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9-02-27 13:02
[금융] 외국서 받을 돈 더 많다..순대외채권 10년째 늘어 '사상 최대'
 글쓴이 : 기구수
조회 : 4,059  

대외 채권 (9025억 $)
대외 금융자산 (1조5205억 $)


좋은소식인것 같아서 글 한번 써봅니다 ^^...
금융쪽은 문외하지만 좋은 소식 맞죠?..

그리고 다른나라는 대외 금융자산이랑 대외 채권을 얼마나 가지고 있는지 궁금한데 혹시 아시는분 있으시면
알려주세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기구수 19-02-27 13:02
   
프리홈 19-02-27 13:20
   
일본은 1970 년대부터 아세안과 중국에 집중 투자하여 매년 200 조원이상의 투자수익을 올리고 있지요.
물론 지금은 중국으로부터 대부분 철수하여 아세안과 인도에 투자하고 있구요.
이 투자수익은 매년 10 % 정도 늘어나는 추세에 있고요.

해서 무역수지가 안 좋아도 경상수지는 매년 200 조원이상이 되어 1 인당 GDP 를 상승하는 효과를 가져와,
한국이 현 추세대로 라면, 2027 년경에 되서야 일본을 추월가능하게 됩니다.

일본의 2017 년말 대외순자산은 3240 조원으로 한국보다 7 배나 많고 27 년간 세계 최대 순채권국입니다.
한국도 아세안과 인도에 자본투자가 많이 되어야 할 것이네요.

https://news.joins.com/article/22655125
(2017 년말기준 일본 대외순자산 3240조원...27년째 최대 순채권국)
     
기구수 19-02-27 13:24
   
대외 순자산은 금융투자+채권인가요? 그럼 우리나라 대외순자산은 9205억+1조5205억 달러를 합쳐서 생각하면 되나요?
          
프리홈 19-02-27 21:02
   
@ 대외순자산 = 대외투자 (내국인의 대외투자) - 대외부채 (외국인의 국내투자)

@ 순대외채권 = 대외채권 (한국이 해외에 빌려준 돈) - 대외채무 (해외에 갚아야 할 돈)

https://news.joins.com/article/22668913
(순대외채권, 4608억달러 '사상 최고'…외국서 받을 돈 더 많아)......2018.05.30
     
할게없음 19-02-27 22:30
   
일본은 대외 부채가 늘어나서 오히려 순자산이 감소했는데요.. 그리고 그 잘난 3천2백조 있음 뭐합니까 국가부채가 1경이 넘는데
rozenia 19-02-27 13:57
   
일본이 세계대전수준으르 전쟁나길 바라는 나라가 많겠네요. 영국이 미국한테 채권으로 전쟁에 승리하고도 하나하나 발려먹혔듯 유럽애들이 1차대전 이후 미국에게 발리듯 일본애들 대외채권이 사라지는 순간 엔화도 약화될것 같네요
도나201 19-02-27 16:57
   
과연 순대외채권의 순수성 이라는게 일본의 걸림돌이죠.
이문제는 정치자금의 회피성 과 돈세탁에 워낙만이 이용을해서
실제적으로 받아들여도 속빈 강정이라는 소리가 많읍니다.

우리나라역시 이러한 부분이 상당량 많고
워낙 무기명채권이 많아서 상당부분 재산도피용으로 많이 이용해서

양국다 이러한 채권의 건전성이 엄청나게 약화된 상황이라서 액면그대로 믿기에는 무리가 있읍니다.

뭐 중국이 경제성의 어려움을 논하는데
사실상 중국채권은 8할이상 정치회피성 채권이 상당량있어서
채권의 건전성으로 최악이라고 할만큼 이고,
심지어 흑자성 기업이 도산할정도이고,
이액면을 믿고 투자한 유럽쪽에서 상당한 피해를 봤다라는 소리도 왕왕들리는 형국.

