우주항공 특집다큐] 누리호, 우주시대를 열다! (6) 귀요미지훈 11-02 2253
3900 [전기/전자] ‘아파트 한 평 값’ 삼성 8K TV 출시…LG는 88인치 OLED로 … (10) 스크레치 11-02 3177
3899 [전기/전자] 전세계 TV 점유율 엘지 2위 (17) 미데카아 11-02 3418
3898 [잡담] 미중 무역전쟁에 대한 의문점 (10) 프라하의밤 11-02 2637
3897 [전기/전자] 중국 프리미엄TV 시장 업체별 점유율 순위 (2018년) (12) 스크레치 11-02 3791
3896 [자동차] 美포드-中바이두, 중국에서 자율주행차 파트너쉽 (8) 귀요미지훈 11-01 2394
3895 [기타경제] 인도네시아, 최저임금 8.13% 인상 (3) 귀요미지훈 11-01 2592
3894 [기타경제] 동유럽 1인당 국민소득 & 명목 GDP 현황 (2018년) (3) 스크레치 11-01 2778
3893 [기타경제] 작년 '1000억 벤처' 572개 (3) 귀요미지훈 11-01 1449
3892 [기타경제] 그리스 선주 ‘돈’과 한국 조선 ‘기술’이 만나면 선… (6) 스크레치 11-01 4227
3891 [전기/전자] 삼성 vs LG..`차량용 디스플레이` 개발 전쟁 (9) 스크레치 11-01 1949
3890 [기타경제] 세계 최대두께 700mm 슬래브… 포스코의 ‘철강 초격차’ (12) 스크레치 11-01 2645
3889 [자동차] 베트남 자동차 Vinfast, 총 42억 달러 투자 예상 (7) 귀요미지훈 11-01 2597
3888 [전기/전자] 삼성·화웨이, 접는 스마트폰 '최초' 뺏겼다 (30) 자비스05 11-01 3786
3887 [전기/전자] 애플 전 CEO "팀 쿡의 삼성 따라하기 전략, 똑똑하다" (6) 굿잡스 11-01 2708
 <  501  502  503  504  505  506  507  508  509  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