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10-19 16:09
[전기/전자] 삼성전자, 올해 '파운드리 2위' 목표 달성할 듯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2,618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8&aid=0004227362







삼성전자가 올해 세계 파운드리 시장에서 

세계 2위로 올라올 것으로 전망 (점유율은 지난해 2배 이상인 14%, 매출액 100억 달러 넘어설 전망) 



지난해 파운드리 시장 세계 4위였는데 

올해는 드디어 파운드리 시장 세계 2위에 점유율도 2배이상 급상승하면서 

삼성전자가 파운드리 시장에서도 빠르게 존재감을 보이기 시작하네요 


이번에 EUV 노광장비 활용한 7나노도 세계 최초로 양산들어가기 시작하면서 

앞으로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시장 점유율도 더욱 기대해봐도 좋을듯 







<2018년 세계 파운드리 시장 현황> (IC인사이츠)



2위 삼성전자 (14%) (지난해 세계 4위 - 점유율 6%)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크레치 18-10-19 16:09
   
kira2881 18-10-19 17:03
   
삼성 응원합니다.
     
스크레치 18-10-19 17:08
   
화이팅해야죠
영ㄱㄴㄷ 18-10-19 17:39
   
역시 7나노 효과가 있군요 최종 3나노까지 가면 반도체 파운드리 투톱으로 갈지도 모르겠군요 이제 반도체 제조 장비와 부품 분야의 중소기업만 팍팍 나와준다면 중국이 아무리 따라온다해도 최소 20년은 끄떡없을텐데 말이죠 제발 미국 유럽 일본에 돈주지말고 우리끼리 다 해먹었으면좋겠네요
     
스크레치 18-10-19 18:04
   
7나노 효과는 아직 없습니다.

EUV 노광장비 7나노 양산은 이제부터가 시작이고

본격적으로 내년부터 반영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것도 팹리스가 물량을 줘야

가능한 이야기구요)


그리고 이미 사실상 파운드리도 삼성과 TSMC 투톱체제입니다.

비단 올해 저런 점유율뿐만 아니라

기존 2위였던 미국의 글로벌 파운드리는 7나노 공정 개발을 포기한 상태입니다.


파운드리 점유율 핵심은 무조건 애플과 퀄컴 물량입니다.

애플은 삼성과의 경쟁심리 때문에 쉽지 않은걸 감안하면

퀄컴쪽 물량이 변수입니다.



반도체 제조장비야 뭐 네덜란드 ASML이 독점하고 있는 분야이니

쉽지가 않습니다. 중소기업 정도가 할 레벨이 아니라는 얘기죠


기타 제조장비들은 대한민국에서도 꽤 많이 만들고 있습니다만

ASML에서 만드는 첨단 노광장비는

네덜란드에서만 만드는것도 현실이니까요


요즘 같은 국제화 시대에 우리끼리 다 해먹는다는건 있을수가 없습니다.

필요한건 상대방으로부터 도입해서 더 비싼 가격으로 팔아먹고 남기고 하는등

수익을 내야겠죠


네덜란드 ASML이 최첨단 장비를 공급하고

그걸 이용해서 삼성은 더 많은 수익을 내고 

이런 구조로 갈수밖에 없다는 얘기
          
라거 18-10-19 18:11
   
화웨이도 있습니다. 얼마나 생산하는지는 모르겠지만. 7나노
               
스크레치 18-10-19 18:16
   
파운드리 얘기하는데 화웨이는 뭔가요?

파운드리와 화웨이는 1도 관계가 없는데요


칩 7나노 만든다는거 말씀하시는거에요?

그나마 그 기린칩인지 뭔지도 저번에 성능 속이고 조작하다 걸려서

품질은 영 꽝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입니다.

뭐 모든 중국산 제조물품이 그런식이지만서도
                    
라거 18-10-20 09:54
   
화웨이에 왜 없죠??하이실리콘이라고 못들어봤나요?? 화웨이 자회사입니다.
                         
스크레치 18-10-20 12:37
   
그래서 그 회사가 7나노 공정 개발한 상태입니까?

중국에서 그나마 저가 파운드리로 적은 점유율이라도 확보하고 있는 회사조차

28나노에서 버벅거리고 있는 상황인 기술력인게 현실인데요 


화웨이 그 기린칩인지 뭔지 물량은 전부 TSMC에 맡기고 있는데요
                         
라거 18-10-20 18:33
   
https://en.wikichip.org/wiki/hisilicon/kirin/970
기린 970 10나노 조차 하이 실리콘으로 나오는데요
                         
야하하 18-10-20 19:15
   
라거님께서 잘못 아시고 계시는게 있네요. 하이실리콘은 파운드리업체가 아니라 팹리스 업체입니다. 기린 970은 tsmc에서 생산됩니다. 따라서 파운드리 업체에선 화웨이는 상관없어요.
               
