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9-06-26 22:54
[기타경제] 선진국 강대국 기준
 글쓴이 : Player
조회 : 3,993  

막연하게 생각하는 사람들 많은데,

일단 GDP는 세부 항목이 있어요

선진국을 구분한다면
그중 서비스 제조업의 비중이 각 60% 20% 이상 비율로 6:2:기타 2
의 구조를 갖춰야 하고,

노동인구의 비중은 서비스 70% 제조 20% 기타 10% 정도의 7:2:1의
비율을 갖고 있습니다.

그래서 도시국가들이나 산유국의 경우 부유한 국가일 수는 있어도 선進국은 아니라고 봐야 됩니다.

제시한 수치는 상하 어림 근사치로 각국의 특성상 다를 수 있지만 대략 그렇다는 것입니다.

반론 있나요?

자 그럼 대국

이건 쉬워요 명목 GDP 규모를 랭킹시키면 됩니다.
유사이래 지구 세계에는 10~20개 국가가 9할 이상을 장악한 역사를 지속하고 있어요.
상위 대국을 고른다면 10개 중위 대국을 포함하면 15~20개국이 됩니다.

인도 브라질 인도네시아 나이지리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필리핀 베트남등등 
인구로 미래에 엄청난 경제대국이 될 것처럼 이야기 하지만,
거의 불가능합니다. 

중국도 막차를 타서 겨우 중진국 수준에 도달했고, 그 규모가 워낙 커서 대국이 된것이죠. 
인도 베트남으로 투자가 몰리지만, 중국도 도달하지 못한 선진국 근처는 어림 없고, 중진국이 되는 시간도 지금 예상과 다르게 장구한 시간이 흐른 뒤일 겁니다. 

개인적인 초이스로 브릭스중 가장 발전가능성이 높은 나라는 러시아입니다.
이 나라의 특징이 장기간 잠적하다 포텐을 한방에 터트리는 나라입니다.
여러분이 아는 러시아 문호들 음악가 과학자등등이 아주 짧은시간에 쏟아질만큼 저력이 높습니다.

자 그렇다면 강국의 기준은

바로 재정, 군사, 과학기술과 문화 입니다. 더 추가하면 도덕적 가치 의식 함유
이중에 가장 중요한 것은 과학기술로 귀결됩니다.

역쉬 GDP에서 이 내용을 뜯어 볼 수 있습니다.
하이테크 제조업 비중이 따로 나와 있어요.

청나라 인도는 19세기에도 1~2위 GDP 대국였습니다. 그러나 결과는 뭐.
열강들에 털리고 영혼가출 했죠, 
그중 러시아를 제외하면 다 국민국가 수준의 국가들였습니다.
오히려 러시아가 가장 제국주의 시대에 허약했습니다.

그런 하이테크 제조업능력을 얼마나 갖추고 있냐가 강국의 우선 조건입니다.

그러나, 이게 뜯아 봐야겠습니다.

그거에 GDP대비 R&D비중을 보고 특허관련해서 교차 검증해보면 됩니다.
이정도에 다시 해당 국가가 얼마나 기술집약국가인가 확인해보자면

종업원 1000명당 연구인력 수를 보면 가늠 가능해요.
이것은 도시국가의 경우 유리할 수 있지만, 위의 필터링으로 걸러 내시면 되고,
한국의 경우 15명 수준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독일 일본의 경우 10명 수준.
대부분의 기술주도 국가들 수준이 10명 내외입니다.

밀리터리도 좀 알아서 설풀 수는 있지만,
경제 산업적으로만 한정해서 이렇다 참고하세요.

그냥 뭉쳐진 사실로는 전혀 실체가 보이지 않아요.

이제 저 사실로 선진인지 대국인지 강국인지 조합해 보세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아잉없나 19-06-27 04:41
   
선진국 강대국 기준은
내생각에는 금융자본과 기술자본이 축적된 나라라고 생각됨 .
이게 우리가 막차 탔다는 말인데 .

금융시스템을 들여다 보면 이제는 돈이 돈을 놓는 시대라 일단 나라가 부강하지 않으면
1차산업 2산업 3차산업 4차산업까지 이어 가지를 못합니다 .

그만큼 자본축적 하기가 어렵죠.
우리도 자본을 쌓기 까지 근 40년 넘게 걸렸고.
하나씩 하나씩 축적 해가며 지금 까지 온거죠.


선진국과 강대국이 될려면 1차 부터 4차 까지 다이루어놓고
정치 경제 문화 국방 까지 아우르는게 선진국과 강대국이죠 .

밑에 라트비아 슬로베니아 키프로스 그리스? 이런나라는 잘사는 나라일분 강대국은 아니죠 .
     
