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1-04-21 00:06
[금융] 韓 "원화가치 강세 지속..하반기 1070원 간다" (LG경제연구원)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4,125  

https://news.v.daum.net/v/20210418170201054








개인적으로 

환율 올라가면서 명목 1인당GDP 올라가는걸 

크게 원하진 않는지라 

(대한민국은 환율 1100원대 이제 유지해도 안정적으로 4만불 돌파까지 무리가 없어보이거든요) 



올해 원 달러 환율 평균을 1090원 정도로 예상한다고 하는데 

그러면 

명목 1인당GDP는 예상보다 더 크게 올라갈 것으로 보이네요 

(IMF는 올해 일단 대한민국 1인당GDP를 3만 5천불 정도로 예상한 상황임) 



그런데 개인적으로 더 전망해보자면 

최근 대한민국 수출이 역대 최대치를 찍고 있고  

하반기 경제성장률 예상치가 더 올라가지 않을까 예상하고 있으며  

여기에 추가적으로 환율효과까지 더해지면서 


정말 잘하면 

대한민국은 내년쯤 4만불 돌파 가능할지도 

(그냥 일반적인 상황속에선 2023년을 대한민국 4만불 돌파 예상시점으로 생각하고 있었습니다만)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크레치 21-04-21 00:06
   
청담돌쇠 21-04-21 00:13
   
경제 연구소는 LG가 짱임
     
스크레치 21-04-21 14:24
   
그렇군요
굿잡스 21-04-21 00:28
   
지금 유가 상승이라

적절한 원화 강세는 물가 안정에 도움.
     
스크레치 21-04-21 14:25
   
확실히 전세계가 코로나 사태 이후

이제 어느정도 경제가 돌아가서 그런지

유가도 상승국면이긴 하네요
이슬내림 21-04-21 00:37
   
환률차트를 보면 1080이 지지선 같습니다.
증권사들도 이정도 전망 하더라구요
     
도다리 21-04-21 02:02
   
그것도 희망 사항.
1000 선에 근접할 수도 잇슴더.
물론 개입...
암튼 뭐 이번 코로나 때는 물론이고 앞으로도 전망이 좋기에
gdp가 퍽퍽 상승하는 현상을 보게될 것임.
          
smartboy 21-04-21 09:28
   
그럴 수 있죠
아직도 환율관찰대상국이기에 정부에서도 아마 부담이 될 겁니다.
1,000원대 예상해 봅니다.
               
자체발광 21-04-21 17:26
   
정부가 환율에 개입하는건 자국 화폐가치를 떨어트릴때 사용합니다.
지정국 3조 항목보면 지속적이고 일방적인 외환시장 개입
(GDP의 2%를 초과하는 외환을 12개월 중 6개월 이상 순매수)
라고 명기 되어있습니다. 원화 가치가 오르는건 오히려 미국이 좋아하는 일이죠.
뭐 수출 경쟁력 때문인데 지금같은 경우는 우리 주력상품이 경쟁력을 갖추었고
일부 품목은 공급이 못따라 갈정도니 상당한 이익을 보게될겁니다. 하지만 중소업체는
많이 힘들어 질수도 있겠네요
저 선을 넘지 않는 선에서 꾸준히 외환및 금 보유량을 늘려야 합니다.
     
스크레치 21-04-21 14:18
   
예 고정도 선에서 많이들 언급되는듯
투완나YTC 21-04-21 01:07
   
요즘같이 수출경쟁력 있을 때 원화 가치 상승하면 두 마리 토끼 다 잡는다고 볼 수 있음... 기업도 국민들도 행복도 업!!!
     
스크레치 21-04-21 14:18
   


그리고 1050원 정도까진

환율로 인해 수출에 크게 영향은 없을것으로 개인적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로터리파크 21-04-21 01:39
   
그래도 저는 1차원적이긴 하지만 원화가치 올라가서 보이는 경제체급 커지는게  마냥 좋기만 하네요ㅋㅋ
     
스크레치 21-04-21 14:19
   
급격한 원화가치 상승으로 단기간에 급상승한건

또 언젠가 바로 원상태로 복귀하더군요 ㅋ


역시나 성장률로 성장시키는게 그래서 가장 좋다고 봅니다.
인씨네 21-04-21 06:30
   
한국기업들 올해보다 내년 이익률이 높을거라는 전망이니 4만불 육박할 가능성 있다고 봄...
     
스크레치 21-04-21 14:20
   
예 개인적으로 추세를 살펴보니

그정도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현재 환율분위기와 수출, 성장률등 종합할때


(물론 올해 아직도 8개월이나 남았고 변수는 앞으로 많을것이라는게 함정이긴 합니다만)
현대신세계 21-04-21 07:50
   
환율 소폭하락 후에 눈치봐가면서 방어해야쥬.. 추세가 형성되거나 허면 곤란... 그러면 수출기업 경쟁력이 알게 모르게 골병들어유.. 헬본처럼.. 기업경쟁력이 그나마 우위에 있는게 헬본 기업경쟁력이 망가져서인데.. 엔고 꿀을 너 무 오래 빨았어유..
     
