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9-12-12 16:39
[기타경제] 미국 연준 금리 만장일치로 동결...그 배경은?
 글쓴이 : 귀요미지훈
조회 : 2,458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미국 기준금리를 현행 1.50~1.75%로 동결했다. 이날 결정은 연준 위원 10명의 만장일치로 내려졌다.

연준 위원들의 향후 금리 경로 전망인 점도표에서도 내년 말 금리 예상치가 1.6%로 제시됐다. 올해 말과 같은 수준으로 내년 금리 인상이 없다는 의미다.


----------------------------------------


미 연준에서 현 경제상황을 어떻게 보고 있으며 왜 금리를 동결했는지 

그 배경을 이해 하는데 다소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어

기사에는 나오지 않지만,

연방준비제도의 파월 의장의 기자회견 발표내용 중 일부를 번역해 봤습니다.




- (이번 금리동결 결정은) 미의회가 우리에게 부여한 목표인 '최대 고용'과 '물가 안정'을 달성하기 위한
최선책에 기반한 결정이다.

- 미중무역분쟁 등의 현재 진행형인 리스크들에도 불구하고 우리 경제는 순조로운 상황이다.

- 우리는 (현재) 통화정책이 지속적인 경제성장, 안정적인 고용시장, 2%에 가까운 물가상승율 등을
지원하기 위해 적절하다고 믿는다.

- 경기확장세가 11년째 이어지고 있어 역대 최고수준이다.

- 가계의 소비지출 또한 건전한 노동시장, 소득상승, 견고한 소비자 자신감을 기반으로 안정적이다.

- 반면, 기업의 투자와 수출은 약한 모습이고 제조업 생산은 감소세에 있다.

- 종종 그래왔듯, 해외의 저성장과 무역분쟁들이 이 섹터들을 압박하고 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인 경제는 적절하게 성장하고 있다.

- 가계 부문의 강세와 우호적인 통화 및 재정 상황으로 인해 적절한 성장세가 계속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 향후 몇 년간의 GDP 성장율은 다소 낮아질 것으로 예상되나 여전히 2% 근방으로 전망된다.





요약을 하자면,

1. 미중무역분쟁, 글로벌 불황 등으로 인해 제조업과 수출은 약한 모습이지만
2. 고용, 가계소비, 물가 등 대부분 지표가 좋다
3. 큰 폭의 성장은 아니지만 '괜찮은(moderate)' 수준의 성장이 이뤄지고 있고
향후 몇 년간 이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정도로 요약이 될 듯 싶습니다.




연준 위원들 전망으로는 내년에도 금리를 내릴 계획이 없는 것으로 나옵니다.

하지만 위 연준의장 기자회견 발표 내용 중 3번째 문구에 나오는 '2%의 물가상승율'에 

주목을 해야 할 필요가 있을 듯 합니다.

이 2% 물가상승율이라는 건 미국의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PCEPI)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 PCEPI가 2%를 넘길 경우, 경기과열을 우려해 보통은 금리를 인상합니다.

그런데 현재 미국의 PCEPI가 2%에 근접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렇다면 향후 금리인하가 아니라 오히려 금리인상을 할 확률도 상당히 있다는 뜻이 되겠습니다.



향후 경기가 어떻게 펼쳐질지는 연준 의장은 물론 며느리도 모르는거지만

만에 하나라도... 만약에... 미국이 금리를 인상하게 된다면 

우리 입장에서는 경기부양을 위해 금리를 낮추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우리 통화정책과 경기부양책에 있어 상당한 부담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귀요미지훈 19-12-12 16:39
   
뭐꼬이떡밥 19-12-12 17:56
   
저사람은 경제 정책 세우는데 얼마나 편할까...

그냥 심시티 무한 치트 키고 하는 느낌일테니
moots 19-12-12 18:16
   
2008년 세계금융위기를 일으킨 주범 미국 경제만 나홀로 호황이고 나머진 나라들은 위기직전.
일말의 양심이 있다면 글로벌 경제회복과 금리인상 시기에 무역전쟁을 일으켜
글로벌 경제를 두번 죽이는 짓은 하지 말았어야 했는데 또라이 트럼프가 지금도 계속 하고 있는 중.
짱깨 잡는다며 동맹국들을 상대로 관세와 방위비로 갑질하고 양아치짓 하는거 보면 이것들도 개노답입니다~!

연준이 만약 금리 올린다면 저금리가 유리한 부동산업자 트럼프 미치광이가 또 무슨 짓으로
지난번 처럼 경제지표 망쳐서 금리인하 유도할지 모릅니다.
마이너스 금리라고 경제가 살아나는건 아니라는건 일본을 봐도 알수 있듯 금리인상 해야 합니다.
     
