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9-07-04 08:54
[잡담] 2019년 제2차 한일 경제/무역 분쟁
 글쓴이 : 스포메니아
조회 : 2,246  

2019년 제2차 한일 경제/무역 분쟁

문재인 대통령의 한일 위안부합의 수용불가 및 법원의 강제징용 배상판결에 대한 삼권분립 존중에 대해 트집을 잡아, 일본이 일으킨 경제/무역 분쟁

2017년  5월: 대통령 당선 직후, 문재인 대통령은 아베와의 통화에서 "한일 위안부합의는 우리 국민이 
               정서적으로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 표명
2017년 12월: 문재인대통령, 위안부 합의에 대해 대통령으로서 국민과 함께 이 합의로 위안부 문제가 해결
               될 수 없다는 점을 다시금 분명히 밝힌다며, 정책 수정 시사
2018년  7월: 한일 정상회담에서, 아베가 문재인대통령에게 위안부 합의의 이행을 요구했으나, 
               문재인 대통령은 위안부 할머니들의 반대로 위안부 화해치유재단이 제기능을 못하는 
               상황이라 밝히며, 위안부 화해치유재단을 해산할 것이라고 통보

               이후 한일 위안부합의는 제대로 진행되지 않음

2018년 10월: 한국 법원, 일본기업은 강제징용 피해자에 1억씩 배상하라 판결
2018년 12월: 문재인 대통령, 강제징용 배상 판결 사법부 판단 존중
2019년  1월: 강제징용 피해자, 전범기업 상대로 강제집행 절차 시작
2019년  1월: 문재인 대통령, 한국 정부는 삼권분립에 의해 사법부 판결에 관여할 수 없다고 강조
2019년  5월: 일본, 강제징용 배상 판결에 대해 한국에 중재위 설치 요구, 한국 정부 불응

일본의 경제보복
아베가 우리 한국에 대해 경제적인 보복을 실행에 옮긴 이유에 대해서, 한일간 외교분쟁은 표면적인 것일 뿐이며, 진짜 이유로는 아베의 외교 실패로 떨어진 지지율을 올리고 차기 총선에서 자민당이 이기기 위한 방편이라는 분석이 많음.

2019년  7월  1일: 반도체와 LCD제조에 들어가는 주요 3제품에 대해, 수출 심사를 강화하는 경제보복 개시
                     한국으로의 수출 심사와 허가에 최장 3개월 소요 - WTO 제소를 막기위한 방편

                     추후 금수 품목이 늘어날수도 있다고 언론 플레이를 하며, 우리 정부를 압박 중

한국측 대응
2019년  7월  2일: 정부, 일본에 의존성이 강한 기초 소재, 부품, 장비 개발에 반도체 분야에 내년부터 
                     10년간 1조, 그 밖에 분야에 6년간 5조, 총 6조 투입계획. 
                      추가로 매년 1조원씩 이번에 문제가 된 일제 반도체 소재, 부품 등에 집중 투자 방안 
                      추진
                      - 정확한 방안은 이달 말쯤 발표할 예정
                     정부, 업체들과 협의하며, 대응책 마련 중 발표

- 현재 여기까지 진행 -

:: 일본산 소재에 대한 대체재를 국내에서 개발해서 해결 하겠다는 대응은, 이전에 일본이 중국에 희토류로 당했을때 내놓고 실행에 옮기고 있는 대응방식과 거의 똑같습니다.

기초 산업의 일본 의존도가 상당한 우리나라이기 때문에, 앞으로 정부가 어떤 현명한 대응을 할 것인지 지켜봐야 할 것이지만, 희토류 금수 조치때 일본이 중국에 항복했던 것처럼 굴욕적으로 완전히 백기를 드는 일은 없었으면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우리 국민들과 기업들이 함께 뭉쳐 현명하게 대응을 하고, 다시는 이 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국민 모두가 스스로 노력했으면 합니다.

그리고, 국민들이 자발적으로 동참하는 일제불매 운동은, 일본에 대응하는데 있어 큰 힘이 되죠.

참고로, 전세계의 모든 기업들은 2010년 중국의 희토류 금수 조치와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그리고 잦은 일본의 지진과 홍수로 인해 재료와 부품의 공급망(supply chain)이 망가져 제품생산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하자. 안정적으로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지정학을 고려한 공급망(Geopolitical Supply Chain)을 마련해서 위기에 대처하는 시스템을 만들어 왔습니다 - 간단하게 말하면, 제품 생산을 위한 부품과 소재의 공급망을 한 나라, 한 지역, 한 회사에 의존하지 않고 공급처를 여러 나라, 여러 지역, 여러 회사로 분산시키는 것이죠. 애플이 하는 것을 많이 봐 왔으니, 잘 이해하리라 생각합니다.

아마도, 우리 기업들, 특히 삼성 같은 경우에는 지정학적 문제로 인해 일어나는 공급망 위기에 대처하기 위해 많은 준비를 해놨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SK나 LG도 잘 준비가 되었기를 바랍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분석 19-07-04 10:56
   
이슈때마다 반복되는 이유는 목표가 불명확해서 그런듯. 10년동안 1조가 아니라.. A소재 개발하는데 몇조에 몇년완료계획 이렇게 잡혀야 함. 매년 반복되는 일 지금도 하는 듯.

