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9-08-15 10:07
[기타경제] 뉴욕증시, 美 금리역전에 3% 폭락
 글쓴이 : 귀요미지훈
조회 : 2,422  

미국국채 10년물, 2년물 금리 역전

-> 다우존스, S&P500, 나스닥 일제히 하락

-> 서부 텍스사산 원유, 브렌트유 가격도 하락

-> 금값 0.9% 상승

-> 미국 연준에 대한 금리인하 압박 더욱 세져


-----------------------------------------

여기까지가 기사내용인데,

이게 무슨 상황인지 혹시 궁금하신 분들도 계실거 같아 대략 풀어서 몇 자 적어보겠습니다.




<미국국채 10년물, 2년물 금리 역전>

경기가 안 좋을수록(안 좋다고 믿을수록) 주식보다는 만기에 원금과 이자가 보장된 

안전한 채권에 대한 수요가 증가합니다.

채권수요가 증가하니 채권 거래가격이 올라가고 가격이 오를수록 만기에 받을 이자는 고정이기에

채권에 대한 투자수익율인 채권금리가 내려갑니다. 

(채권금리 = 채권투자수익율, 채권 액면에 표시된 이자율이 아님)

채권액면에 표시된 원금과 이자는 고정입니다. 

그러니 채권가격이 올라 비싸게 살 수록 수익율(금리)이 떨어지는 것입니다. 

반대로 채권가격이 내려 싸게 사면 수익율(금리)이 올라가는 것이구요.



보통은 투자한 돈이 오래 묶여있기 때문에 장기채권(10년물)의 이자율과 금리(수익율)가 

단기채권(2년물, 3년물)보다 높습니다.

그러나 위에 설명했듯 경기가 안 좋으면 채권가격은 오르고 채권금리는 내려가는데

경기가 장기적으로 계속 안 좋을거라고 생각할수록 2년, 3년물 같은 단기채권보다

10년물같은 장기채권에 수요가 몰리고 가격이 올라갑니다.

그렇다보니 10년물 같은 장기채권의 금리가 폭락하게 되고

심할 경우 2년, 3년물 같은 단기채권의 금리보다 더 떨어지게 됩니다.

보통 경기전망이 극도로 안 좋은 경우 발생하는 현상이고 자주 벌어지는 상황이

아닌데 지금 이 상황에 이른 것입니다.

경제기사를 보시다가 '채권의 장단기 금리차이가 별로 안난다'거나 '금리역전이 일어났다' 라고 하면

아...경기(전망)가 굉장히 안좋구나..라고 이해를 하시면 되겠습니다.




<다우존스, S&P500, 나스닥 일제히 하락>

이런 경기불안 심리가 주식시장에도 영향을 미쳐 

다우존스, S&P300, 나스닥 등 미국증시의 3대 지수도 하락하게 되었습니다.

다우존스는 미국증시의 우량기업 30개, S&P300은 미국증시 대기업 300개 종목의 지수이고, 나스닥은

우리 코스닥이라고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위에 채권가격은 올랐다고 했는데 그럼 주식가격은 왜 내렸냐?

보통 채권과 주식은 투자시장에서 상호보완적이라 가격이 반대로 움직인다..라는 말을 많이 합니다.

즉, 경기가 좋으면 채권이 아닌 주식에 돈이 몰려 주식가격인 주가가 올라가고 채권가격이 떨어진다.

경기가 안 좋으면 주식보다는 상대적으로 주식보다 안전한 채권에 돈이 몰려 채권가격이 올라가고 

반대로 주식가격이 떨어진다. 

(이 현상이 항상 그런건 아닌데 90년대 이후엔 이런 현상이 강하게 나타나고있습니다. 이 얘길 쓰자면 너무 길어져서 다음에 기회가 되면 쓰겠습니다.)




<서부 텍스사산 원유, 브렌트유 가격도 하락>

그럼 유가는 왜 떨어졌냐? 

