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0-11-17 14:34
[기타경제] 중진국 함정에 빠진 국가들의 사례를 보면, 빈부격차가 세계최고 수준이라는 공통점이 있더군요.
 글쓴이 : 빛둥
조회 : 2,589  

스크래치님이 정리해 주시는,

중진국 함정에 빠진 국가 목록을 보면,

태국, 아르헨티나, 브라질, 말레이시아, 카자흐스탄, 멕시코.

현재까지 이 나라들의 리스트를 본 후, 오늘 태국에 대한 나무위키 설명을 보다가 아래 그림을 발견하고서,

강한 공통점을 느꼈기에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World_Bank_income_equality.jpg

2005년부터 2009년까지 구할 수 있는 가장 최신의 자료로 각국의 지니계수와 상위20% 수입계층과 하위20% 계층을 비교한 표입니다.

이 표에서, 앞서 말한 여러 중진국 함정에 빠진 국가들을 찾을 수 있습니다.

태국 2위, 브라질 3위, 멕시코 4위, 아르헨티나 6위. 나머지 2나라는 말레이시아와 카자흐스탄인데,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income_equality

영문위키의 Gini index 국가별 표를 보면, 말레이시아는 2009년 46.2를 기록해서, 앞의 표에서 빠졌을 뿐, 태국, 브라질, 멕시코, 아르헨티나와 차이가 없습니다.

다만 카자흐스탄은 28.9(2011년)에 불과한 것을 보니, 자원개발의 이익을 (민간에 풀면서 빈부격차를 만들지 않고) 주로 국가가 거두어 들여서 세금대용으로 쓰고 있는 것 같습니다.


자본주의의 속성상, 경제개발 초기에 일부 계층의 소득과 재산이 늘어나니, 빈부격차가 큰 것은 어쩔 수 없는 측면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 상태가 계속되면, 중간층과 그 이하 계층은 국내 제조업 기업의 소비계층이 되지 못하고, (부자들의 삶에 의해 자극받은 가난한 계층 청년들의 일탈에 의해) 치안은 나빠지기만 하며, 공교육을 통해 산업계가 필요로 하는 인력배출능력은 저하됩니다.

이런 현상을 극복하려면, '민주화'를 통해 '표의 힘'으로 빈부격차를 완화(구체적 방법으로는 기초교육 대규모 보급, 중등교육과 고급교육 수준 높이기, 치안개선, 의료보험과 연금제도 수립, 소득/재산 누진세로 사회개선을 위한 투자재원 마련 등)시키는 정부가 들어서고 (가끔 정권교체는 있더라도) 계속되어야 합니다.

결국 중진국 함정이란 것은, 이러한 필연적 단계를 못 넘어가는 국가들의 겉보기 현상이라고 생각됩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크레치 20-11-17 16:39
   
잘보고 갑니다.

좋은 분석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유기화학 21-04-03 04:59
   
22
아무 20-11-17 23:49
   
많은 요소, 결국은 운도 맞아야 합니다.

한국은 경제 발전과 함께 대내적으로는 민주화된 정치체제를 가지면서 상대적으로 자본이 견제를 받고 사회적 투명성을 넢이루수 있었던 것이 컸구요

대외적으로는 중국이라는 거대 시장 출현으로 인해 외환위기로 털린 자본을 회수하고 종잣돈 마련한 게 컸다고 봅니다.

그 와중에도 몇번 사회간접자본이나 공기업의 민영화 시도나 사회 안전보장 체계인 의료보험의 민영화 등이 시도 되었으나 다행히 막아 내었구요.

민주화를 통한 투명성 향상은 경제가 발전할 수록 더 중요해집니다. 이게 담보되지 않으면 우리 같은 수출 지향 국가는 한순간에 빈부격차 벌어지면서 나락으로 굴러갈 수 있어요.
     
유기화학 21-04-03 05:00
   
알아갑니다
그루트 20-11-18 07:35
   
잘 봤습니다. 결국은 양극화의 문제같네요.
     
유기화학 21-04-03 05:00
   
22
유안 20-11-18 09:26
   
중진국 함정에 빠진 나라의 공통점이 있죠
남미 정치체제 불안
중국 독재
인도 카스트제도
아프리카및 중동 이슬람정교일체

민주사회의 투명성이 쌓이지 않으면 뚫지못할 한계가 생깁니다.
그래서 저나라들은 마약,군정,독재,이슬람정교일체등으로
중간에 선진국으로 올라가지못한 장벽을 스스로 만들어서 방법이 없습니다.
미드 나르코스에 보면 경찰이 마약상이 되거나 인재들이 마약상에 고용되는게
돈을 더 많이 벌수있으니 인재들은 자국에서 나아갈 방법이 없으니 해외로 유출이되죠.
     
