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2-09-25 23:12
[전기/전자] 퀄컴도 엔비디아도 TSMC…삼성 파운드리 해법은?
 글쓴이 : 나이희
조회 : 2,294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38/0002133249?sid=105 [57]

- 삼성전자, 연이은 대형 고객 이탈
3nm 선점·설계지원 등으로 반전 노려야


[디지털데일리 김도현 기자] 대만 TSMC가 반도체 수탁생산(파운드리) 왕좌를 공고히 하고 있다. 현시점에서 유일한 대항마인 삼성전자는 기존 고객을 연이어 경쟁사에 내주면서 기세가 가라앉았다. 삼성전자는 뼈아픈 결과를 받아들이고 첨단 공정에 집중하는 전략으로 승부 볼 방침이다.

◆‘눈 뜨고 코 베인’ 삼성전자=지난 20일(현지시각) 엔비디아는 차세대 그래픽처리장치(GPU) ‘RTX40’ 시리즈를 소개했다. 새로운 아키텍처 ‘에이다 러브레이스’를 적용해 전작 대비 성능을 약 4배 높였다.

주목할 만한 부분은 공정 개선이다. ‘RTX30’ 시리즈는 8나노미터(nm) 기반이었다면 신작은 4nm 기술이 도입됐다. 또 다른 변화는 생산 업체가 삼성전자에서 TSMC로 바뀐 점이다.

GPU 시장은 20조원을 상회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중 엔비디아는 80% 이상을 차지한다. 엔비디아 신제품 수주를 따냈다는 건 조단위 수익을 확보했다는 의미다. 앞서 TSMC는 슈퍼컴퓨터 등에 쓰이는 엔비디아 ‘H100’ 제조도 담당하게 됐다. 양사 간 협력이 강화되는 추세다.

삼성전자가 고배를 마신 이유로 선단 공정 신뢰성을 꼽힌다. 반도체 설계부터 생산, 완제품 등 전자산업 전반을 다루는 삼성전자는 태생적으로 파운드리 시장에서 불리하나 엔비디아의 경우 품목이 직접적으로 겹치지 않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협업이 수월했다.

다만 코로나19 국면 들면서 GPU 공급난이 촉발한 가운데 대만 언론 등에서는 삼성전자 파운드리 수율(완성품 중 양품 비율)에 대해 문제 제기한 바 있다. 이를 계기로 다음 제품에서 거래 조건이 더 좋은 삼성전자 대신 TSMC를 선택했다는 후문이다.

최근 삼성전자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 경계현 사장은 해당 내용을 일부 인정하기도 했다. 그는 “5nm 및 4nm 공정은 TSMC보다 개발 일정과 성능에서 뒤처졌다”고 언급했다.

비슷한 이유로 퀄컴도 파운드리 협력사를 변경했다. 지난해 말 출시한 ‘스냅드래곤8 1세대’를 삼성전자 4nm 공정에서 양산했으나 지난 5월 선보인 ‘스냅드래곤8+ 1세대’는 TSMC 4nm 라인을 활용했다.

업계에서는 오는 11월 공개될 ‘스냅드래곤8 2세대’도 TSMC가 담당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현실화하면 삼성전자는 대형 고객 2곳을 고스란히 넘기게 되는 것이다.

TSMC는 최대 고객사인 애플과의 관계가 탄탄하고 AMD 등 글로벌 기업과도 최신 공정 관련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이대로면 삼성전자와 격차가 더욱 벌어질 가능성이 크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이름없는자 22-09-25 23:21
   
제일 문제가 삼성전자는 그동안 너무 거짓말을 많이 했음.
보통 양산발표를 하려면 80% 이상 수율에 자신이 있어야 하고 그 이하는 위험생산으로 알려서
고객사가 주력제품은 그런 공정에는 의존하지 않았어야 하는데
삼성은 수율 30% 의 개발중인 위험공정을 양산공정이라고 거짓말로 고객사를 속여서 수주받음.
하지마 실제 수율이 너무 낮아서 고객사들이 큰 고통을 받음. 즉 고객들을 베타테스터로 삼음.

그러니 삼성에 생산을 맡긴 퀄컴도 낮은 수율로 제품공급에 고통을 받아 영업에 지장을 받고
결국에는 TSMC 에 다시 맡겨서 플러스 모델이 나와야 성능과 전력 수율등이 제대로 나옴.
그러니 그런 시행착오를 없애기 위해서는 처음부터 TSMC 에 맞기는게 퀄컴으로선 정답임.

