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1-12-24 18:21
[자동차] 한국 전기차 주행거리 3배 이상 늘려주는 배터리 기술 나왔다
 글쓴이 : 조지아나
조회 : 7,351  


연구성과도  중요하지만,  산업정보 기술유출 방지,보안에  대처하길 기대합니다.
 해당 연구 성과가 중요한것이,   단순  일반 차량뿐만 아니라,   방산무기 (자주포,전차, 잠수함 등)에도 적용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방산분야를 고려하면,  방산 전략무기 기술(?)  지정해야 하는것 아닌가? 생각이 들게 됩니다.
 국가 지정 보안 기술 기준이 무엇인지는 몰라도...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5&oid=081&aid=000323736
기사입력 2021.12.14


국내 연구진이 전기차의 주행거리를 이론상 3배 이상 늘릴 수 있는 배터리 기술을 개발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연구팀리튬이온배터리의 고용량 음극 소재인 실리콘의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는 합성기술을 개발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소재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네이처 에너지’ 12월 14일자에 실렸다.

전기차의 1회 충전 주행거리는 탑재된 배터리 용량에 비례하는데 음극소재에 좌우된다. 이에 한다. 특히 현재 사용되는 리튬이온배터리의 음극소재는 흑연인데 흑연보다 이론적 용량이 10배 이상 큰 소재가 바로 실리콘이다. 문제는 실리콘을 이용해 음극을 만들었을 경우 충방전 때마다 실리콘 부피가 3배 이상 부풀어 오른다는 것이다. 더군다나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면서 구조적 손상이 발생하기 쉽고 팽창하면서 가스에 의한 폭발 위험도 있다. 이 때문에 흑연에 실리콘 소재를 5% 안팎으로만 포함시켜 사용하거나 덩어리 실리콘을 잘게 부숴 합성하는 방식을 활용했다.

연구팀은 양자역학계산을 통해 원료물질을 가스형태로 만들어 합성하는 기상증착을 통해 실리콘 입자를 1나노미터 이하로 줄이는데 성공했다.

- 이하 생략 -

끝.


조회수 9,550회  
2021. 12. 24.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미켈란젤리 21-12-24 21:36
   
상용화 안됩니다 ㅎ
     
xkflf 21-12-25 17:05
   
아니요. 상용화가 되긴 될거예요. 약 10~15년후
기술개발하고 상용화 하는데 보통 10년은 걸리더군요.
          
담배맛사탕 21-12-26 22:36
   
이미 15년전에 나노 탄소소재로 꿈의 충전시간을 달성하고
상용화 앞두고 있다고 하는뉴스를 셀수도 없이 나오고 있는중.
또 10년 15년 후. . ㅋ. . 뭐 언젠가는 되겠지요. 그냥 웃습니다 ㅋ
     
도나201 21-12-28 04:06
   
상용화가 가능한 기술입니다.
상용화가 안된다라는 것은 대량생산체계가 마련되지 않았다라는 뜻.
저런 기술개발도 .. 대량생산체계가 불가능한 기술이 있죠.
대표적인게 바로 . 흑연의 나노절연체 같은 경우.

근데  실리콘의  나노체는 의외로 형성되는것은 대량생산체계가 가능한 물질이라서
의외로 상용화시기가 빨리 올듯 합니다.
킹크림슨 21-12-25 11:42
   
네이처에 실릴 정도면 개요는 나온 거 아닌가?
탱글곰 21-12-25 12:36
   
전고체고..뭐기시고 간에 새로운 배터리가 나오면  IT장비에 먼저 쓰임. 자동차는 가장 뒷순위임..
3원계 배터리 나왔을때도 휴대폰>자동차 터지고 불나고 하는거임..
     