그리고 요즘처럼 4차혁명 시대에는 기술개발보다는 M&A로 기술을 사와서 시작하는게 트랜드임. 시대가 바뀜. 기술격차는 언제나 줄어들게 되어 있음. 누가 머저 선점을 하고 진입장벽을 치는지가 중요함.
미친파리 19-07-04 13:54
   
10년간 1조면 1년에 천억인데..
그걸로 뭘 할 수 있을랑가요
     
스포메니아 19-07-04 14:41
   
정확하게 못썼네요. 아래를 참조하시길
---
산업부는 이날 반도체 소재·부품·장비에 2020년부터 10년간 1조원을 투입하는 사업은 이미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고 일반 소재·부품·장비의 경우 2021년부터 6년간 5조원을 투입하는 방안은 예비타당성 조사가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이 중에서 일본 수입 의존도가 높은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개발은 산업부가 7년간 5200억원, 과기정통부가 10년간 480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라고 한다.

정부 투자 목표는 부품·소재 경쟁력 제고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이날 하반기 경제정책방향 브리핑에서 “이번에 (일본에서) 규제가 되고 있는 소재와 관련해 기간산업에 필수적인 소재부품, 수입선 다변화, 국내 생산 경쟁력 제고 등을 위해 매년 1조원을 집중 투자할 것”이라고 말했다. 산업부는 이달 안에 좀 더 구체적인 정책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멀리뛰기 21-01-02 17:01
   
[잡담] 2019년 제2차 한일 경제/무역 분쟁 좋은글~
멀리뛰기 21-01-12 07:29
   
[잡담] 2019년 제2차 한일 경제/무역 분쟁 멋진글~
 
 
Total 16,511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8293
6311 [기타경제] 中 ‘세계의 공장’ 흔들 (6) 스크레치 07-05 3240
6310 [기타경제] 구매력 평가 기준 1인당 GDP, 한국 세계 32위...일본 31위 (12) 유랑선비 07-05 2685
6309 [기타경제] 일본의 반도체 관련 수출규제에 관한 한국미디어가 알려… (11) 부엉이Z 07-05 4302
6308 [기타경제] 일본 규제 품목였던 폴리이미드 개발성공 (22) 객관적평가 07-05 6055
6307 [과학/기술] 포스코강판, 불에 강한 컬러강판 개발 (3) 진구와삼숙 07-05 2087
6306 [잡담] 文대통령, 대기업 총수들 만남 검토…日 수출규제 대책… (45) 델리알리 07-05 3086
6305 [잡담] "日 문제로 경제산업 피해에도, 정치·외교적 움직임 안 … (37) 델리알리 07-05 3605
6304 [잡담] 오늘자 조선닷컴 댓글들......충격적이네!!!!! (18) 아넬카 07-05 4663
6303 [기타경제] 일본가서 1달만 살아봐라. (26) 상햐이 07-05 7716
6302 [주식] 아베의 노림수. (4) 귤쟁반 07-05 2995
6301 [기타경제] 일본 튼튼하지 않습니다. (9) 화이팅 07-05 5872
6300 [기타경제] 우리나라 대기업들의 기업운영 행태가 이 사태를 불렀다 (15) 꽈일라씨 07-05 3165
6299 [잡담] 아직 우리나라 네티즌에게는 일본내수시장은 막강하다 … (21) wpxlgus1234 07-05 4436
6298 [전기/전자] 엔비디아 "삼성전자와 차세대 GPU 생산 협력" (7) 스크레치 07-05 4430
6297 [자동차] 현대기아차 미국서 잘 팔리네 (5) 스크레치 07-05 3094
6296 [기타경제] '한국은 큰 단골'日기업 속앓이…日 언론도 "보복… (4) 스쿨즈건0 07-05 5547
6295 [기타경제] "함께 망해"···한국 수출 규제에 일본 내 '부메랑’… (4) 스쿨즈건0 07-05 3256
6294 [전기/전자] 아이폰11 日 첨단물질 수출제한에 직격탄 맞을 수도 (4) 스크레치 07-05 4423
6293 [전기/전자] 국내 업체들이 대체품 찾는 데 집중하고 있다네요 (10) darkbryan 07-05 4543
6292 [전기/전자] 소니 “TV 못 만들 판”… 아베 '무리수'에 불만 (9) 스크레치 07-04 4863
6291 [기타경제] 경제 재재요? ㅎㅎㅎ (16) 객관적평가 07-04 4107
6290 [전기/전자] 코오롱 "日수출제재 영향 없어"..."플루오린 폴리이미드 … (4) 스크레치 07-04 4111
6289 [기타경제] 모나미, 모닝글로리 일본 불매운동 효과? 日 필기구에 밀… (4) 굿잡스 07-04 3230
6288 [기타경제] 日불매운동 모나미 '방긋' (21) 스크레치 07-04 4406
6287 [전기/전자] 도시바까지 악재…日 소재 판로 위축 '이중고' (6) 진구와삼숙 07-04 4618
 <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