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1-05-13 06:56
[기타경제] 中 호주 천연가스 수입 줄이고..공급처 다양화 물색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2,302  

https://news.v.daum.net/v/20210512171103822







최근 분명한건 

중국이 호주를 본격적으로 공격하기 시작했다는건 분명해보입니다.  


쿼드에서 호주가 약한고리라고 판단하고 

각개격파 식으로 나서는 느낌입니다. 


호주의 농수산 식품등은 지난번에 관세때려서 상당히 막아버렸고 

최대 관건인 호주의 지하자원들인데 


호주산 석탄은 이미 지난해 수입 사실상 막은 상황  

철광석은 당장 어쩔수없어서 

(워낙 중국이 60% 가까이 호주에 의존도가 심했던 자원인지라) 

일단은 두고 보는 느낌이지만


철광석도 벌써 여러나라에서 대체 구매처를 모색하고 있고 


이번엔 호주산 천연가스까지 이러는거보니 



중국도 나름 호주와의 대결에서 밀리면 안되겠다라고 

판단은 한듯 싶습니다.  

(다른 서방권 국가들도 지켜보고 있다는걸 잘 알테니까요) 


향후 어찌될지는 알수없지만

호주 정부로서도 

이제는 상당한 부담을 가질수밖에 없을듯 



굉장히 전방위적으로 

중국이 여러분야에서 공격들어가는 상황이라 


(호주의 경제구조상 

호주산 자원의 최대 수입국인 중국에서 지하자원 만약 다른곳으로 대체한다면

호주로서도 엄청난 경제적 타격일듯) 


반도체 등 핵심 제조 부품과 달리 

자원은 그래도 대체가 가능한 품목이라는 점이 

이런 결과를 가져온듯 


당장 철광석만 해도 

전세계에서 대체할만한 국가가 꽤나 많으니까요 

(물론 그동안 호주가 가깝고 여러가지 품질이 우수해서 중국도 대거 수입한 측면은 있겠지만 말입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크레치 21-05-13 06:57
   
9one 21-05-13 07:44
   
중국 저러다 한방에 가지.
솔고개 21-05-13 08:17
   
말이 다변화이지 호주보다 한곳에서 수입한 비용보다 비싸게 지불하는것은 기존사실이네요
아비요 21-05-13 08:19
   
한한령 보는것 같네요.

그럼 만일 우리나라가 중국에 적극 대처하면 우리나라 기자재 수출물량도 과연 중국이 대체할 수 있을까요?
     
스크레치 21-05-13 12:08
   
한한령이야 그냥 우리 한류스타나 출연 막은정도라

우리 경제에 큰 타격은 전혀 없었지만


호주는 자신들 GDP에서 자원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니까요

우리로 치면 중국이 반도체나 중간재 가지고 저 장난질 치고 있다는 느낌정도로 보시면 될겁니다.


물론 사드당시

중국이 반도체나 중간재 기술력이 없어서

우리 수출은 오히려 증가했습니다만...
나냠냠이 21-05-13 10:05
   
중국의 독보적 장점은 자급자족이 가능하다는데 있죠.
그래서 영국이 그 잘나갔던 시절에도 하도 팔게 없다보니 아편전쟁이 터진이유이고..
그냥 제조업의 끝판왕입니다.
요즘은 인플레를 수출하는 역할을 하며 힘을 과시하는것 같고..
과거같이 전쟁이 가능하다면 중국을 막을 수 있겠지만..
이제는 하이테크 기술로 종속시기는거 외에는 불가능하다 봅니다..
하이테크 기술도 반도체 정도 남았고 나머지 4차산업은 오히려 중국이 앞서는게 많은상황..
여기에 엄청커진 내수시장으로 소비력까지 미국을 앞서니 뭐..
     
스크레치 21-05-13 12:09
   
중국이 제조업의 끝판왕이라구요?