귀요미지훈 19-12-12 20:12
   
한편으론 중국을 조지면서 다른 한편으론 동맹들을 우대해주고 미중무역분쟁으로 인한 피해를 최대한 커버해주면서 연대를 강화해야 하는데 피아식별도 없이 너무 무분별하게 욕심을 부리는 것 같습니다.

네..물론 금리만 내린다고 경제가 금새 살아난다는 보장은 없겠지요.
올해 우리 상황만 봐도 알 수 있구요.
돈이 시중에 없는 것이 아니라 돈은 있는데 기업이나 가계나 불황에 대한 심리위축으로 돈이 돌지 않기 때문이죠.
문제는 만약에 미국이 금리인상을 해서 이에 따라 우리도 인상할 경우 시장이 어떻게 반응할지가 관건인 듯 싶습니다. 금리인하 때는 경기부양에 별 효과가 없었는데 막상 금리를 올릴 경우엔 안 그래도 돈이 은행으로만 쏠리는 상황에서 경기를 더 냉각시키는 소재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지 않나 하는 것입니다.

일본의 경우엔 이미 저금리가 오랫동안 고착화되어 있어 금리인하를 통한 경기부양 효과는 거의 없기에 예외적인 경우로 보는게 더 맞을 듯 싶습니다.
멀리뛰기 21-01-02 18:17
   
[기타경제] 미국 연준 금리 만장일치로 동결...그 배경은?  잘 보았습니다.
멀리뛰기 21-01-12 08:36
   
[기타경제] 미국 연준 금리 만장일치로 동결...그 배경은? 감사합니다.
 
 
Total 16,531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300352
6356 [과학/기술] 삼성전자, 세계 최초 '6세대(1xx) V낸드 SSD' 양산 (14) 너를나를 08-06 2468
6355 [기타경제] 델타항공 아시아거점 Jap에서 한국으로…인천공항 동북… (3) 굿잡스 08-15 2468
6354 [기타경제] 알짜 싱가포르 노선 '항공자유화' 되나… 아시아… (3) 너를나를 11-23 2468
6353 [과학/기술] SK, 유럽 최대 유전자·세포 생산 기지 구축 (2) Architect 06-14 2468
6352 [기타경제] 日업체 이탈한 스페인 韓기업 러브콜 (3) 스크레치 06-22 2468
6351 [과학/기술] ETRI, 초저지연·무손실 보장 통신 기술 개발 (6) 귀요미지훈 12-10 2467
6350 [전기/전자] 中 12나노 미세공정 반도체 양산 추진…프로젝트 주체 … (8) 스크레치 01-29 2467
6349 [기타경제] 러시아 gdp추월에 대해서 (3) kj02020 06-09 2467
6348 [기타경제] LG, 신성장 축으로 ‘베트남’ 낙점 (8) 스크레치 03-25 2466
6347 [전기/전자] 삼성전자 최대 분기실적..세계 1위 반도체의 힘 (4) 스크레치 04-26 2466
6346 [과학/기술] CCTV·블랙박스 '사각지대' 사라질까…신기술 개발 (4) 진구와삼숙 06-18 2466
6345 [전기/전자] (인도언론) 모토롤라 폰, 삼성 엑시노스 탑재 (3) 귀요미지훈 06-20 2466
6344 [전기/전자] "연휴는 남일" 韓반도체·디스플레이 공장은 '풀가동 … (12) 스크레치 02-12 2466
6343 [잡담] SK하이닉스 내년 영업이익 20조원 전망 (4) 강남토박이 06-12 2466
6342 [기타경제] 긴급재난지원금 추경]빚 없는 추경..국방·SOC 등 예산 7.6… (14) 굿잡스 04-16 2465
6341 [잡담] 미국 반도체 전략의 핵심 파트너가 바로 인도임 (5) 강남토박이 06-27 2465
6340 [전기/전자] 삼성전자, 유럽 전체 TV 점유율 33%로 1위…프리미엄 TV 62% … (3) 스크레치 11-21 2464
6339 [잡담] 제가 한국 imf 외환위기에 대해서 잘 모르는데.. (13) 공평 01-28 2464
6338 [금융] 중국 탈중앙 금융 플랫폼 디포스, 해킹으로 자산 99% 털려 (6) 유랑선비 04-21 2464
6337 [기타경제] '조 단위' 브라질발 해양플랜트 밀려온다 (4) 스크레치 05-28 2464
6336 [주식] 100세시대의 주식투자 (15) 지팡이천사 04-03 2464
6335 [기타경제] 지난달 수출물량 5개월만에 2.4% 반등 (7) 귀요미지훈 05-25 2463
6334 [기타경제] 한,러시아 물류(선박,철도) 연결 사업이 중요한 시점인… (5) 조지아나 03-25 2463
6333 [기타경제] “예상 뛰어넘은 한국경제 회복세, 회의론자들 또 틀렸… (2) FOREVERLU.. 05-11 2462
6332 [잡담] 스팀덱 잡설 (3) 이름없는자 08-23 2462
 <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