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11-01 19:49
[기타경제] 세계 최대두께 700mm 슬래브… 포스코의 ‘철강 초격차’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2,645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29&aid=0002489262







고객사들 포스코의 세계 최고 기술력 인정 

포스코는 올해 7년만에 영업이익도 최대로 내고 


세계에서 가장 경쟁력있는 철강사로 매해 선정되고 있고 

세계에서 가장 수익성 있는 철강사로도 자리매김했는데 


이제 기술력까지 명실상부 세계 최고 철강사로 도약한듯하네요  

역시 기술력만이 살길이었다는건 조선업에 이어 

철강업에서도 대한민국 포스코가 다시한번 입증 





<포스코의 세계 최대 두께 '슬래브'>


1. 포스코 세계 최초로 700mm 두께 슬래브 양산 

2. 경쟁사인 유럽, 일본 철강사는 600mm 두께 슬래브 생산하는데 머무는 수준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크레치 18-11-01 19:50
   
참치 18-11-01 19:53
   
누구 이 제품이 두꺼울 수록 좋은 이유를 알려주실 분 있으신가요? 스크래치 님.. ㅋ
     
무엄하다 18-11-01 20:00
   
물건은 클수록 좋은거 아닌가요 ㅋ  >.,<
     
스크레치 18-11-01 20:03
   
기사 참고하세요 ㅋ 잘 설명되어 있습니다.
          
참치 18-11-01 20:07
   
반제품이란 이야기가 나오지만, 이것을 어디서 어떻게 사용하는지, 두꺼울 수록 어떻게 유리한지 궁금해서요.

후가공 없이 슬래브 자체를 그대로 이어 붙여서 완성품을 만든다든지 그런 건가요?  건축, 조선 등에서 쓰는 것 같은데요.

아니면 후가공을 거쳐서 압연을 한다든지 하는 건가요? 그렇다면 반제품의 두께가 어떤 잇점이 있을까요?  더 큰 제품을 만들 수 있다는 잇점 뿐인가요?
               
스크레치 18-11-01 20:13
   
예 님 말씀대로

건축, 조선, 해양구조용 등 고부가가치 제품을 만드는데 사용가능하고

종전에는 최대 133mm까지만 생산가능했는데


700mm까지 생산이 가능해지면서 최대 233mm 고급제품까지 생산가능해졌다고 합니다.
월하정인 18-11-01 20:21
   
와우..

철강업,조선업 우리나라 대단한듯. 자동차만 좀 더 잘됬으면 좋겠네요.
     
스크레치 18-11-01 20:28
   
자동차도 현대기아가 세계 5위권 회사로 자리잡은것만 해도 전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


영업이익 때문에 그렇긴한데

현대기아 몇년전 영업이익 한창 잘나올때도 있었고 또 이런날도 있는법이죠


그래도 이럴때일수록 꾸준하게 기술개발을 게을리해서는 안되는데

현대기아가 여러가지 기술개발을 게을리하지는 않는다는 인상을 받고 있어서

다시 영업이익도 기대를 해볼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조선업 같은 경우도 최근 몇년 힘들었지만 (뭐 아직도 아주 호황은 아니라 힘들다고는 한다지만)

그래도 기술력 개발을 게을리 하지 않은덕에 일본이나 중국 같은 조선기업에 비해

LNG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 기술력 격차가 몇년이상 벌어진 상태고

올해 세계 1위 조선업 탈환으로 그 결실을 맺고 있는것처럼 말이죠
frogdog 18-11-01 20:54
   
철강업계에 삼성인가요 바로 기술계발하고 바로 양산에 들어가분지네 ㅎㅎ
귀요미지훈 18-11-01 22:42
   
이거 잠수함과 관련이 있나 모르겠네요.

더 깊이 잠수해도 수압에 견딜 수 있는거면 좋겠네요.
멀리뛰기 21-01-02 14:56
   
[기타경제] 세계 최대두께 700mm 슬래브… 포스코의 ‘철강 초격차’ 멋진글~
멀리뛰기 21-01-08 14:46
   
[기타경제] 세계 최대두께 700mm 슬래브… 포스코의 ‘철강 초격차’ 좋은글~
 
 
Total 16,52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337
3923 [전기/전자] LGD, 애플 아이폰용 OLED 패널 생산 착수 (8) 스크레치 11-06 2489
3922 [기타경제] 토마토 수출… 日시장점유율 53%로 1위 (6) 스크레치 11-06 2537
3921 [자동차] 수소자동차 '핵심 기술' 국산화 성공 (4) 진구와삼숙 11-06 2504
3920 [자동차] '이번엔 확실히 독일차 넘어선다.' 예상도로 보는… (10) 스크레치 11-05 4989
3919 [기타경제] 한수 접은 대륙의 꼼수, 폴더블폰 '플렉스파이' (5) 굿잡스 11-05 4584
3918 [기타경제] 90년대 부자나라 TOP 30 (3) 스크레치 11-05 2110
3917 [재테크] 특정 비트코인 홍보 삭제 및 강제조치 (8) legendjang 11-05 2303
3916 [기타경제] "베트남 애처가는 반드시 롯데百 쇼핑백 챙긴다" (11) 스크레치 11-05 3957
3915 [자동차] 닛산, 전기차 개발 뒤처졌나…'신형 리프' 주행거… (13) 스크레치 11-05 2677
3914 [전기/전자] "땡큐 애플" 삼성디스플레이, 매출 10조·영업익 1조 넘겨 (12) 스크레치 11-05 3017
3913 [전기/전자] 미국 생활가전 시장 점유율 순위 (2018년) (4) 스크레치 11-05 2615
3912 [기타경제] 우리나라 수준이면 어느정도에요? (8) kgkg9539 11-05 2887
3911 [기타경제] 주요 선진국 4만불 돌파시점 현황 (2) 스크레치 11-05 1615
3910 [기타경제] "EU, 英 전체 관세동맹 잔류 수용…미래 경제 파트너십도 … (5) 굿잡스 11-04 2005
3909 [기타경제] 80년대 부자나라 TOP 30 (4) 스크레치 11-04 2611
3908 [전기/전자]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반도체 투자 축소해 업황 회복 앞… (10) 굿잡스 11-04 3362
3907 [전기/전자] 삼성전기 `MLCC 매직`…日무라타 아성에 도전 (6) 스크레치 11-04 3287
3906 [전기/전자] 중국·대만 디스플레이 업계 `빨간불` (9) 귀요미지훈 11-04 3730
3905 [자동차] 도요타 또 에어백 결함…전세계 100만대 리콜 (6) 귀요미지훈 11-04 1481
3904 [과학/기술] 한국 반도체의 쾌거..SK하이닉스, 96단 4D 낸드 플래시 개… (5) 설설설설설 11-04 2635
3903 [전기/전자] 美 세탁기 관세에도 1~2위 자리 지킨 삼성·LG (8) 스크레치 11-04 3125
3902 [기타경제] 세계 국가브랜드 가치 순위 11위~20위 (35) 스크레치 11-02 4712
3901 [과학/기술] [우주항공 특집다큐] 누리호, 우주시대를 열다! (6) 귀요미지훈 11-02 2257
3900 [전기/전자] ‘아파트 한 평 값’ 삼성 8K TV 출시…LG는 88인치 OLED로 … (10) 스크레치 11-02 3178
3899 [전기/전자] 전세계 TV 점유율 엘지 2위 (17) 미데카아 11-02 3418
 <  501  502  503  504  505  506  507  508  509  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