유기화학 21-04-03 05:00
   
222
carlitos36 20-11-18 09:50
   
빈부격차, 민주화 , 양극화 이런것은 경제발전보다 더 어려움
     
유기화학 21-04-03 05:00
   
끄덕끄덕
테이로 20-11-18 11:18
   
뭐든 중공과 엮이면 좋지 못하죠
     
유기화학 21-04-03 05:00
   
222
스카이캐슬 20-11-18 11:56
   
중진국 함정은
결국 산업의 성공/실패 그리고 천연자원 여부에 갈림
님이 언급한 국가들은 원래 식민지 또는 졸라 못살던 국가임;
산업없이 유일하게 잘사는 국가는 호주(천연자원) 또는 두바이 같은 석유 아랍국가
     
유기화학 21-04-03 05:00
   
22
킹크림슨 20-11-20 22:47
   
학자들이 연구해볼만한 가치가 있는 주제라 생각합니다.

의미있는 분석인듯 보입니다.
     
유기화학 21-04-03 05:00
   
222
iamafool 20-11-28 06:49
   
깨어있는 시민의식으로 요구되는 제도의 정비
     
유기화학 21-04-03 05:00
   
22
 
 
Total 16,50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7833
6909 [잡담] 피치, 올 韓성장률 2.5→2.0%로 낮춰 (11) 축신 06-19 2596
6908 [전기/전자] 中화웨이 삼성 이미지센서 탑재 검토 (4) 스크레치 07-20 2596
6907 1인당 GDP 3만 달러 돌파, 소득주도성장·환율이 변수 (3) 심판위원장 08-06 2595
6906 [자동차] 현대차 中 점유율 7위로 껑충, 신차효과·日브랜드 부진 (13) 스크레치 05-25 2595
6905 [전기/전자] 삼성·하이닉스… 세계 1·3위 굳혔다 (12) 스크레치 08-21 2595
6904 [부동산] 강남구의회, 현대차GBC 설계변경 반대 결의문 채택 (16) 과부 02-18 2595
6903 현대차그룹, 커넥티드카·완전 자율주행차 기술개발에 … (3) 스크레치 03-25 2594
6902 "갤럭시S8 국내 예판 100만대 목표…안전성 자신" (3) 스크레치 04-13 2594
6901 [전기/전자] ASML, 반도체 노광장비 시장 점유율 85% 독점 (8) 스크레치 04-04 2594
6900 [전기/전자] 삼성 OLED… 아우디 첫 전기차에 ‘e-트론’ 탑재 (4) 스크레치 10-04 2594
6899 [기타경제] LG, SK 배터리 소송..핵심기술 자료도 공개해야... (8) 귀요미지훈 09-19 2594
6898 [기타경제] 日 정부, 한국산 탄산칼륨 덤핑 조사…WTO제소 재개 보복 … (6) 스쿨즈건0 07-01 2594
6897 [잡담] 과도한 의대 쏠림. 한국의 미래는 없다 (김누리 교수) (10) 흩어진낙엽 06-02 2594
6896 [잡담] 한국 반도체 개떡상 중국 개떡락 한국 배터리 미래는 암… (3) 강남토박이 09-07 2594
6895 [전기/전자] 삼성전자, 이미지센서 1위 소니 맹추격 (8) 스크레치 05-15 2592
6894 [기타경제] 인도네시아, 최저임금 8.13% 인상 (3) 귀요미지훈 11-01 2592
6893 [전기/전자] 삼성전기, 5G 스마트폰용 슬림형 3단자 MLCC 개발 (4) 축신 01-20 2592
6892 [기타경제] 환율 1350·주가 2200 전망까지..'겪어보지 못한 위기… (6) NIMI 06-24 2592
6891 [잡담] "보고 있나" 삼성 '쾌거' TSMC 독식하던 자리 꿰찼… (2) 강남토박이 04-08 2592
6890 힐러리 트럼프의 정책과 달러. (5) 오대영 11-09 2591
6889 [기타경제] '넥쏘-미라이-클래리티', 세계 3대 수소차 비교 (4) 미루마루 02-06 2591
6888 [전기/전자] 삼성전자 모바일D램 점유율 '압도적'…4분기 56.6% (4) 스크레치 03-02 2591
6887 [잡담] 중국산 CCTV 쓴 대가?… 사생활까지 털리는 한국 (10) 귀요미지훈 08-23 2591
6886 [과학/기술] SK이노베이션, 폐배터리 재활용 독자기술 개발 (8) 진구와삼숙 08-25 2591
6885 [전기/전자] LG엔솔 인수추진 닛산 스페인 공장 경쟁률 15대1 (1) 스크레치 03-21 2591
 <  381  382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