일본투자역시 이러한 중국의 건전성에 당한 투자자들이
일본투자에 의구심을 보내고 있다라는 것이죠.
멀리뛰기 21-01-02 15:29
   
[금융] 외국서 받을 돈 더 많다..순대외채권 10년째 늘어 '사상 최대' 잘 봤습니다.
멀리뛰기 21-01-08 15:19
   
[금융] 외국서 받을 돈 더 많다..순대외채권 10년째 늘어 '사상 최대' 잘 봤습니다.
 
 
Total 16,52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311
4773 [기타경제] 이건희 포함 韓 36명 1조원 넘게 가진 '세계 갑부' (4) 스쿨즈건0 03-04 2103
4772 [과학/기술] 확산되는 과기한류 … 러브콜 잇따른다 (4) 스쿨즈건0 03-04 3643
4771 [기타경제] 멕시코 車시장 침체 한국 브랜드는 10% '최고 점유… (3) 스쿨즈건0 03-04 1847
4770 [기타경제] 日 "일손 부족해서" vs 韓 "인건비 못 견뎌서" 편의점 … (14) 스쿨즈건0 03-04 2155
4769 [기타경제] '고용 천국' 美, 이발사도 年2억 번다 (8) 스쿨즈건0 03-04 1486
4768 [전기/전자] 삼성 “퀄컴보다 먼저 자동차 AP시장 개척” (6) 스크레치 03-03 3678
4767 [자동차] 현대차, 인도에서 70만대 돌파 & 올해 기아차 공장 설립도 (3) 귀요미지훈 03-03 1986
4766 [금융] 지난해 국내 금융사 해외 순이익 1조원 넘어 (3) 귀요미지훈 03-03 1536
4765 [기타경제] "中 올 6% 성장도 빠듯" (10) 귀요미지훈 03-03 2586
4764 [자동차] 국내 친환경차 점유율 8.2%…서유럽·미국보다 높아 (5) 귀요미지훈 03-03 1364
4763 [기타경제] '조센징 파문' 일본 게임사 세가, 한국 대리점에 &… (7) 굿잡스 03-03 3980
4762 [기타경제] 국민소득 3만달러 돌파 다음주 공식화된다 (8) 스크레치 03-03 2536
4761 [기타경제] '한한령' 가시지 않은 중국에서 첫발 땐 '라이… (3) Drake 03-03 3028
4760 [기타경제] 신세계 4조5000억 투자… '한국판 디즈니랜드' 재… (6) 스크레치 03-03 3221
4759 [전기/전자] 폴더블폰에 관심없는 소니 "접히는 것 말고 할 수 있는것… (5) 스크레치 03-03 3111
4758 [자동차] 독일 자동차시장 업체별 판매량 현황 (2018년) (3) 스크레치 03-03 1859
4757 [기타경제] 20대도 설화수 '홀릭'...6조 태국시장 가꾸는 K뷰티 (3) 스크레치 03-03 1860
4756 [기타경제] ‘시장표’ 요술버선, 日 관광객 “최고”…인기 비결 (9) 스쿨즈건0 03-03 3012
4755 [과학/기술] 미국은 왜 화웨이를 공격하는가? (3) 스쿨즈건0 03-03 1623
4754 [기타경제] 방탄소년단 K팝과 게임 등 한류흑자 역대 최대 (6) 스쿨즈건0 03-03 1228
4753 [과학/기술] 삼성 vs 화웨이 폴더블폰 대결…MWC 화웨이에 손 (8) 스쿨즈건0 03-03 2162
4752 [기타경제] [하위권 선진6개국] 명목 GDP 현황 (2019년) (3) 스크레치 03-02 3173
4751 [기타경제] 韓 선박 수주액 '월등'… 中·日 보다 3배 높아 (13) 스크레치 03-02 4995
4750 [전기/전자] 세계 스마트워치 시장 점유율 순위 (2018년) (8) 스크레치 03-02 3266
4749 [자동차] 자율주행차 선진5개국, 기술개발·표준전략 등 논의 (3) 스크레치 03-02 2301
 <  471  472  473  474  475  476  477  478  479  4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