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9-05-01 12:08
[전기/전자] 삼성전자, 삼성전기 PLP 사업 7850억원에 인수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2,732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30&aid=0002806824







삼성전자가 삼성전기 반도체 패키징 사업(PLP)을 7850억원에 인수한다. 








현재 EUV 노광장비 활용해서 초미세공정 기술력에서 세계에서 가장 앞서나간다는 평가를

받는 삼성전자가 후공정 패키징까지 직접 함께 끌고 가겠다는 의지가 보이는군요...


삼성전기에서 하던것을 이제는 아예 삼성전자가 직접 챙기면서 

초미세공정 개발 단계단계마다 바로바로 활용하겠다는 생각으로 인수를 한듯하네요 

(또 PLP 사업 향후 투자 금액 규모나 이런면에서도 삼성전자가 훨씬 좋을거구요) 


개인적으로 잘했다고 봅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크레치 19-05-01 12:08
   
행복찾기 19-05-01 15:14
   
삼성이 10nm공정을 TSMC보다 먼저 개발해놓고도 10nm 점유율에서 뒤진 이유가
후공정(패키징) 기술이 많이 뒤떨어져서였죠.
그 뒤 삼성전기에서 새로운 패키징 기술을 개발하고
이제는 삼성도 TSMC 못지 않은 후공정 기술을 갖게 되었으니
앞으로 점유율을 많이 뺏어오기를 기대해봅니다.
     
스크레치 19-05-01 15:29
   
예 맞는 얘기입니다.

2015년부터 애플물량이 TSMC에 독점적으로 가게 된 결정적 계기였습니다.

2015년 이전까진 애플 물량 절반은 삼성이 했을 정도고


14나노, 10나노 미세공정 기술도 삼성전자가 세계최초로 개발했음에도

후공정이 밀려서 눈뜨고 무려 애플 물량 절반을 고스란히 TSMC에 넘겨주게 되었습니다.

그것이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구요 (삼성으로선 뼈아팠던 장면이지요) 


이제 지난해 삼성전기에서 후공정 패키징 기술까지 양산들어가기 시작하면서

지원사격에 나섰는데


아예 삼성전자에서 이제 직접 챙길 모양입니다.

오히려 더 잘되었다고 봅니다.


자금력에서 삼성전자와 삼성전기는 뭐 엄청난 차이가 나니까요
          
행복찾기 19-05-01 16:07
   
이제 남은 문제는 삼성전자가 좀 더 많은 업체들로부터 수주를 받아
파운드리 자체 기술을 좀 더 끌어올리는 일이 남았고
덧붙여, 소품종 대량 생산용 300mm 웨이퍼 공정뿐만아니라,
다품종 소량 생산이 가능한 200mm 웨이퍼 공정도 신경을 썼으면 합니다.

이게 가능하게 되면 TSMC를 제치고 좀 더 빨리 파운드리 1위자리에 오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하나더,
삼성은 300mm 웨이퍼에서 1개 종류의 제품을 생산하지만,
TSMC는 여러 종류를 생산할 수 있습니다.
삼성이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이러한 기술도 개발해야 할 겁니다.
멀리뛰기 21-01-02 16:00
   
[전기/전자] 삼성전자, 삼성전기 PLP 사업 7850억원에 인수 잘 읽었어요~
멀리뛰기 21-01-08 15:55
   
[전기/전자] 삼성전자, 삼성전기 PLP 사업 7850억원에 인수 감사^^
 
 
Total 16,530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300066
7505 [과학/기술] KAIST, 인터넷 속도 느려도 유튜브서 고화질 영상 감상할 … (8) 진구와삼숙 10-30 2742
7504 [기타경제] "조 단위 배터리 업체로"..고려아연·LG화학, 내달 합작법… (5) 굿잡스 04-24 2742
7503 [전기/전자] 삼성 호황기부터 라인 최적화 "D램·낸드 인위적 감산 없… (5) 스크레치 07-29 2741
7502 [과학/기술] 삼성전자 "반도체 인위적 감산 없다..업황 회복세" (3) MR100 08-01 2741
7501 [전기/전자] 1억원넘는 TV 누가살까?..LG 롤러블 통유리 대형 주택에, … (6) 스크레치 04-03 2741
7500 [기타경제] 4월 1∼20일 무역수지 52억달러 적자… 대팔이 04-23 2741
7499 "베트남 등 아시아 신흥국 투자 유망" (3) 스쿨즈건0 06-11 2740
7498 [기타경제] Jap 수출 제재에 폭주하는 D램 현물가…열흘새 20% 급등 (17) 굿잡스 07-19 2740
7497 [자동차] 테슬라 이어 폭스바겐도 OTA 탑재…현대차는 언제쯤? (2) 느금 03-07 2740
7496 LGD 애플용 소형OLED P10 E6 3단계 투자 보류 (3) 하나둘넷 12-20 2739
7495 [전기/전자] 삼성전자 퀄컴 첫 6나노 AP 수주할까 (5) 스크레치 09-28 2739
7494 [잡담] 속보)한국 월 평균 급여, 일본 압도 (7) 메흐메르 02-09 2739
7493 [잡담] 코스닥 4.3 폭락... 근데, 외국인은 샀다... (4) 진실게임 06-23 2739
7492 [전기/전자] SK하이닉스 '46조 반도체 승부수' 마지막 퍼즐 M16 … (13) 스크레치 12-20 2738
7491 [기타경제] 쿠팡, 마켓컬리 적자에도 로켓배송 놓지못하는 이유 (2) 용관띠 07-09 2738
7490 [주식] "전세금까지 다 날렸어요"…대박 노렸던 개미들 '쇼… (2) 가비 05-20 2738
7489 [기타경제] 추가비용만 3조 日 도쿄올림픽 또 골머리 (7) 스크레치 12-01 2737
7488 [기타경제] 민주당의 압박 "기재부가 일부러 세수 19조 줄여 예측하… (6) 키륵키륵 11-17 2737
7487 [잡담] 25년에 아이폰 인도 생산 비중이 18%까지 올라갈 것 (3) 강남토박이 06-19 2737
7486 [전기/전자] 전 美부통령, 한국 4% 안에 드는 희귀한 나라 (7) 가생이다 09-10 2737
7485 삼성, 화성 신공장서 10나노 초반 D램 양산 검토 (3) 스크레치 11-29 2736
7484 [과학/기술] KAIST, 초소형·저전력 삼차원 영상센서 핵심기술 개발 (5) 진구와삼숙 01-22 2736
7483 [금융] 카드대신 동전 권하는 일본... 정말 선진국 맞아? (16) 스쿨즈건0 02-06 2736
7482 [기타경제] G7을 향해 무섭게 치고 올라가는 한국 (1) 아빠가흐 01-30 2736
7481 [전기/전자] "전세계 75인치 TV 60%가 삼성"...삼성전자, 대형 TV 시장 공… (7) 스크레치 07-02 2735
 <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