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07-29 17:03
[기타경제] [세계 도시GDP 순위] (+ 세계 도시 GDP TOP5 현황)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4,788  

현재까지 도시 GDP를 공식조사해서 발표한 자료로는 


미국 브루킹스 연구소에서 2015년 1월에 조사한 

세계 도시별 GDP 자료가 가장 최신으로 보입니다. 











<세계 도시 GDP TOP5 현황> (미국 브루킹스 연구소) 




1위 도쿄 (일본) (1조 6170억 달러)


2위 뉴욕 (미국) (1조 4030억 달러)


3위 LA (미국) (8600억 5천만 달러)


4위 서울 (대한민국) (8450억 9천만 달러) 


5위 런던 (영국) (8350억 7천만 달러) (유럽대륙 1위 도시경제권) 



------------------------------ 세계 5대 거대 도시경제권 












<세계 5위권 밖 주요 도시 경제권 순위> 



6위 파리 (프랑스) (8220억 1천만 달러) 

7위 오사카 - 고베 (일본) (6710억 3천만 달러)

8위 상하이 (중국) (5940억 달러) (중국 1위) 

9위 시카고 (미국) (5630억 2천만 달러)

10위 모스크바 (러시아) (5530억 3천만 달러) (러시아 1위) 



11위 베이징 (중국) (5060억 1천만 달러)

12위 라인 - 루르 광역권 (독일) (4850억 2천만 달러) (독일 1위) 


15위 상파울루 (브라질) (4300억 5천만 달러) (남미대륙 1위) 

16위 홍콩 (중국) (4160억 달러)



21위 싱가포르 (싱가포르) (3650억 9천만 달러) (동남아지역 1위) 

22위 나고야 (일본) (3630억 8천만 달러)

25위 이스탄불 (터키) (3480억 7천만 달러) (중동지역 1위) 


29위 타이베이 (대만) (3270억 3천만 달러)

30위 자카르타 (인도네시아) (3210억 3천만 달러) (인도네시아 1위) 

31위 로테르담 - 암스테르담 (네덜란드) (3200억 6천만 달러) (네덜란드 1위) 


34위 밀란 (이탈리아) (3120억 1천만 달러) (이탈리아 1위) 


36위 부산 - 울산 (대한민국) (2960억 5천만 달러)


38위 델리 (인도) (2930억 6천만 달러) (인도 1위) 

39위 토론토 (캐나다) (2760억 3천만 달러) (캐나다 1위) 



42위 마드리드 (스페인) (2620억 3천만 달러) (스페인 1위) 


47위 시드니 (호주) (2230억 4천만 달러) (호주 1위) 



58위 후쿠오카 - 규슈 (일본) (1930억 3천만 달러) 



63위 마닐라 (필리핀) (1820억 8천만 달러) (필리핀 1위) 



72위 바르셀로나 (스페인) (1710억 달러)


76위 로마 (이탈리아) (1630억 2천만 달러)



88위 텔아비브 (이스라엘) (1530억 3천만 달러) 



91위 스톡홀름 (스웨덴) (1430억 달러) (북유럽 지역 1위)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kira2881 18-07-30 18:35
   
저기서 잘 봐야 하는건, 통계의 범위가 어디까지냐 입니다.

얼핏보면 서울이 도쿄의 절반수준밖에 안되보이죠? 근데 저건 "도쿄 광역권"이 기준입니다. 여기에는 도쿄도(약 1400만명)와 인접한 지바현과 가나가와현이 포함됩니다. 모두 3700만명이죠.

반면 서울은 서울과 인천이 광역권으로 포함됩니다. 서울과 인천 인구 1300만명이 포함됩니다.

즉, 저 통계는 도쿄는 도쿄시+도쿄도+지바현+가나가와현 광역권의 인구 합산 3700만명의 GDP이고
서울은 서울+인천의 광역권 인구 합산 1300만명의 GDP입니다.

애초에 통계에 포함하는 머릿수가 다르니 서울이 도쿄 절반으로 보일수밖에 없는거죠. 이래서 통계는 허수가 있나 없나 잘봐야 하는겁니다.

재미있는건 이걸 1인당으로 나누면?
오히려 1인당은 서울광역권이 도쿄광역권보다 GDP가 높습니다.

물론 같은조건으로 대입해서 서울도 도쿄처럼 경기도까지 포함하게 되면 도쿄가 더 높겠죠.

반대로 서울시와 이에 해당하는 "도쿄시"의 1인당 GDP를 비교해보면 거의 차이가 없다는걸 알게되실겁니다. 즉, 수도권 인구의 소득수준은 이미 일본을 거의 따라잡았다고 보면 됩니다.
     
스크레치 18-07-31 20:08
   
예 알고 있습니다.
rozenia 18-07-30 19:45
   
확실한건 한국경제와 산업성장이란 신산업이라 차세대기술개발도 기반이겠지만 궁극적으로 내수시장이 성장하기 위해 지방에서 거점도시의 경제산업력이 더 커져야한다는겁니다.

단면적으로 부산급 도시가 셋이상. 부산의 반규모가 10개 이상만 되도 지금하고 많이 다를거라 생각됩니다. 물론 숫자처럼 그게 쉽지 않겠지만요.

인구비율만 봐도 광주가 100만이 넘음에도 실제로 가보면 서울과 인건비 조차 다르게 시급을 주는경우가 많을 정도로 지방의 산업구조와 재정과 실제 통화의 유통수준이 차이가 나는데 이건 진짜 해결해야하는 난제라고 봅니다.

