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1-01-29 18:38
[기타경제] 한국과 독일의 산업 비교.
 글쓴이 : singularian
조회 : 1,776  


오래 살다 보니 이런 분석도 해본다.

알아보니 독일 제조업에서 자동차산업의 비중은 23%정도이고, 일자리는 86만개에 달한다고 한다. 기타 연관성 있는 제조업부문과 관련 서비스업까지 포함한다면 그 비중은 이보다 훨씬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2차 대전을 기점으로, 내연기관 부문에서 특히 선전했던 독일의 기계 기술력은 앞으로 전기를 동력으로 사용하는 모빌리티 산업에서는 적용되기 어려운 부분이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내연기관 자동차 관련 기반기술은 거의 대부분에서 독일이 선방하고 있다. 포르~쉬에, 베엔츠, 복스바겐 아우디 등. 하지만 예전과 같은 명성을 이어갈지에는 조금 의문이 든다. 

그 이유는 전기자동차에 핵심적인 2차 전지와 IT기술, 모터드라이브 등의 기술력은 한국보다 후발주자인 만큼, 일단은 관련 부품들과 전기차 관련 인프라를 해외(한국 등)에서 발주하거나 조달해야하고, 이제와서 섣불리 개발에 나선다면 초기 투자비용과 로열티만 과도하게 지불하고 만년 2등으로 쭈욱~ 실속은 챙기지 못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반도체에도 지금은 사라진 수많은 2등이 있었다. 

같은 이유로 일본이 방향을 잡지 못하고 있다. 현재는 하이브리드에 주안점을 두고 있으나, 시장은 전기차와 수소차로 나뉘어 가고 있다. 코로나 방역과 일반 행정 처리에 있어서도 우리와 확연한 다름이 보인다. 

물론 그들이 당분간 R&D에 집중하다가 확실한 차별점이 보일 때 과감한 상용화를 할 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해볼 수도 있다.

그러나 독일과 일본에는 없으나 한국이 가지고 있는 것이 있다. 메모리 반도체가 그것이고, 세계 최정상급 퀄리티의 배터리도 있으며 향후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휴대폰+5G 산업이 한국에 있다. 성질 급한 한국인에게 IT를 빼놓으면 섭하다 하겠지. 전기차는 자율주행이 요구됨으로 IT와 함께해야 시너지가 발생된다. 

그런데 세계 전기차 시장은 일론 머스크의 테슬라와 애플카로 나누어 질 거라고 예측하는 사람도 있다. 그 이유는 지금까지 기계공학과 출신이 자동차를 만들었으면, 이제부터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머가 전자공학과 출신과 머리를 맞대고 탄생시킬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전기차는 그냥 휴대폰에 바퀴 달린 것 이니까. 
https://miro.medium.com/max/700/1*l9Eog46twrfyUcU8pUBOkg.jpeg


일본이 디지탈 전환에서 맛이 갔고, 독일은 전기차 시대로의 전환에서 헤매는 듯 보인다. 이것만 보면 향후 10년 한국이 독일의 미래 산업이 일정 부분에서는 한판 붙어볼 만한 것이 아닐까하며 조심스레 미소 지어 본다. 

우쨌던 이런 얘기도 스스럼없이 해볼 날이 내게 왔으니, 참 세월이 많이 달라졌다. 

그래도 과도한 기대는 금물...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도다리 21-01-29 19:22
   
그래도 과도한 기대는 금물...

소심하시군여.
재밌는 글인데 멀 그리 스스로 ..ㅋㅋㅋ
암튼 잘 읽었습니다.
     
