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1-03-16 19:50
[부동산] "내가 산 아파트 그만 좀 올랐으면.."
 글쓴이 : 대팔이
조회 : 2,034  

https://news.v.daum.net/v/20210316170902899?f=m

"15억 넘어 대출 안돼, 내 집에 입주 못해요"
전세보증금 돌려줄 돈 없고
분양 단지도 잔금대출 안돼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꼬마와팻맨 21-03-16 20:03
   
공시지가가든 시세든 15억 주택에 거주할 능력 안되면 갈아타야죠.
     
과부 21-03-16 20:19
   
인생 편하게 사시네요....
     
토미 21-03-16 20:22
   
님아 배가 아파서 그런가?
집값 그거 집주인이 올렸냐?
그리고 저 정책이 븅쉰이라고 하는게
그럼 현금 많은 부자들만 부동산 투자할수 있다는거잖어.
정책이 잘못된걸 인정하지 않고
엄한다리 긁고 자빠졌으니.
왜 차라리 공산주의처럼 하든지 그럼.
          
꼬마와팻맨 21-03-16 20:30
   
그 대출이 부동산 거품을 키우는 것인데
현금으로 부동산 사는 게 뭐가 잘못된 정책이라는지?
그럼 자본안되는 사람이 대출로 감당할 능력이 안되는 부동산 사서
경매들어가고 은행은 대출 원금 까먹는게 바람직한건가?
능력과 자본에 맞게 사고팔고하는걸 공산주의니 뭐니 하는건 무슨 신박한 논리?
               
토미 21-03-17 08:55
   
이분은 큰 착각을 하네..
현금으로만 부동산 사게 만드는게 잘된정책이라고라?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럼 일반적인 신혼부부애들은 모아논 돈이 몇억이라도 되냐?
왜 자동차도 할부 리스 없애버리지 그럼.
할부란 제도를 왜 만드냐? 다 있는자들만 사게 하지 안글냐?
대출안받고 집살 수 있는 사람이 전체인구에 몇프로라고 생각하냐?
그럼 그 몇프로를 위해서 건설사들이 집을 짓겠냐고..
일부 안되서 경매들어가서 원금까먹는 일부를 전체화하며 합리화주장하는 게 참..
능력과 자본에 맞게 이때까지 살아왔다.. 초딩수준도 아니고
경제의 ㄱ자도 모르네..참.
          
존버 21-03-16 20:59
   
투자수익이 안나는데 투자를함? 어떤 정책이 잘못된건데요?
개개미S2 21-03-16 20:17
   
아니 지렛대 이용해서 아파트 매입했으면...
팔아서 시세 차익 노리고 했다는건데...

그러면 팔아서 메꿔야죠.....
매일노가다 21-03-16 20:27
   
소설 쓴다...
포르투나 21-03-16 20:28
   
이게 문제가 살고있는 집 오르면 좋긴 하지만 주변도 같이 올라서 팔고 다른곳 갈려고해도 갈수가 없는데다 오른만치 세금은 늘어나니 부담도 같이 늘어 납니다.
오대영 21-03-16 23:45
   
예전에 한 3년쯤 전에 한분과 부동산 문제로 논쟁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정부정책이 부동산가격을 폭등시킬거라는 우려를 한 kira님과요. 당시에도 정책이 전문 투기자들을 대상으로 한 정책이 아니라 양도소득세 보유세를 같이 올리는 항암치료와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부작용이 클것이라는 주장이였습니다. 전 그분이 논리를 펴는 과정에서 다소 과장된 예를 들고 있기 때문에 논박하긴 했지만 정책이 상당한 부작용을 가지고 있다는 부분을 부정하진 못했습니다. 사실이였으니까요.

투기 목적으로 부동산 수집을 하는 사람들이 있고 이들이 가지고 있는 아파트 주택등 거주 가능한 건물들은 거의 100만호에 육박합니다만, 이들을 선택적으로 추려내서 시장에 물건을 토하게 하는 정책이 아니라 주택가격만을 놓고 거기에 맞추어 보유세와 양도세를 책정하기 때문에 지금과 같은 자산 거품시대에 맞지 않는다고 생각했습니다.

원칙만 놓구보면 양적완화라는 수단이 시장경제에서 쓰이게 된 그 순간부터 노동수익은 결코 자본수익을 능가할수 없는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으니까요. 결국 집값은 오를수 밖에 없고, 오르게 되면 그에 따른 세금이 늘어나는 구조이니 결국 수입이 노동수익으로 고정된 대다수 사람들에겐 정부정책은 부담으로 그리고 여당 정책은 정부에 대한 반감으로 귀결될 가능성이 높아보였습니다.

정책 방향이 틀린것은 아니지만 수단이 좀더 세밀했으면 하는 생각을 했었죠.

한국은 제조업 국가라 부동산 가격이 계속 올라가면 결국 일본처럼 거품을 맞을 수밖에 없습니다.
아무리 우리가 똑똑하다고 해도 생산성이 자산가격 황소모멘텀 처럼 올라갈거라 생각하는 경제인은 없을거라 생각합니다. 때문에 적절한 수준에서 자산가격을 유지시키는 것은 우리 세대에 반드시 해놓아야 하는 문제입니다.