제주도 만큼 완전한 관광단지 조성을 바탕으로 가지산업이 제대로 육성이 되든해야하는데 음악시장이 해외진출을 바탕으로 하는것 처럼 사실상 관광을 비롯한 지방산업들 자체가 내수로 성장이 충분하지 못한게 현실이며

이것은 단순히 통일이 된다는 것보다는 다소 지방자치라는 개념에 어긋나더라도  더불어, 지방거점도시에 인구가 너무 몰리는 현상이 야기된다하더라도

분명히 지방도시개발이 추진되야 한다고봅니다. 물론 세종시의 예처럼 현실적인 산업들이 동반되야 하겠죠
     
스크레치 18-07-31 20:12
   
공감합니다.

그러나 부산급 도시가 셋이상은 생각보다 쉽지 않습니다.

대한민국이 작은 국토와 상대적으로 비슷한 체급의 경제대국들과 비교해서

적은 인구로도 거대한 경제권을 구축하고는 있지만


그래도 분명히 한계는 있습니다.


부산급 도시가 한개 정도만 더 있어줘도 바랄게 없다는

(부산이 세계 GDP 순위로 하면 대략 30위권 내외거든요)




1. 서울과 수도권 (뭐 여기는 세계적인 도시 광역권이니 지금정도 유지만해도 될거같고)

2. 경상도에 부산권 경제권

3. 전라도에 광주권 경제권이 있으면


제 개인적으로 아주 이상적으로 생각하나 (전 국토의 균형발전도 어느정도 필요하다는

생각이 강해서요)



현재로선 전라도 광주권보다는


차라리 충청권의 세종시와 청주, 대전 등을 묶는 광역경제권이 더 현실성은 있어보입니다

(이미 충청권은 수도권과 최근 가까워서 삼성이나 SK등 대규모 공장들도 많이 들어서고 있고

앞으로 발전가능성이 있어보여요)
멀리뛰기 21-01-02 14:37
   
[기타경제] [세계 도시GDP 순위] (+ 세계 도시 GDP TOP5 현황) 감사합니다.
멀리뛰기 21-01-08 14:26
   
[기타경제] [세계 도시GDP 순위] (+ 세계 도시 GDP TOP5 현황) 잘 읽었어요~
 
 
Total 222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22 [기타경제] "韓, 18번째로 살기 좋은 나라" (19) 스크레치 09-28 3778
121 [기타경제] 인건비 뛰자 ‘中 인해선술’ 흔들… ‘수주 1위’ 6년만… (16) 끼따뿌타스 09-28 4914
120 [전기/전자] 삼성전자, 3년만에 EUV 생산성 확보…"3나노까지 질주" (13) 스크레치 09-18 4964
119 [기타경제] 유럽대륙 1인당 GDP 증가현황 (5년간) (10) 스크레치 09-13 2124
118 [전기/전자] 인텔, EUV 도입 2021년 이후로…왜? (12) 스크레치 09-08 4256
117 [기타경제] 주요 24개 선진국 1인당 GDP 증가현황 (5년간) (8) 스크레치 09-05 2423
116 [기타경제] [일본의 충격] 주요 24개 선진국 5년간 명목GDP 증가 현황 (7) 스크레치 09-03 3554
115 [기타경제] 1∼8월 누적수출 역대 최고.."올해 사상 첫 6천억달러 전… (19) 아로이로 09-01 2697
114 [자동차] 유럽이 반한 현대차 '코나 EV', 노르웨이 상륙 (6) 스크레치 08-27 2728
113 [기타경제] GDP 1조달러대 국가 현황 (2023년) (14) 스크레치 08-24 4206
112 [자동차] [현대기아차 질주] 세계 TOP 10 자동차기업 순위 (2018년 상… (12) 스크레치 08-16 3618
111 [잡담] 전세계 정부 수입 TOP 30 (9) 축신 08-15 3261
110 [기타경제] [주요 선진국 인구 현황] 최신 2018년 기준 (10) 스크레치 08-11 3819
109 [기타경제] [서울 vs 세계 주요국 GDP 비교] (9) 스크레치 07-31 3737
108 [기타경제] [세계 도시GDP 순위] (+ 세계 도시 GDP TOP5 현황) (6) 스크레치 07-29 4789
107 [기타경제] 주요 선진국 군사력순위 (2018년) (7) 스크레치 07-24 4005
106 [기타경제] 한국과 비교하는 세계 최저임금 순위 ( 2018년 기준 ) (17) 백제만세 07-14 4691
105 [기타경제] 주요선진국 실수령 연봉 순위 (2018년) (16) 스크레치 07-03 4900
104 [기타경제] 주요 선진 25개국 1인당 국부순위 (2017년) (5) 스크레치 06-30 2935
103 [기타경제] 한국의 엄청난 경제 성장력 (10) 백제만세 06-29 3981
102 [기타경제] 2년 연속 무역 1조달러 돌파 전망 (10) 귀요미지훈 06-27 3228
101 [전기/전자] 삼성전자, 연내 7나노 공정 시험양산…"칩 성능 30% 점프" (12) 스크레치 06-27 3290
100 [기타경제] 세계 1인당 국부순위 (2017년) (8) 스크레치 06-24 2799
99 [전기/전자] [아시아 TOP10 브랜드순위] 삼성전자, 7년 연속 亞 최고 브… (18) 스크레치 06-11 3113
98 [전기/전자] 인텔 확 따돌린 삼성 반도체… 28억 달러 격차로 더 벌려 (9) 스크레치 06-07 2010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