제조업의 끝판왕 산업이라는

자동차, 반도체 어느것 하나 제대로 못만드는 국가가 제조업의 끝판왕이라니 이상하군요


중국의 약점이 자급자족이 불가능하니

저렇게 해외로부터 엄청난 자원을 수입하고 있는거보고서도

그런 얘기를 하신다면...
디비디비딥 21-05-13 10:07
   
미국이 호주 쿼드에 낑구고서
사드때처럼 뒷짐지고 보고만 있을런지...
지누짱 21-05-13 10:22
   
중국이 자원거래선을 바꾼다면 호주로선 답이 없습니다. 중국도 타격입지만 호주도 마찬가지죠. 서로 너무 높은 비율로 묶였으니까요. 60퍼에 달하는 수출처를 어찌 당장 마련할수 있을까요. 또 중국은 러시아에 손내밀면 되지만 이것도 시간이 걸립니다. 아마도 적절한 타협이 이뤄질 겁니다.
식후산책 21-05-13 11:09
   
가격 좀 내리려나?
이미존재하 21-05-13 11:45
   
호주는 대부분 노천광이라 채굴비용이 넘사벽으로 쌉니다. 이 수준으로 채굴 가능한 곳은 인건비가 적게드는 아프리카 정도일텐데 이것 저것 해서 원자재 비용이 올라가면 중국만 문제가 아니라 중국에서 생산해 세계에서 소비하는 소비재 가격에도 타격이 가겠죠. 당사자는 중국 호주지만 관련국은 전세계로 확대되니 자의던 타의던 적절한 타협선을 찾아야할겁니다.
버벅이010 21-05-16 02:47
   
중국의 독보적 장점은 자급자족이 가능하다?
 
 
Total 16,530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952
5705 [전기/전자] 삼성 D램 초격차…이번엔 AI 슈퍼컴 정조준 (3) 스크레치 02-06 2311
5704 [전기/전자] 대만 페가트론 中 공장서 불법 노동…애플 신규 발주 중… (4) 스크레치 11-11 2311
5703 [주식] 보유종목과 시장상황 (10) 지팡이천사 11-12 2311
5702 [자동차] 아이오닉5 역사 새로썼다.. 첫날 사전계약대수 최다 기록 (8) 스크레치 02-26 2311
5701 [전기/전자] 구글, "미국, 대만 반도체 의존으로 AI 리더십 상실 위기" (3) 대팔이 03-02 2311
5700 [전기/전자] SK하이닉스, EUV 시대 개막..10나노급 4세대 D램 양산 (5) Architect 07-12 2311
5699 [기타경제] 요소수 200만리터 국내 생산 돌입 (1) 키륵키륵 11-11 2311
5698 [잡담] 세컨드 휴대기를 개발해야. (10) 이름없는자 08-21 2311
5697 [기타경제] [남미대륙 경제] 1인당 GDP와 명목 GDP 현황 (10) 스크레치 05-26 2310
5696 [전기/전자] 삼성전자, 폴더블폰 '갤럭시X' OLED 패널 올 여름 … (3) 스크레치 07-02 2310
5695 [자동차] 삼성SDI, BMW와 3조8000억 배터리셀 공급계약 체결 (4) 귀요미지훈 11-21 2310
5694 [주식] 골드만삭스 "삼성SDI 꼭 사라" (1) 스크레치 04-12 2310
5693 [기타경제] 넥슨, 中매각 반대 '차이나 포비아' 수면 위로 (3) 스쿨즈건0 01-10 2309
5692 [자동차] 현대모비스, 세계 최초 계기판·HUD 통합한 ‘클러스터리… (3) 스크레치 06-26 2308
5691 [기타경제] 트럼프, 멕시코에 관세폭탄 예고 (11) 귀요미지훈 05-31 2307
5690 [기타경제] 선진국 최저임금 순위 (시급 기준) (8) 스크레치 07-17 2307
5689 [잡담] 크루그먼 "디플레 막기 위해 과감하고 즉각적 조치 필요" (2) 부두 09-09 2307
5688 [전기/전자] 동유럽국 中화웨이 보이콧, "무더기 가세“... (4) 스쿨즈건0 10-30 2307
5687 [전기/전자] 접으려니 잘 되네"..LCD 철수 시기 고민빠진 삼성·LG (2) FOREVERLU.. 06-12 2307
5686 한빛소프트, GPS 기반 AR 게임 '소울캐쳐 AR' 1분기 … (2) 미슷하신 01-25 2306
5685 [기타경제] 독일 경제의 위엄 (3) 코삐 07-14 2306
5684 [잡담] 2021 세계경제(TOP 20 국가) (1) 그대만큼만 04-21 2306
5683 [재테크] 특정 비트코인 홍보 삭제 및 강제조치 (8) legendjang 11-05 2305
5682 [전기/전자] 갤럭시 S10시리즈, 라틴아메리카 사전판매 신기록 (4) 스크레치 03-31 2305
5681 [전기/전자] QLED 디스플레이 난제 '청색광 퀀텀닷' 왜 만들기 … (8) 스크레치 10-21 2305
 <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