참치 18-10-19 20:47
   
ㅎㅎ
영어탈피 18-10-19 21:01
   
와 반도체 위기였는데 그걸또 기술혁신으로 뛰어넘네
     
정말미친뇸 18-10-19 23:47
   
위기인적 없는대요! 일본 위기 말하시나? 중국이 반도체 생산해도 기술 딸려서 직접도도 20나노 때로 알고있고 또 그 20나노도 수율 개판이라 돈만 미친듯이 투자함 ㅋㅋㅋㅋㅋㅋㅋㅋ 또 중국이 생산해서 판매한다고 해도 삼성 바로 가격인함
Snow 18-10-20 00:12
   
삼성 대단하네요..
슬램덩크 18-10-21 09:49
   
반도체는 치킨게임 이후로 위기는 없었죠. 고점 논란은 맨날 하는 소리이니 새로울게 없는 소식이죠. 미중 무역전쟁때문이라 하면 타 업종도 마찬가지라 위기라고 보기는 어렵죠.
멀리뛰기 21-01-02 14:53
   
[전기/전자] 삼성전자, 올해 '파운드리 2위' 목표 달성할 듯 좋은글~
멀리뛰기 21-01-08 14:43
   
[전기/전자] 삼성전자, 올해 '파운드리 2위' 목표 달성할 듯 멋진글~
 
 
Total 218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43 [기타경제] 주요 선진국 4만불 돌파시점 현황 (2) 스크레치 11-05 1617
142 [기타경제] 80년대 부자나라 TOP 30 (4) 스크레치 11-04 2614
141 [전기/전자]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반도체 투자 축소해 업황 회복 앞… (10) 굿잡스 11-04 3362
140 [기타경제] 세계 국가브랜드 가치 순위 11위~20위 (35) 스크레치 11-02 4715
139 [기타경제] 세계 TOP30 부자나라 순위 (2023년) (2) 스크레치 10-31 3113
138 [기타경제] 선진국 3만불 돌파까지 걸린 시간 (2만불 -> 3만불까지) (13) 스크레치 10-26 2696
137 [기타경제] 세계 TOP 30 부자나라 순위 (2018년) (8) 스크레치 10-22 6195
136 [기타경제] 역대 선진국 1만불/2만불/3만불 돌파시점 (IMF) (2) 스크레치 10-21 2524
135 [전기/전자] 삼성전자, 올해 '파운드리 2위' 목표 달성할 듯 (18) 스크레치 10-19 2619
134 [기타경제] 25개 선진국 명목 GDP 현황 (2018년) (6) 스크레치 10-16 2960
133 [기타경제] 역대 선진국 1인당 GDP 3만달러 최초 돌파시점 (7) 스크레치 10-14 4347
132 [기타경제] 주요 개발도상국 1인당 GDP 현황 (IMF 2018 확정판) (16) 스크레치 10-12 3718
131 [기타경제] [대한민국 3만불 돌파 확정] 25개 선진국 1인당 GDP 현황 (20… (20) 스크레치 10-11 6446
130 [잡담] IMF에서 발표한 세계 2018년 GDP (6) 축신 10-11 5157
129 [기타경제] [최신 세계 여권(Passport) 랭킹] (주요 선진국) (2018년) (12) 스크레치 10-10 4342
128 [기타경제] 주요 개발도상국 TOP 30 인간개발지수 순위 (2018년) (2) 스크레치 10-08 1850
127 [기타경제] 세계 TOP 50 브랜드 순위 (2018년) (12) 스크레치 10-07 3097
126 [기타경제] 기타 상위권 선진국 인간개발지수 순위 (2018년) (2) 스크레치 10-06 966
125 [기타경제] 최상위권 선진국 인간개발지수(HDI) 순위 (0.900이상) (2018… (4) 스크레치 10-05 1789
124 [기타경제] 2018년 최신 인간개발지수(HDI) 주요 선진국 순위 (TOP 30) (8) 스크레치 09-30 3624
123 [잡담] 상반기 외국인 배우자 주요 국가별 증가 현황 (12) 스크레치 09-28 3481
122 [기타경제] "韓, 18번째로 살기 좋은 나라" (19) 스크레치 09-28 3780
121 [기타경제] 인건비 뛰자 ‘中 인해선술’ 흔들… ‘수주 1위’ 6년만… (16) 끼따뿌타스 09-28 4915
120 [전기/전자] 삼성전자, 3년만에 EUV 생산성 확보…"3나노까지 질주" (13) 스크레치 09-18 4964
119 [기타경제] 유럽대륙 1인당 GDP 증가현황 (5년간) (10) 스크레치 09-13 2126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