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1-02-21 17:57
[기타경제] 음식문화 유사한 인도 타밀라두에 김치공장 세우는것은 어떨까요?
 글쓴이 : 조지아나
조회 : 1,906  



인도 타밀인이  말하길   인도의 김치와  한국의 김치는  식자재 재료의 차이만 있고 만드는 과정은 유사하다고 합니다. 
이는,지역적 특성,종자와 관련되며  한국에 망고가 없는것 처럼, 인도에는  오래전부터 배추가 없었다고 합니다. 
공통된점은 ,  한국의 김치 처럼  ,  인도 타밀인의  기본 밑반찬 이며,  양념은 대등 소이합니다.
차이점은 젖갈을 사용하지 않는것으로 보여집니다.  한국 일부 가정집에서도 젖갈을 사용하지 않기도 합니다.  

동일 맥락에서,  과거 연해주 살던 고려인들  강제 이주하면서,(중앙아시아.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etc)  토양문제로  해당 지역에서 배추를  재배할수도, 구할수도 없게되자  당근으로  김치 담아서 먹기 시작하였으며,  오늘날에도 당근으로  김치를 담아 먹고 있습니다.   
고려인들의 김치는  "당근" 이  주된 재료로서  " 당근 김치" 입니다.
  

 

인도 타밀인의 김치 "우루가이" 

set  playing point  10분 10초 이후 ~ 




 제안 합니다.  




목적  :   중국산 김치  수입 대체  &  인도 시장 공략 (유럽,중동 진출의 교두보)

 해 마다 중국 김치 대량  국내 수입  사실이   "김치 원조"  억지 주장,  논란을  키운다고 보여집니다.



1. 선결 과제
 
  1) 협조 필요 :  농림 축산 식품부 ,   국립종자원(원장 최병국) -  종자산업 전문인력


  (1)  한국의  배추, 무우 종자가   인도 지역 토양 생육에  적당한가 ? 사전 조사
  (2) 한국의 고추가루, 파, 마늘,etc  적용 범위 결정입니다. - 인도에도 고추가루, 마늘 etc 이 있습니다. 
   인도에는 배추 김치가 없습니다. 오래 전 부터 배추가 존재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지금은 배추를 재배하는지 모르겠군요. 

2. 기대 효과 

 1)  인도 경제 발전에 기여 하며,  중국산 김치 수입대체 가져올수 있습니다.
    -   중국  김치의 경우,  대중적  중국 음식이 아님을  제3국에  인지 시킬필요가 있습니다.

 2)  인도의 경우,  중국에 비하여 노동임금이  저렴하며,  풍부한 농지와 노동력이 있습니다.
 
 3)  인도 농민들  일부에게  안정적 일자리를  마련케 해줍니다.  -  농업 , 제조업 (김치 가공업)
     : 최근  인도정부의 가장 큰 고민중 하나가  실업자수 증가와  농업정책 변화로 인한    대규모 농민들의 시위 입니다.   
       인도정부의 제조업(식품 가공업) 육성정책에도 부합합니다.

 

 4)  인도 자체 내수시장  13억 8천만 인구 ( 인도내  지역 경제 활성화 기여)

 5) 중동, 유럽 김치 수출 전진 기지가 될수 있습니다. ( 지리적으로 화물 운송 비용 절약)
    ; 미국의 경우  한국 기업이 설립한  김치 공장이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3.  문제점 

 1 ). 지리적 문제로 인하여  한국 수입시  화물 운송및 보관 비용 상승 
    :  가공식품 생산 원가 (운송비 포함)   인도  vs  중국  비교해 볼필요가 있습니다. 