Player 19-06-27 06:20
   
이런 식으로 또 뜬구름 잡으면서 헛다리 짚으면, 글쓴 의미가 -1 되는데.
rozenia 19-06-28 21:03
   
냉정하게 이야기한다면

강대국이란 결국 어느정도 클레스의 산업경제력과 군사력이겠지만 실제로 이 단어들의 의미는 " 러중일 영프독 이 6개국과 산업, 경제, 금융, 기술, 군사력에서 경쟁 혹은 유사시 전쟁상태에서 상호 싸움이 되는 나라" 라고 생각합니다. 당연히 인구도 무기가 되고 무역제재도 무기가 될수있는 나라겠죠

선진국의 기준은 오히려 문화, 기술, 파급력, 제도, 산업구조, 노동구조, 언론의 자유도나 민족성, 다양한 인프라제도 등 " 그나라가 얼마나 선구적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선도하는 나라인가? " 인것같네요

1인당GDP를 기준으로 소비시장규모나 소비의 수준을 보고 문화와 산업구조나 제도가 낙후되어있는지 다양하게 비교분석하는 정도겠죠. 물론 이마저도 서로들 나라마다 기준이 다를거구요

개인적으로 선진국과 강대국은 전혀 기준과 말의 쓰임새가 다르다고 봅니다.

쉽게 말해 우발적이고 불행한 상황에서 주변강국에게 잡아먹히는 선진국도 존재할 수 있다고 보거든요. 고로 선진국=강대국이란 공식이 아닌거죠

러시아는 강대국이지만 제도나 산업구조, 금융 등 많은면에서 선진국이라 하지 않으니까요. 물론 중국도 그렇구요
     
Player 19-06-28 22:57
   
또 -1

초딩이지?
보라빛하늘 19-07-03 00:18
   
군사강대국이 결국엔 깡패입니다.
멀리뛰기 21-01-02 16:20
   
[기타경제] 선진국 강대국 기준 좋은글~
멀리뛰기 21-01-12 07:26
   
[기타경제] 선진국 강대국 기준 좋은글~
 
 
Total 16,50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7931
6209 [자동차] "1년 기다려라" 팰리세이드 열풍…GM은 목숨 건 반격 (6) 스크레치 06-30 3769
6208 [과학/기술] 5년 사용해도 성능 93% 유지되는 '나트륨 배터리' … (8) 진구와삼숙 06-30 3046
6207 [전기/전자] 삼성전자 이미지센서 기술력으로 소니 추월하고 세계 1… (24) 스크레치 06-30 5328
6206 [전기/전자] "日, 반도체·스마트폰 재료 등 3품목 한국수출 규제키로"… (65) samanto.. 06-30 6239
6205 [기타경제] 2.2조 뽑아낸 동해가스전…해상풍력단지로 변신 (14) 스크레치 06-29 6803
6204 [기타경제] 中 "미국의 일방적 제재 거부…이란산 원유 계속 수입" (12) 스쿨즈건0 06-29 5035
6203 [기타경제] 日-EU, 후쿠시마산 식품 수입규제 일부 완화 합의. (9) 스쿨즈건0 06-29 4293
6202 [전기/전자] 애플 韓부품 의존도 현황 (8) 스크레치 06-28 9508
6201 [잡담] 골드만삭스 "주52시간제로 韓경제성장률 0.3%p 하락 위험" (28) 델리알리 06-28 3851
6200 [잡담] 제조업 재고율 20여년 만에 최고치 달성! (27) 델리알리 06-28 2088
6199 [전기/전자] [단독]LG '투명 올레드' 디스플레이 28일 대중에 첫… (9) 스크레치 06-28 3743
6198 [잡담] 韓 제철소 고로 가동 중단 위기, 日 언론도 관심 (25) 축신 06-28 4306
6197 [전기/전자] 도시바 정전 여파···낸드 생산량 4% 줄어들 것" (3) 진구와삼숙 06-28 1820
6196 [기타경제] 中·日 '조선 합작사' 8월 출범...한국 LNG선 아성 … (12) 스크레치 06-28 3419
6195 [자동차] 중국 전기차 , 잇따른 '발화' (9) 굿잡스 06-28 3188
6194 [전기/전자] 삼성전자 8세대 V낸드 목표 제시 (15) 스크레치 06-28 3960
6193 [전기/전자] LGD 세계최초 10.5세대 OLED 양산 준비 본격화 (10) 스크레치 06-28 2967
6192 [기타경제] 현대오일뱅크 아람코에 40兆 정유제품 수출 (5) 스크레치 06-28 2950
6191 [잡담] 2023년 4만불 돌파하겠네요 (5) 폭군 06-28 2863
6190 [기타경제] 대우조선해양 VLCC 또 수주낭보…세계 발주량 64% 따냈다 (8) 스크레치 06-27 4941
6189 [기타경제] (월스트리트저널) 중국, 미국관세 피하기 위해 베트남 이… (17) 귀요미지훈 06-27 4985
6188 [기타경제] 주요선진국 PPP 순위 (2024년) (10) 스크레치 06-27 4405
6187 [기타경제] 만수르보다 돈많은 '석유왕자' 한국원전·천궁 보… (8) 스크레치 06-27 5143
6186 [기타경제] 日 "韓 조선업 보조금, 시장 공정성 왜곡"주장…WTO개혁 … (11) 스쿨즈건0 06-27 5290
6185 [기타경제] "중국의 경제압박… 韓美 `기업가적 공공외교` 강화해야" (5) 스쿨즈건0 06-27 3392
 <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