유기화학 21-03-31 03:13
   
22
테킨트 21-01-29 19:55
   
상상만 해도 흐뭇하네요 ㅎㅎ
     
유기화학 21-03-31 03:13
   
222
대팔이 21-01-29 20:37
   
독일이 전기차 시대로의 전환에 해맨다고요?
그건 아닌듯...
현재도 폭스바겐이 현대보다 앞서있고 프리미엄 브랜드인 벤츠 BMW의 전기차 전환속도도 엄청 빠릅니다..
현대의 프리미엄 브랜드인 제네시스에 전기차 라인업이 단 한대라도 있나요?
게다가 폭스바겐 BMW 등은 직접 전기차 배터리를 생산할 예정입니다...
독일애들이 그렇게 설렁하지 않습니다...
유기화학 21-01-29 20:40
   
변수는 자동차회사에서 전기차특허 보유하고 있다고 하던데요..독일은 나름 전기차대비 잘 하는거같아요.
일본자동차가 무너질것같은 예감이...
토요타가 전고체배터리에서 앞서있다고..희망적이긴하나..
상용화 되봐야 아는거라...
 
 
Total 16,52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495
5573 [기타경제] '베트남의 삼성' 빈그룹, 첨단 산업 도약 성공할… (33) 스크레치 01-28 5235
5572 [기타경제] 中기술기업 앱금지, 인도에 "손해배상 소송 해야" … (7) 스쿨즈건0 01-29 2051
5571 [기타경제] 韓 이탈리아 역전성공 (IMF 공식발표) (20) 스크레치 01-29 2564
5570 [기타경제] 2045년 베트남 선진국 반열 오르겠다 (쫑 서기장) (47) 스크레치 01-29 4075
5569 [기타경제] 히타치금속, 특수강 자석을 검사한 데이터 변조 발생 (11) 굿잡스 01-29 2363
5568 [전기/전자] 中 화웨이의 몰락..세계 스마트폰 출하량 1위에서 6위로 (10) 스크레치 01-29 3377
5567 [주식] 전세계 주식시장을 뒤흔들어 놓고있는 게임스탑 사태.. (10) 없습니다 01-29 3149
5566 [금융] 게임스탑 사태 로빈훗같은 넘이 한국에도 있네요. 밤막걸리 01-29 1192
5565 [전기/전자] 삼성전자 "조만간 의미 있는 인수합병"..13조원 '통 큰… (1) 스크레치 01-29 1298
5564 [전기/전자] "삼성·SK의 힘"…글로벌 반도체 기업, 韓으로 모인다 (6) 스크레치 01-29 1545
5563 [기타경제] 프리미엄 라면시대 활짝 열리나 (3) 스크레치 01-29 1393
5562 [전기/전자] 日 전범기업 삼성·SK에 소재 공급 위해 '국내 진출 (19) 스크레치 01-29 2114
5561 [기타경제] 한국과 독일의 산업 비교. (6) singularian 01-29 1777
5560 [전기/전자] D램가격 8개월만에 반등..반도체 슈퍼사이클 '기대감&… (1) 스크레치 01-29 806
5559 [전기/전자] SK하이닉스 EUV공정·파운드리 '속도' 올린다 (1) 스크레치 01-29 963
5558 [전기/전자] 애플의 미친수준 영업이익 현황 (17) 스크레치 01-29 1929
5557 [전기/전자] 中 12나노 미세공정 반도체 양산 추진…프로젝트 주체 … (8) 스크레치 01-29 2462
5556 [잡담] IMF 통계 사이트 1인당 gdp 페이지 주소 알 수 없을까요? (3) nakani 01-29 731
5555 [전기/전자] '아 4분기' LG전자, 월풀에 간발의 차로 매출 뒤졌… (1) 스크레치 01-29 1093
5554 [전기/전자] 세계 스마트폰시장 점유율 순위 (2020년) (1) 스크레치 01-29 1084
5553 [전기/전자] SK하이닉스 세계 최대 반도체 공장 'M16' 6월부터 … (1) 스크레치 01-29 1254
5552 [기타경제] 조선업황 개선에 韓中日 경쟁은 더 치열..LNG선 등에서 승… (1) 스크레치 01-29 1227
5551 [기타경제] 한국과 독일의 산업 비교(2) singularian 01-29 1479
5550 [기타경제] '담뱃값 8000원 인상' 결국 언론의 낚시였나 (2) 스크레치 01-29 1053
5549 [자동차] 현대차가 영국에 도심공항을 짓는 이유 (1) 스크레치 01-29 1921
 <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