경기가 안 좋다고 보면 소비가 줄 것으로 보고, 기업의 투자심리도 위축이 되어

공장 더 돌릴 계획도 취소하거나 공장을 덜 돌리게 되니

기름 사용(수요)도 줄어들겠지요. 수요가 줄어드니 기름값도 떨어지게 됩니다.

유가와 마찬가지로 경기가 나쁘면 제품생산을 위해(공장을 돌리기 위해) 필요한

다른 원자재 가격도 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금값 0.9% 상승>

이렇게 경기가 무지 안 좋고, 것도 장기적으로 안 좋을거라고 보니

채권 수익율도 떨어지고, 주가도 떨어지고, 원자재 가격도 떨어지고...

사람들은 더욱 안전하게 투자할 곳을 찾게 되고 역시 귀금속이 최고지..하면서

'금'으로 돈이 몰려 금값이 오르는 것입니다.




<미국 연준에 대한 금리인하 압박 더욱 세져>

마지막으로, 미국 연준(연방준비위원회)에 대한 금리인하 압박이 거세진다는건 뭐냐?

우리의 한국은행처럼 미국은 연준이란 곳에서 기준금리를 정하는데

보통은 경기가 안 좋으면 기준금리를 내리고, 경기가 너무 좋아 과열된다 싶으면

기준금리를 올려 시중에 돌아다니는 돈의 양을 조절합니다.



금리가 낮으면 사람들이 은행에 돈 안 맡기겠죠? 그리고 사람들이 은행에서 돈 더 빌려서 쓰겠죠?

즉, 금리를 낮춰서 돈이 은행으로 몰리지 않고 시중에 풀려 경기가 살아날 수 있게 하라는 

압박이 거세진다는 얘기가 되겠습니다. 

지난 달에 경기부양 등 여러목적으로 미국 연준이 금리를 한 차례 인하했고, 

올해 추가로 인하할 것이라는 예상이 많은데

지금 상황은 금리인하를 빨리, 것도 여러차례 더 내려야할 것 같은 분위기가 되었습니다.



미국이 지난 달 금리를 인하한 이후, 뉴질랜드, 태국 등 여러나라들도 경기부양을 위해 

이미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했습니다. 

우리의 경우엔 미국 연준의 기준금리 변동 이후 보통은 몇 달 지켜본 후 금리를

올리든 내리든 조치를 취하는 경향이 있는데 현재 글로벌 경기가 극도로 부진한 상황이고

이 영향을 우리도 강하게 받고 있는지라 한국은행이 향후 언제 어떤 조치를 취할지 자못 궁금해집니다. 





더 자세히 쓰면 너무 길어지기에 여기까지 쓰겠습니다.

나름 풀어 쓴다고 썼는데 글을 읽으신 분들이 이해하시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혹시, 글에 오류가 있을 경우 댓글로 정정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귀요미지훈 19-08-15 10:07
   
조국과청춘 19-08-15 10:36
   
좋은 글 감사합니다
     
귀요미지훈 19-08-15 10:59
   
감사합니다~
우엉향 19-08-15 11:52
   
추천버튼있으면 누르고 싶네요
     
귀요미지훈 19-08-15 12:49
   
감사합니다~
루이14 19-08-15 12:51
   
즉, 미국 경기가 안좋다는 말인가요??...

요즘 미국에서 안좋은 소식이 좀 많이 들려오는것 같은데..
     
귀요미지훈 19-08-15 13:17
   
최근 미국은 상대적으로 다른나라들에 비해 괜찮은 상황인데,

그런 미국도 1분기 대비 2분기 성장이 둔화되었습니다.

미국도 글로벌 경기에 영향을 안 받을 수가 없거든요.

그리고 저 현상은 미국 뿐만 아니라 전 세계 경제전망이 어둡다고 보는 것이고

그래서 떼일 염려가 없어서 제일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미국, 미국 (장기)국채로 돈이 몰려서

벌어지는 현상이라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일자삼자 19-08-15 14:17
   
잘 봤습니다..감사합니다.
     