스크레치 21-04-21 14:21
   
일본의 플라자합의 처럼 정말 엄청난 환율 변동을 시키면 그럴가능성도 있다고 보나

현재 1050원대까지는 뭐 큰 무리없다고 보는 상황인지라
흑수선 21-04-21 09:03
   
1996년 $1=844원
1997년 $1=1,695원(IMF-1997/11)
1998년 $1=1,138원.....................2020년 $1=1,086원

*개인적으로 900원정도가 적당할 것 같네요. 대신 물가가 좀 내려갔으면....
     
스크레치 21-04-21 14:24
   
900원대였던 적이 언제였나 가물가물할 정도

(기사등 검색해보니 2007년에도 있었고, 가장 최근에는 2014년에 1000원 극초반까지 한번

내려갔던적이 있긴하네요)


2018년에도 1050원대 내외까지 내려갔던적도 있고
전쟁망치 21-04-21 09:39
   
1000원 이하로 가는건 개인적 으로  별로 라고 봅니다
만약 1000 이하로 떨어지면 원화를 찍어서 원화 가치를 낮추는
것이 좋지 않을까 합니다
     
스크레치 21-04-21 14:24
   
저도 900원대까진 좀 그렇고

1050원 내외가 딱 적당하지 않을까 개인적으로는 생각하고 있습니다.
기리란섀로 21-04-21 15:13
   
원화절상이 달콤한 유혹인데 김영삼이 이방법 써서 국민소득 올리다가 외환위기 터졌죠
 
 
Total 16,508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7680
3983 [과학/기술] '친환경 트램이 스르륵'..창원에서 미리 본 '… (3) 굿잡스 04-20 1730
3982 [기타경제] "일본의 중국 정책 루비콘강 건넜다…中, 보복조치 가능… (22) Architect 04-20 3755
3981 [잡담] (뉴욕타임즈) 더욱 심해지는 아르헨티나의 고통 (14) 귀요미지훈 04-20 3949
3980 [전기/전자] 엔비디아 ARM 인수..英, 국가안보·반독점 영향 검토 (5) 스크레치 04-20 2100
3979 [전기/전자] 中화웨이, 네덜란드서 650만명 휴대전화 감청 가능성 (8) 스크레치 04-20 3810
3978 [전기/전자] 낸드시장 주도 韓美日, 또 다른 반도체 전쟁 (15) 스크레치 04-20 4253
3977 [자동차] 폭스바겐, 전고체 배터리 개발 '암초'..韓 배터리,… (13) 인씨네 04-20 4166
3976 [기타경제] 중진국 함정에 빠진 태국 향후 국민소득 현황 (IMF) (14) 스크레치 04-20 4105
3975 [잡담] 전고체 배터리에 관해서..... (3) 달과육팬티 04-20 1483
3974 [기타경제] 韓 딸기 홍콩수출 급증.."입점 물량 전량 팔려나가" (3) 스크레치 04-20 2996
3973 [금융] 韓 "원화가치 강세 지속..하반기 1070원 간다" (LG경제연구… (23) 스크레치 04-21 4126
3972 [잡담] 2021 세계경제(TOP 20 국가) (1) 그대만큼만 04-21 2302
3971 [전기/전자] 반도체 패권 다툼 격화 후폭풍...글로벌 딜, 곳곳 제동 (2) 봉대리 04-21 874
3970 [기타경제] 포스코강판, 미얀마 군부 기업과 합작 사업 종료 통보 (3) 봉대리 04-21 1071
3969 [기타경제] 지난해 제조업 일자리 7.2만개 해외로 빠져나가 (1) 봉대리 04-21 784
3968 [전기/전자] 자동차용 SiC전력반도체 국산화 성공.."반도체 대란 해소 … (1) 스크레치 04-21 1437
3967 [기타경제] 4월 수출도 활짝, 하루 평균 33% 늘었다 (1) 스크레치 04-21 899
3966 [자동차] [단독]현대차 모셔널, 자율주행 '레벨5' 성큼…… (3) 스크레치 04-21 1767
3965 [전기/전자] 삼성전자 'NXP 인수설' 급부상 (美월가) (15) 스크레치 04-21 4044
3964 [잡담] NXP를 과소평가하는 잘못된 의견이 있어 바로잡습니다. (8) 포케불프 04-21 2127
3963 [기타경제] 韓 세계10대 경제대국 진입..브라질 탈락 (12) 스크레치 04-21 2194
3962 [기타경제] 중기부 김치 스마트공장 지원(ft. 삼성, 공공기관 학교 … (4) 조지아나 04-21 1197
3961 [잡담] IMF가 전망하는 향후 GDP 10강 순위(~2026) (7) Societe 04-21 2955
3960 [잡담] 일본,3차 긴급사태 선포로 경제 손실 20조원 예상 (4) 메흐메르 04-21 1803
3959 [전기/전자] 삼성, 中브랜드파워지수 TV부문 11년 연속 1위…LG 15위 그… (2) 스크레치 04-21 1438
 <  501  502  503  504  505  506  507  508  509  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