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1-03-30 21:33
[잡담] "지하물류체계"를 만들자? 평시 물류창고,전시 대피시설
 글쓴이 : 검찰개혁
조회 : 1,906  



 행정안전부에 있는 정책제안하는 곳에 이런 글이 있어서 퍼왔습니다.

 이런 지하물류체계 괜잖을까요?

<제안자의 추가의견은 생략했지만 출처에 있습니다.>


제목 - 평시 지하물류창고, 유사시 지하대피시설인 "지하물류체계"를 만들자.


출처 - https://www.gwanghwamoon1st.go.kr/front/propseTalk/propseTalkViewPage.do?menu_id=399&propse_id=5d6712230ab34178a8469812d16104f7


※현황과 문제점

1. 우리나라 경제의 핵심인 물류 및 유통이 해외자본에 점령될 위기에 처했다. 쿠팡과 롯데... 혹은 드론을 앞세운 미국업체 등등..

2. 유사시(전쟁 포함) 대피시설에 대한 대비가 부족하다.

3. 유사시 국민의 안전을 보장할 체계가 없다.

4. 유사시 생필품 확보에 대한 방안이 미흡하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한꺼번에 해결할 방안은 없을까?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개선방안

평상시엔 경제의 핵심인 "지하물류창고"가 되고 비상시엔 국민대피를 위한 대규모 "지하대피시설"을 만들자.

1. 광역별로, 도시별로, 동네별로 지하물류창고를 만들자.

2. 그 물류의 유통을 지하철 혹은 기타 지하화된 교통체계를 만들어 유통시키자.

3. 각 물류창고는 지하화된 운송체계로 연결을 하면 그 어떤 유통체계보다 빠르고 경제적일 수 있다. 거미줄처럼 엮인...

4. 초기 개발비용은 많이 들 수가 있지만 우선 광역별로 연결하는 부분은 국가가 주도하고 지역별 또는 도시별로 연결되는 부분은 지자체에서 수행하면서 조금씩 늘려간다면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지방물류창고의 수익의 일부를 지자체에게 넘긴다면 지자체가 거부할 이유는 없다고 본다.

5. 100% 공기업 형태로 운영해도 되고, 순수 국내자본만 들어간 민간기업과 협력해도 된다. 하지만 해외기업이나 해외자본이 대단위로 들어간 업체는 배제함이 옳다고 본다. 쿠팡이나 롯데 같은...

6. 이 지하물류창고 주변에 대규모 주택단지를 유치한다면? 혹은 대규모 주택단지 근처에 설치한다면? 최소한 유사시에 대한 "국민안전"은 보장할 수 있다고 본다. 그 시설 혹은 단지내도 지하로 연결한다면...

7. 그 지하물류창고에 따로 비상용품을 배치할 수도 있다고 본다. 군수물자나... 텐트... 방독면... 마스크... 등등등

8. (유사시 필수 업종의 하나인 의료를 예로 든다면... ) 병원이나 기타 필수 업종을 이 지하물류창고 근처에 유치한다면 비상시 의료인력이나 의료장비 등등 필수 업종에 대한 대비도 완벽히 커버할 수가 있다고 본다.

9. 해당 물류창고에 물건을 맡기는 업체는 반드시 30% 이상을 평소에 채워두도록 하면 비상시 대비에 더 큰 도움이 될지도..

10. 지하 자기부상열차나 수소열차...등등. 친환경 적이면서도 지상에서와는 별도의 체계로 운용된다면 유사시에 지상시설이 파괴되더라도 대비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11. 광역별로, 도시별로, 동네별로 다 그물처럼 연결할 수만 있다면 세계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물류체계가 될 것이다. 미국과 중국은 못한다. 땅이 워낙 넓어서... 일본도 못한다. 지진이나 자연재해가 너무 빈번해서... 하지만 우리나라는 가능하다. 암석층도 많고 땅도 그리 크지 않으며 자연재해도 그리 빈번하지 않기에...

12. 위급한 상황에 대비 지하차단막 시설도 배치되면 한 곳이 뚤렸을 때... 대비가 가능하다.

※기대효과

1. 이 지하물류체계가 되면 "경제적 측면"에서 무슨 이득이 있을 수 있는가?

a. 우리나라 물류를 우리나라가 장악할 수가 있다.

산업의 핵심인 물류... 현재는 쿠팡 및 롯데 같은 해외자본이 들어간 업체에게 거의 장악당하다시피 된 상황이 아니던가? 물류가 얼마나 중요한지는 설명하진 않겠지만 이 경제의 핵심인 물류를 우리나라가 장악할 수가 있다. 빼앗긴 물류를 되찾을 수가 있다.

a. 교통정체가 없기에 유통이 빠르다. 고로 가장 경쟁력 있는 지하 물류체계다.

b. 지상 교통정체 해소에 큰 도움이 된다. 일반 도로에서 물류차량이 사라지거나 대규모로 감소하기에...

c. 그렇게 사라진 지상 물류차량은 일자리가 줄어든다는 의미는 아닌가? 지상만 본다면 맞다. 대신 지하 물류창고에서 그보다 더 많은 일자리를 새로 창출할 수가 있다고 본다. 분류해야지... 정리해야지... 실어야지... 운송해야지... 등등등

d. 유통시설과 주거지가 가깝기에 비용이 적고 빠르다. 생산자와 소비자가 가까워지는 효과가 생긴다.

e. 인터넷 주문 등이 보편화되어가는 과정이다. 이런 미래에 아주 적합하다.