도나201 21-12-28 04:07
   
최종기착지가 자동차 배터리라는 것이죠.
우선 상용화하면 소비재로서 가장 돈이 되는 물건이 차량이라서.

it관련 기술 휴대폰등은 좀 다른 이야기임.
유장만 21-12-25 17:18
   
에이 그냥 제목 어그로 조회수팔이 체널이네
 하 진짜 저런 채널에 1년전영상 맨날 어디폭망 중국폭망 미국도 놀랏다  대만 초비상 망연자실
일년후 바낀거 하나도 없음 ㅋㅋㅋ문제다 문제 ㅋㅋ
푸른마나 21-12-26 18:11
   
기존 배터리에 비해 단점이 없다면 5-10년후에 상용화 되겠죠... 현재 배터리 시장 상황상 더 빠른 상용화도 가능할거구요...
단점이 있다면 뭐 단점을 없애기전까진 무기한 연기 될테구요..
 
 
Total 16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88 [잡담] 태국 현지인이 운영하는 "보라 마트" 34개 지점 (ft. 맥심… 조지아나 01-23 4388
87 [잡담] 중국 CATL& 도요타, LG 엔솔& 혼다 미국 합작회사 설립 (6) 조지아나 01-22 4011
86 [잡담] [인도] 포스코 , Hyundai global motors (5) 조지아나 01-22 2518
85 [잡담] 한국 , 스리랑카 경제협력 강화_ 스리랑카 동쪽 항만 공… (3) 조지아나 01-17 5711
84 [잡담] [Why Times] 한국기업에 4조 투자한다는 중국의 꼼수 조지아나 01-12 2566
83 [잡담] 인도 SNS 실검 1위 Kpop 첼린지 (한류 확산 속도 급상승중) (14) 조지아나 01-06 8542
82 [잡담] 신라와 이란(이슬람) 고대사의 접점 ( ft. 이란의 건국역… (3) 조지아나 01-01 3541
81 [잡담] [네이처]독일역사학계 분석 인도타밀 <-> 한국어 동… (3) 조지아나 01-01 3406
80 [자동차] 한국 전기차 주행거리 3배 이상 늘려주는 배터리 기술 나… (9) 조지아나 12-24 7352
79 [기타경제] 인도 반도체, 디스플레이 제조기업 유치위해 100억 달러(1… (3) 조지아나 12-23 4551
78 [잡담] 2021/12/13 MISS Universe 우승자 인도- BTS Fan massage 인용 화제 (1) 조지아나 12-20 1827
77 [잡담] 2022 MISS America (장학금)100 주년 - 한국계 여성 최초 우승 조지아나 12-19 2243
76 [잡담] 중앙아시아 투르크어 5개국, 돌궐연맹체 " OTS: 출범 - (1) 조지아나 11-28 3800
75 [기타경제] 인도 상공부 장관 한국 기업 한정 특혜성 투자유치 진… 조지아나 11-28 3294
74 [잡담] 인도양 해저에 발견된 태극 문명(ft.마한) 조지아나 11-11 3386
73 [잡담] 넷플릭스와 한국 기업협업으로 놀이동산, 만들면 좋… (10) 조지아나 11-01 3166
72 [잡담] 오징어 게임의 영희 의상은 왜 팔지 않을까요? (5) 조지아나 10-30 6243
71 [잡담] [넷플릭스]네덜란드에 등장한 오징어게임 " 영희" 인형 조지아나 10-17 7351
70 [기타경제] 넷플릭스, 월마트와 손잡고 '오징어 게임' 굿즈 … (1) 조지아나 10-16 5425
69 [잡담] 오징어 게임 소품 저작권_비닐로 싸여진 술래인형 (ft.대… (3) 조지아나 10-16 4895
68 [잡담] 프랑스 한류인기에 편승한 중국인들 코리안 레스토랑 다… (14) 조지아나 10-06 11985
67 [잡담] 인도네시아 "kim chi"표기 현지인 생산공장 vs 한식진흥원 "… (2) 조지아나 10-05 2990
66 [잡담] 스페인의 경제주류인 바스크 민족유물_ 삼족오 (ff.고조… 조지아나 10-02 2607
65 [잡담] 넷플릭스 전세계 차트 1위(ALL KILL ft.인도인 한국인 형제) 조지아나 10-02 2411
64 [기타경제] 미국 10대 이슈인 "로블록스" 속에 오징어 게임~ & 한국의… (2) 조지아나 09-28 4751
 1  2  3  4  5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