단순히 사는 곳이 비싸게 되었다고 좋아하는 분들은 그 댓가로 자신의 교환가치, 시장에서의 역할을 상실할수도 있다는 시장의 냉정한 룰에 대해서 생각해보셨으면 합니다.
토미 21-03-17 09:02
   
지금 현정부가 부동산을 못잡는 이유중에 하나가 좌파들 특성때문.
물론 코로나 영향도 있었지만
돈이 갈데도 없거니와 돈을 많이 풀면 돈가치가 하락하기때문에 부동산가격이 오르는건 당연한 일임.
부동산이 서서히 물가상승율정도로 올라가는게 가장 바람직한데
현정부는 시장 수요 공급원칙과 자본주의 논리를 거슬러가는 정책을 하니.
특히 이번 부동산 3법이 얼마나 개 븅쉰짓이냐면
부동산 오르니깐 임대차3법으로 강제적으로 전세를 4년으로 만든 개 븅쉰짓이 결정타였다는거.
이건 그냥 지지율만 생각한 편협한 정책때문에 집값이 더 오르게 했다는거임.
당연히 전세가를 올릴거고 그러면 당연히 집값이 오르지.
시장경제는 놔두고 이번 LH사건처럼 투기를 잡아야 하는데
엄한데 다리 긁고 자빠졌고
돈은 지지율로 풀어야 되니 국고는 바닥나니 엄한 세금 올려서 긁어 모으고.

우리나라는 이미 겪을데도 다 겪어서 지탱해온 현 경제체제에선 급격한
정책보단 보완하는 수단으로 접근해야 하는데 이걸 억지로 전체 시장에서 국가가 모든걸 틀어쥘려고
하는 사상부터 접근이 잘못됐다고 봄.
     
과부 21-03-17 10:34
   
여기 생각보다 루저가 워낙 많아서 그런 말해도 이해 못해요.
이제 잘못한거 대통령까지 인정하고 사과했는데도 인정 못하고 더 밀어 붙이라는 얘들하고 뭔 말을 합니까.
어찌보면 부동산이 이 꼴난게 모두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기본도 모르는 이런 루저네티즌때문이기도 하죠.
우야야야야 21-03-17 11:16
   
한경찌라시를 들고오네 ㅋㅋㅋ 
거기다 토왜도 보인는듯하고
 
 
Total 16,50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7968
4609 [잡담] 중국희토류 내몽골지역이 83% 수준이던에.. 외몽골 지역… 조지아나 03-16 2072
4608 [금융] 한국 gdp 대비 부채비율 (24) 가세요 03-16 2982
4607 [전기/전자] 삼성전자, 캐나다 사스크텔에 5G·4G 이동통신장비 단독 … (3) 축신 03-16 1644
4606 [자동차] 전세계 수소차 10대 중 7대가 현대차..차업계 지각변동 (12) 스크레치 03-16 1658
4605 [기타경제] LS전선 싱가포르에 6500만弗 규모 케이블 공급 (1) 스크레치 03-16 1025
4604 [전기/전자] 넥스틴, 반도체 검사장비 개발…美日과 경쟁 (1) 스크레치 03-16 1587
4603 [자동차] 대박난 제네시스 올판매 목표 20만대 훌쩍 넘기나 (1) 스크레치 03-16 2341
4602 [자동차] [단독] 기아, 2026년 내연기관 신차 없다…K9도 단종 (6) Architect 03-16 3248
4601 [자동차] 전기차배터리 日도전 주시해야 (35) 스크레치 03-16 4122
4600 [부동산] "내가 산 아파트 그만 좀 올랐으면.." (13) 대팔이 03-16 2035
4599 [자동차] 'K-배터리' 위기?... 폭스바겐, 배터리 자체생산 확… (6) 조국과청춘 03-16 1831
4598 [잡담] 포스코, ‘영업익 1조’ 탈환하나 가격 인상 타고 실적 … (3) 축신 03-16 1178
4597 [전기/전자] "LG전자, 1분기 실적 서프라이즈 기대" (4) 축신 03-16 1405
4596 [전기/전자] 올해 삼성전기 영업이익 1조3385억원 전망 (7) 축신 03-16 2023
4595 [전기/전자] 폭스바겐 '배터리 자립' 선언…K-배터리 '비상… (13) darkbryan 03-16 2429
4594 [전기/전자] 日 TOK 포토레지스트 한국 생산량 2배 높인다...수출 규제 … (10) 스크레치 03-16 3518
4593 [전기/전자] 獨·한국 제외한 선진국들 원전 지킨다 (20) 봉대리 03-17 4283
4592 [자동차] 日도요타 회장의 조소… "애플카? 40년은 걸릴걸?" (14) 스크레치 03-17 4792
4591 [전기/전자] 프랑스의 원자력 발전 정책 변경 (9) 스포메니아 03-17 2087
4590 [기타경제] 캐나다도 제친 韓경제...지난해 사상 첫 '세계 9위' (15) 스크레치 03-17 3905
4589 [기타경제] 원자력 발전의 경제성이 얼마나 뛰어난가 (27) 스포메니아 03-17 2249
4588 [기타경제] 우리나라와 독일의 태양광발전 경제성 비교 (17) 스포메니아 03-17 2554
4587 [과학/기술] 탈원전정책이 계속 추진되면 우리나라는 핵무기를 가진 … (30) 꿈꾸는자 03-17 2424
4586 [금융] 어제 댓글에 2025년 부채가 비기축 통화국 중에 3위라고 … (8) 빠샤샤샤샤 03-17 2246
4585 [잡담] 우리나라 정부부채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알수 있을까요 (18) 스포메니아 03-17 2197
 <  471  472  473  474  475  476  477  478  479  4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