2.이 지하물류체계가 비상시(전쟁 포함)에 어떤 이득이 있을 수 있는가?

a. 지하물류창고의 규모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유사시 거의 모든 생필품을 미리 준비할 수가 있다.

b. 국민들 대피가 너무 수월하다. 개선방안 6번 참고.

c. 군인들의 안전도 보장 받을 수 있다. 개선방안 7번 참조. (군사적인 부분 설명은 자제했지만 충분히 가능)

d. 병원 등의 필수시설장비 및 인원도 바로 충원할 수가 있다. 개선방안 8번 참조.

e. 거의 전국민의 대피가 가능하다. 개선방안 1번 참조.

f. 위기시 국민들의 피난이 용이하다. 개선방안 2번 3번 10번 11번 12번 참조. 예를 들어 서울이 장악당했다면... 지상과는 별도의 전력으로 운용되며 화물대신 국민들을 실을 수가 있다면 전국 어디든 대피가 가능하다.

참고사항 - 추가한 파일에 구체적인 구상도를 첨부한다.

경제도 살리고 국민도 살리는 이 체계... 연구해 볼 가치가 충분하지 않겠는가?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검찰개혁 21-03-30 21:49
   
시간이 조금 걸릴수도 있지만...
핵전쟁 대비까지 가능하기에 검토해볼 만한 사안으로 보는데...
엘리자비스 21-03-31 03:14
   
사용이 퍈리한것도 아닌데 너무비쌈 이 두가지로 현실성이 없는듯
     
검찰개혁 21-03-31 04:38
   
가격에 관한 내용은 전혀 없는데...
건설비용을 의미하시는 듯 합니다.
건설비용으로 모든 국민을 살릴수만 있다면...?
추후에 사용료로 충당이 가능하다면...?
2k2h 21-03-31 03:48
   
터널이란게 과장해서 중간에 1m만 막혀도 전체를 다 못 쓰게됩니다
하물며 전시대비 지하터널이라...
     
검찰개혁 21-03-31 04:33
   
내용을 보면 지상의 도로와 같다고 생각하면 될듯요.
거미줄처럼 엮였다면... 한쪽 입구를 막아도...
다른 방향이 널리고 널렸다면...?
 
 
Total 1,506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606 [잡담] 삼성 파운드리는 망한듯.. (14) 븅아 04-13 2742
605 [잡담] 격랑의 K반도체…총수 부재 삼성의 딜레마 (6) 븅아 04-13 663
604 [잡담] [단독] 삼성·SK 中공장 초비상 美 반도체 핵심장비 中 수… (15) 븅아 04-12 1570
603 [잡담] 삼성과 TSMC의 시총비교에서 빼놓으면 안되는 사항 (6) 포케불프 04-12 2607
602 [잡담] TSMC의 아킬레스 건 (20) 포케불프 04-12 3199
601 [잡담] 다음중 가장 노동생산성이 가장 높은 자동차 라인은?? (5) 달과육팬티 04-11 2027
600 [잡담] LG와 SK 배터리는 작년에 예비판결 나올때 부터 .. (1) 달과육팬티 04-11 1246
599 [잡담] IMF에서 잽머니를 좀 달달하게 먹은 것 같습니다 (7) 메흐메르 04-07 2196
598 [잡담] 독일의 배터리 환경 장벽이 실패하는 이유 (4) 포케불프 04-06 2365
597 [잡담] "은행지점장이 대출 원하는 여친 술자리 불렀다" (8) 과부 04-05 2729
596 [잡담] 미국정부 미국판 일대일로 사업 구상중으로 보입니다. (3) 조지아나 04-04 2500
595 [잡담] 미래의 한국사회가 버려야할 악습 - 부의 세습 (19) 검찰개혁 04-03 2362
594 [잡담] 대한민국 품목별 1분기 수출액 현황 (10) 강남토박이 04-03 2478
593 [잡담] 중국 동유럽 농산물 수입확대 이전, 국내식품 가공업체 … (6) 조지아나 04-03 2021
592 [잡담] 현대모비스 반도체 진출관련 기사 오류를 바로잡습니다. (4) 포케불프 04-03 2047
591 [잡담] 대만 tsmc 화재 (1) 유기화학 04-02 2406
590 [잡담] 대형 팹리스 기업 부재도 아쉬움 (2) 븅아 04-02 1280
589 [잡담] 만우절 농담이 폭스바겐 말아먹을듯 하네요 (3) Sanguis 04-02 3355
588 [잡담] 아베는 점쟁이인가? (9) 혜성나라 04-01 2156
587 [잡담] 3월 수출 실적 정리 (3) 축신 04-01 1376
586 [잡담] 삼성 D램은 아직 기술력이 앞서있는 상황이죠? (7) aaddaa 03-31 3346
585 [잡담] 미츠비씨 중공업 대형 선박 건조 사업에서 사실상 퇴각 (9) 순헌철고순 03-30 3531
584 [잡담] "지하물류체계"를 만들자? 평시 물류창고,전시 대피시설 (5) 검찰개혁 03-30 1907
583 [잡담] 삼성 파운드리 객관적 전망 (5) 븅아 03-30 1772
582 [잡담] 배터리기술은 지금 하향평준화된 시대입니다(펌글) (7) 븅아 03-30 1302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