앞으로도 내가 반도체 업체라도 삼성은 일단 다른 큰 회사가 먼저 양산에 들어가서
양산에 성공했다는 소식을 확인한 후에야 삼성에게 주문을 할 수 밖에 없음.

지금은 삼성의 4 나노공정이 TSMC 보다 훨씬 못하다는게 드러난 이상
3나도 공정도 TSMC 3나노 공정 보다 낫다고 볼 이유가 없음.
정원사 22-09-26 07:55
   
재드래곤이 마이너스의 손이라고 다 알고 있는데 기업 운영에 그놈의 혈통이 뭔지 e삼성 망하고 재드래곤이 손대는건 다 성과가 안남.
행복찾기 22-09-26 08:18
   
이재용이 물러나고
이건희같은 인물이 삼성을 이끌어야 삼성이 살아날 가능성이 있다고 봅니다.

이재용.. 너무 무능해요.
     
초빈지 22-09-26 09:26
   
정의선보다 무능한게 이재용이네요.
 
 
Total 16,52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355
5648 [잡담] 테슬라 도조에 HBM 탑재 (2) 강남토박이 09-12 2297
5647 [과학/기술] 생기원, 열전도율 최대 2배 뛰어난 방열 소재 개발 (5) 진구와삼숙 05-20 2296
5646 [전기/전자] 삼성 폴더블폰 '갤럭시 폴드' 공개 테스트 시작?… (3) 스크레치 07-13 2296
5645 [금융] 법원개혁이 필요한 이유 : 윤석금과 김승유, 고의부도와 … (3) 정발남 12-18 2296
5644 [잡담] 가생이 처음으로 글써봅니다.(도움요청, 지적요청) (72) 프랜시스 01-27 2296
5643 [기타경제] "이사오면 3년 연봉줄게요"..伊 마을 파격조건으로 청년 … (3) 스크레치 10-31 2296
5642 [금융] 공매도 완전 금지하면 이득 보는 사람 (3) 인스피어 11-09 2296
5641 [전기/전자] 세계 첫 4㎛ 동박 개발 (2) 눈팅중 11-20 2295
5640 [기타경제] 美 코로나19사태 악화일로… “2분기 실업률 30%에 달할 … (3) 초록바다 03-24 2295
5639 [기타경제] 뜨거워지는 동유럽 원전시장...'루마니아'는 미국… (1) 스크레치 10-16 2295
5638 [전기/전자] 퀄컴도 엔비디아도 TSMC…삼성 파운드리 해법은? (4) 나이희 09-25 2295
5637 [자동차] "에어백 안터져 4명 사망"…미 교통당국, 현대·기아차 조… (11) 답없는나라 03-18 2294
5636 [과학/기술] 방안 스탠드 불빛만으로 전기생산' 태양전지 개발 (8) 진구와삼숙 12-03 2294
5635 [기타경제] 아르헨,국가부도 직전 - S&P, 국가신용등급 'B-'→&#… (14) 스크레치 08-31 2294
5634 [전기/전자] 2년간 214兆 '쩐의전쟁'…왜 반도체인가 (4) 스크레치 03-12 2293
5633 [전기/전자] 삼성전자, 이미지센서 신기술 '아이소셀 플러스' … (4) 스크레치 06-30 2293
5632 [전기/전자] 세계 반도체 웨이퍼 시장 점유율 순위 (2017년) (2) 스크레치 04-04 2292
5631 [자동차] 기아차, 러시아공장 설립 추진…총사업비 5억달러 (7) 스크레치 08-28 2292
5630 [전기/전자] "삼성 반도체, 2년 연속 글로벌 1위 확실해" (7) 스크레치 11-13 2292
5629 [기타경제] 시청 근처 상권까지 `텅텅`.. "코로나 때보다 심해요" (7) VㅏJㅏZㅣ 02-24 2292
5628 [전기/전자] 삼성·LG, 글로벌 TV시장서 中과 격차 더 벌려 (2) 스크레치 03-22 2291
5627 [전기/전자] 인텔한테 GAA특허 사들인 소니 (3) 유기화학 03-07 2291
5626 [전기/전자] 인도, 반도체·DP 250억달러 투자 유치 추진 나이희 09-23 2291
5625 [기타경제] [사설] 10대 제조업 가운데 성한 곳을 찾기 힘들어지고 있… (9) 답없는나라 03-10 2290
5624 [기타경제] "K-뷰티 희망봤다"..中 6·18 호실적에 뷰티업계 '함박… (3) 스크레치 07-01 2290
 <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