  2)  판매 가격의 결정  
     -. 인도 내수  , 한국수입,  중동수출 , 유럽 수출 

       방안 1)   인도 내수, 한국 수입  동일한 수준으로 판매 가격 결정   ( 인도 내수용 기준)
                  중동,유럽 수출은   브랜드, 상품 차별화를 통한 판매 가격 재설정 (수출용)


4. 기 타 

   인도 농업,  가공식품 현대화 산업 지원 ( 농기계 판매  etc )
   인도내  풍부한 농토,  노동력을 활용한   한국인 선호 작물 재배 가능성 조사 
      ;  중국산 농산물 수입 대체 효과 기대 
   
   배추, 무우 , 당근 etc  생육가능 조건을 고려해서  농지 선정및  노동인력 확보 
   러시아  연해주도 검토 대상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nirvana늑대 21-02-22 07:34
   
진짜 대단하네 누구시켜서 이러지않고는
하나부터 열까지 어그로 … 그노력 정성이면

개과천선까지는 아니더래도 욕은안먹고살아야지
     
신서로77 21-02-22 12:02
   
ㅋㅋㅋ...
 
 
Total 16,52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405
4048 [잡담] 농구황제 마이클 잭슨 저 모지리 왔다 갔군요.. (5) 안보면후회 07-06 1917
4047 [기타경제] 중국발 리스크…피해는 中 아닌 한국 등 주변국 (8) 스쿨즈건0 02-17 1916
4046 [자동차] 현대기아 전기차 유럽질주..1분기 판매 68% 급증 (3) 스크레치 04-17 1916
4045 [기타경제] IMF “한국 경기침체 가장 잘 막아내… 당분간 확장 재정 … (4) 스크레치 05-02 1916
4044 [과학/기술] 셀트리온, 1년새 日·英 기업 투자.."새 먹거리 찾기 총력" (3) 스크레치 06-07 1916
4043 [금융] 빌 게이츠 "가상화폐는 죽음에 이르게 하는 기술" (5) 굿잡스 03-06 1915
4042 [기타경제] 중국 GDP, 드디어 미국을 넘어서서 세계 1위로~ (8) 아빠가흐 07-20 1915
4041 [전기/전자] 삼성 韓美日 1위 통신사 모두 잡았다. NTT도코모에 5G 공급 (5) 스크레치 03-23 1915
4040 [기타경제] 베트남 수입화장품 절반 '한국산'...韓, 작년 2.2억… (4) 스크레치 07-12 1915
4039 [전기/전자] LG전자, 롤러블TV 이어 롤러블폰 출시 속도 낸다 (7) 스크레치 01-21 1914
4038 [기타경제] 삼성전자 1분기 반도체 적자 4조5천800억원 NIMI 04-27 1914
4037 [잡담] 차이나의 반도체 도전 응원 - 2 (2) singularian 12-02 1913
4036 [기타경제] '사면초가' 코스피, 1% 하락한 2314선..기관, 이틀째… (1) NIMI 07-12 1913
4035 [기타경제] 한국인 이사도 퇴진‥'라인' 결국 일본 품으로? (5) darkbryan 05-09 1913
4034 [기타경제] 외환보유액 석달만에 반등…지난달 4030억弗 (3) 스크레치 07-03 1912
4033 [자동차] 현대·기아차 3종, '북미 올해의 차' 최종 후보에 … (5) 귀요미지훈 11-25 1912
4032 [기타경제] 韓 조선업 르네상스 온다..12배 폭증한 선박 수주 (5) 메흐메르 02-12 1912
4031 [기타경제] 맥도날드 'BTS 세트' 인기에 오뚜기도 웃었다 (3) 스크레치 06-07 1912
4030 [기타경제] 한국 어느새 턱밑까지, 지금 치지 않으면 일본 죽는다 (5) darkbryan 07-17 1911
4029 [전기/전자] "OLED 대세화 통했다" 일상에 스며든 OLED (2) 스크레치 06-12 1911
4028 [기타경제] 한국, UAE 원자력 발전소 장기정비계약 수주하나 (3) 귀요미지훈 02-28 1910
4027 [전기/전자] [단독]정부, 삼성디스플레이 中쑤저우 LCD팹 매각 승인 (7) 캡틴홍 02-06 1910
4026 [기타경제] '누들'도 인플레이션…냉면 1만원·자장면도 6000… 샤넬케이 05-04 1910
4025 [잡담] 모든 커다란 사이클은 의심없이 시작하지 않는다(feat. AI … (7) 강남토박이 07-24 1910
4024 [전기/전자] 공허한 안보 타령, 한국이 적대국인가 비판도 (2) darkbryan 07-11 1909
 <  491  492  493  494  495  496  497  498  499  5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