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1-03-28 20:02
[금융] "中·러 뭉쳐도 달러패권 도전 쉽지않을 것"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2,717  

https://news.v.daum.net/v/20210328174929958







미국의 막강한 힘은 달러 패권에서 나오는데 

중국, 러시아 따위가 뭉쳐본들 


쉽지 않죠 당연히... 

게다가 러시아는 대한민국보다 경제적 영향력이 작은 나라인데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크레치 21-03-28 20:02
   
매일노가다 21-03-28 20:19
   
중공, 러시아 화폐로 뭘 하겠다고..
Architect 21-03-28 20:34
   
애초에 지금은 예전 소비에트 연방 시대의 러시아가 아니죠. 물론 러시아가 과거에 쌓아놨던 군사/외교적 유산과 과학기술, 자원, 광대한 영토 등으로 가지고 있는 지정학적 영향력을 무시하면 안되겠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 영향력을 과대평가하는것도 경계해야 합니다. 명목GDP는 남한보다도 낮고 금융/산업 측면에서 가지고 있는 영향력은 미약하고요. 방위산업과 지하자원을 통해 버티고는 있지만 쇠퇴하는 국가입니다. 우리보다 먼저 인구감소를 겪어서 인구구조도 그야말로 엉망이고요.
     
스크레치 21-03-28 20:40
   
러시아 경제구조도 너무나 자원에 극도로 의존하는 경제라는 점이 취약하다고 봅니다.

국민소득이 1만불도 안되는 개발도상국이

선진국인 대한민국보다 코로나 이전에도 경제성장률이 낮았던 나라일 정도니


러시아는 근본적인 경제구조적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쉽지 않을겁니다.
          
Architect 21-03-28 20:59
   
자원과 방산업이 사실상 전부라, 서방 제재 한번에 마이너스 성장으로 전락하고 화폐가치 폭락, 물가가 폭등하는 기현상이 일어나고 있죠.. 거기다 대낮에 야권 지도자가 독살시도 당하는 등 정국도 불안정한 상황이라 고급인력들은 앞다퉈서 서방과 미국으로 이민 떠나고 있는 상황입니다(2015년 기준으로 연 30만명 이상). 미국 싱크탱크에서 이 대규모 탈출을 'Russia's slow Bleeding (러시아의 출혈)'이라고 표현했을 정도로 미래 경쟁력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칠거라고 보고있습니다. 말씀하신대로 러시아는 우선 정치개혁 후 경제구조 개혁 및 제조업 육성이 필요하겠지만, 이 상태대로라면 별로 가능성이 보이지 않네요.
도리곰 21-03-29 01:22
   
러시아는 영토의 저주에 걸려 있어서 발전이 더딥니다.
너무 많은 영토를 가진 덕분에 나라의 예산이 영토 관리에 싹 빨려나갑니다.
도로, 인프라 유지 보수에 자원을 다 쓰다보니 정작 산업 고도화에 힘을 쏟을 여력이 없습니다.
인구라도 많았으면 중국처럼 인구빨로 밀어부칠 수 있었겠지만, 그마저도 힘들죠.

농경시대야 넓은 영토가 유리했겠지만 산업 시대는 넓은 영토가 굳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방랑기사 21-03-29 04:40
   
주력 수출품이 석유인데 석유의존도를 낮추는 세계경제사회에서 더욱더 영향력을 상실할 겁니다.
가세요 21-03-29 10:37
   
러시아는 몰라도 중국은 모르는데
totos 21-03-29 17:21
   
중국은 수출 비중이 높은 국가라서 위안화 결제 한다고 통보해도 수입하는 측이 위안화 결제를 안 해주면 땡.
중국 내부에서도 공산당의 금융정책을 못 믿는 경제인들이 많아서 지들도 달러/유로화 결제를 요청합니다. ​
금융 패권이 하루 아침에 결정되는게 아닙니다.
carlitos36 21-03-30 11:28
   
금융 패권이 애들 장난이냐 ?
 
 
Total 16,52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411
7448 [전기/전자] SKC코오롱PI, OLED 핵심소재 'PI 바니시' 독점 깬다 (10) 스크레치 03-15 2726
7447 [기타경제] 연말 여행 예약 '동남아' 인기…1위 '베트남�… (9) 귀요미지훈 11-18 2726
7446 [기타경제] 국제관광도시에 부산..강릉·전주·목포·안동, 지역관광… (3) 너를나를 01-28 2726
7445 [전기/전자] 삼성, 1분기 美 스마트폰 1위 탈환…애플 제쳐 (9) 스크레치 04-19 2725
7444 [잡담] 샤오미 홍미노트7,국내 예판 첫날 초기물량 매진..엄청난… (23) 여우봉봉 04-16 2725
7443 [전기/전자] 베트남 삼성전자 덕분에 스마트폰 수출 급증 (7) 스크레치 02-12 2725
7442 [기타경제] 대우조선해양 그리스 LNG운반선 1척 수주 (5) 스크레치 06-13 2724
7441 [잡담] 일본수입품목의 방사능검사 또는 후쿠시마 부근현까지 … (7) SHIPYARD 07-02 2724
7440 [기타경제] 마쓰야마대 장정욱 교수 “일본 불매운동, 관광에 집중… (4) 문제적남자 07-14 2724
7439 [자동차] PSA-FCA, 합병사 ‘스텔란티스’ 아래 새로운 시작에 나선… (7) 대한사나이 09-29 2723
7438 [기타경제] 韓 경제규모 세계 10위.. 1인당 GDP 이탈리아 첫 추월 (11) 스크레치 04-08 2723
7437 [기타경제] 장밋빛 메모리 전망 내놓은 마이크론 "데이터센터 수요 … (4) 굿잡스 04-03 2723
7436 [과학/기술] 2020 전세계 무기 수출국 순위.jpg (4) 몬스트레치 07-20 2722
7435 [기타경제] 리튬 생산 임박 포스코, 원자재값 급등에 '대박' … (2) 굿잡스 03-19 2722
7434 [기타경제] “연봉대박 中기업 갈까” 美, 시민권 박탈 경고 (1) 박카스 10-18 2722
7433 G6 ‘사전예약 8만2000대’ 인기.. 스마트워치로 흥행 바통 (3) 스크레치 03-10 2721
7432 [전기/전자] 인텔 중국에 NAND 플래쉬 기술 전수 (8) 전쟁망치 03-07 2721
7431 [기타경제] '바람'빠진 일본 열풍…여행 수요 일제히 감소 (8) 스쿨즈건0 03-07 2721
7430 [기타경제] 韓 인공지능기술 日 거대기업 업무 지식 플랫폼에 쓰였… (3) 스크레치 06-29 2721
7429 [기타경제] 삼성엔지니어링 멕시코서 4조5천억원 규모 수주..창사이… (4) 스크레치 10-30 2721
7428 [과학/기술] 표준연, 반도체 수율 핵심인 플라즈마 실시간 진단 센서 … (2) Architect 05-31 2721
7427 한국인이 독일인보다 살충제 계란 더먹어도 된다? (3) 스쿨즈건0 08-22 2720
7426 [기타경제] 삼성重, 2154억원 규모 LNG 운반선 1척 수주 (6) 스크레치 03-25 2720
7425 [전기/전자] 일본 독점 페라이트 LG이노텍 개발 성공 (4) energypower 11-11 2720
7424 [기타경제] 출산율이 계속 떨어지는 이유 (14) 므흣합니다 12-01 2720
 <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