귀요미지훈 19-08-15 14:18
   
감사합니다~
자비스05 19-08-15 14:46
   
오홍  경제에 대한 글 기초적이라도 도움되는 글이군여
잘읽었습니다
fymm 19-08-16 01:47
   
님의 정체가 궁금.. 경제쪽 일하시나? ㅎㅎ
멀리뛰기 21-01-02 17:37
   
[기타경제] 뉴욕증시, 美 금리역전에 3% 폭락 감사^^
멀리뛰기 21-01-12 08:03
   
[기타경제] 뉴욕증시, 美 금리역전에 3% 폭락 감사합니다.
 
 
Total 16,50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7977
7309 [전기/전자] LG화학 삼성 갤노트10에 배터리 공급…양사 협력 확대 (18) 스크레치 08-17 5146
7308 [전기/전자] 韓반도체, 도시바와 격차 더 벌려 … (10) 스쿨즈건0 08-17 6350
7307 [기타경제] 日의 모순…"안보상 수출 제한은 무역질서 훼손" (14) 스쿨즈건0 08-17 4037
7306 [기타경제] 韓의 日여행 불매로 홋카이도 관광산업 '먹구름' (3) 스쿨즈건0 08-17 3285
7305 [기타경제] "여기는 일본제품 천지입니다"…노 재팬, 미용실에서 무… (13) 스쿨즈건0 08-17 5101
7304 [전기/전자] 삼성 日심장서 파운드리 초격차 외친다 (12) 스크레치 08-16 5133
7303 [전기/전자] 삼성전자, AT&T와 손잡고 5G 활용 반도체 생산성 향상 실험 (11) 너를나를 08-16 3347
7302 [전기/전자] 삼성전자, 세계 낸드시장 점유율 35%..5%p `껑충` (3) 너를나를 08-16 2560
7301 [기타경제] 일본 경제의 몰락 2탄[요약] (6) 경제왕왕 08-16 4292
7300 [기타경제] 일본 경제의 몰락 1탄[요약] (5) 경제왕왕 08-16 5545
7299 [잡담] 미국, 中원전업체 제재…중국 "단호히 반대" (9) 잉옹잉옹 08-16 3858
7298 [기타경제] 왜국이 중궈를 제치고 "세계1위의 미국채 보유국"으로 올… (14) 시골생활 08-16 5162
7297 [전기/전자] [단독]日 100%의존 폴리이미드 도료 국산화 성공 (26) 스크레치 08-16 8107
7296 [기타경제] 韓LNG선 수주독식 中日 견제 움직임 (12) 스크레치 08-16 5085
7295 [금융] 누가 IMF위기를 말하는가?..1997년과 2019년을 비교해봤다 (7) 너를나를 08-16 2974
7294 [기타경제] 日 "수출규제, 韓과 협의할 생각 없다" (17) 스쿨즈건0 08-16 4973
7293 [기타경제] “일본, 삼성에 이러면 안돼…소재는 같이 크는 것” (8) 스쿨즈건0 08-16 6950
7292 [기타경제] 유니클로 매출 70%감소…불매 운동 유례없는 ‘장기… (10) 스쿨즈건0 08-16 2666
7291 [잡담] 롯데 불매가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 (20) 일반시민 08-15 7105
7290 [잡담] 일본 불매운동 타격이 어느정도에요?? (12) wpxlgus1234 08-15 4819
7289 [기타경제] 해외 투자은행들 `미중 무역분쟁 장기화` 전망 (4) 귀요미지훈 08-15 1929
7288 [자동차] 車 생산·수출 최대폭 증가…일본차 판매 32% ‘뚝’ (15) 귀요미지훈 08-15 3578
7287 [전기/전자] [美 컨슈머리포트] 삼성 '갤럭시버즈' 애플 제치… (12) BeyondTheSky 08-15 4754
7286 [기타경제] 한국 2분기 경제성장율 및 주요국 경제성장율 현황 (34) 귀요미지훈 08-15 4400
7285 [기타경제] (장문) 이준구 교수님의 '근거 없는 위기론은 무책임… (11) 너를나를 08-15 2495
 <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