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9-09-19 15:00
[과학/기술] 국산 LNG화물창 기술 현황
 글쓴이 : 귀요미지훈
조회 : 3,852  

브랜드명 -  KCS  
◇ 개발사 : 삼성중공업 
◇ 2011년, 한국 최초
 기화율 0.07% (프랑스 GTT Mark V와 유사한 기화율, 액화된 LNG가 기화되어 증발되는 비율, 낮을수록 좋음)

브랜드명 - KC-1 
◇ 개발사 : 조선 3사와 한국가스공사 공동개발
◇ 2014년
 기화율 0.11%
 선급인증 : 영국, 미국, 한국, 노르웨이, 프랑스 등 글로벌 5대 메이저선급 인증 모두 획득
 건조실적 : SK세레티니호, SK스피카호

브랜드명 - 솔리더스(Solidus)
◇ 개발사 : 대우조선해양
◇ 2017년 
 기화율 0.049% (가장 앞선 수준)
 선급인증 : 영국, 미국, 한국, 노르웨이, 프랑스 등 글로벌 5대 메이저선급 인증 모두 획득

브랜드명 - 하이멕스(HiMEX)  
◇ 개발사 : 현대중공업
 선급인증 : 영국 로이드선급으로부터 '기본승인'보다 높은 단계인 '설계승인' 획득 


------------------------------------------------

▲ 현재 LNG화물창의 대세인 멤브레인 방식 LNG화물창의 독자적인 기술을 보유한 국가는
한국과 프랑스 2개국 뿐.

▲ 그러나 한국보다 훨씬 앞서 LNG화물창 기술을 개발하여 건조실적이 많은 프랑스(GTT社)의 
LNG화물창이 대세인 상황. 프랑스 GTT의 기술적용 시 LNG운반선 한 척 건조비용의 
약 4~5%(약 100억원)의 로열티 지불

▲ 한국의 경우, 기술수준도 높고 국제선급의 인증도 확보하는 등 독자기술을 적용한
LNG화물선 건조 준비가 완료된 상태이나 기술개발 역사가 짧다보니 건조실적이 미미하여 
아직까지 보수적인 글로벌 선주들의 선택을 받지 못하고 있는 상황 (그리스 선사가
한국에 가장 호의적, 국산 KC-1 화물창이 적용된 LNG운반선을 삼성중공업에 발주한 적이 있음) 

▲ 대우조선의 '솔리더스'가 기술, 특허, 인증 등 다방면에서 가장 앞서 있는 것으로 평가

▲ 정부와 관련 공공기관에서 국산 LNG화물창 기술이 적용된 선박의 발주를 통해 건조실적을 
쌓을수 있도록 할 예정



'선급'이란?

선박이 정해진 규칙 및 국제협약에 적합한지를 검사하고 증서발급업무를 수행하는 단체. 선급이 발행한 증서는 선사에서 선박에 대한 보험을 들 때 반드시 필요한 자료. 한국선급(KR)은 대한민국 정부를 비롯한 78개 주요 해운국가의 정부검사업무를 대행


세계 5대선급
한국(KR), 미국(ABS), 영국(Lloyd's), 노르웨이-독일(DNV-GL), 프랑스(BV)


세계각국의 선급은 선박건조와 관련된 시험, 인증, 평가와 관련된 기준과 표준을 주도하여
자국의 조선산업 발전을 꾀하고 있음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좋은여행 19-09-19 15:14
   
그동안 두루뭉실하던 우리나라의 화물창에 대한 내용을 잘 정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귀요미지훈 19-09-19 15:18
   
감사합니다.
긴양말 19-09-19 15:24
   
결국은 시기의 문제임.. 자체적 건조능령이(딱히 기술이라기 보다는 가성비나 여러 환경등의 요인으로) 없는 프랑스의 기술은 시간이 가면 도퇴하게 됨. 즉 철 지난 기술로 가르페 디엠 지금을 즐겨..
     
SHIPYARD 19-09-19 16:09
   
그러기엔 GTT도 계속 발전되고 있습니다.
KC-1 이외에는 실적선이 없어서 실제발주로 이어지기에는 어렵고,
KC-1 도 지금 문제가 있어서 실제운항못하고 있습니다
          
귀요미지훈 19-09-19 16:15
   
둘다 수리완료 후 sk세레니티는 5월, sk스피카는 7월 시험가동 들어간다고 했으니
지금쯤 시험가동 하고 있겠네요.
시험가동 후 재운항할 예정이라고 하니 좀 더 지켜봐야겠지요.

프랑스 GTT기술도 기술적용 초기에는 문제가 많았다고 합니다.
최근엔 GTT 마크3플렉스에서 결함들이 발견되어 GTT사 주가가 많이 떨어졌었다는 소식도 있더군요.

여튼 승부는 좀 더 장기적으로 봐야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오늘은 19-09-19 16:40
   
예전에 보험회사 다녔을 때 선박보험 관련 일 할 때 한국은 선급 없었다고 들은 거 같은데 언제부터 된거죠?
     
귀요미지훈 19-09-19 16:46
   
1960년 6월 20일 설립되었다고 합니다.
수출입으로 먹고 살고, 세계조선 1위 국가인데 자체 선급이 없을리가요.
본문글에도 나와 있지만 한국선급은 해외에도 지사를 두고 타국 선급업무도 대행해주고 있습니다.
아마 잘못 기억하시는게 아니신지...
          
오늘은 19-09-19 17:28
   
아 그런가요???
뭔가 착각했나 보네요.
          
sangun92 19-09-20 06:32
   
조선에 대해 아는 것이 하나도 없는 문외한이, 궁금해서 질문합니다.

"수출입으로 먹고 살고, 세계조선 1위 국가인데 자체 선급이 없을리가요."
==> 왜국도 수출입으로 먹고 살고, 한 때 조선 세계 1위를 했던 국가인데
왜국은 세계 5대 선급에 들어있지 않네요.

왜국의 선급은 규모가 작아서 랭킹에서 빠진 것인지...
멀리뛰기 21-01-02 17:55
   
[과학/기술] 국산 LNG화물창 기술 현황 좋은글~
멀리뛰기 21-01-12 08:17
   
[과학/기술] 국산 LNG화물창 기술 현황  잘 보았습니다.
 
 
Total 16,530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300006
7805 [잡담] 자율 주행차 기술말이죠. (16) 루이14 09-23 3058
7804 [전기/전자] 한국산업기술대 'n-형 전극 없는 고효율 평판형 LED… (4) 진구와삼숙 09-23 3406
7803 [과학/기술] 4G VS 5G 장단점 (2) 한세월 09-23 2814
7802 [전기/전자] '韓 해저 케이블' [세계 최고 도전하는 K-TECH] (21) 진격 09-23 5196
7801 [기타경제] 2019년 실업율과 청년실업율 (9) 마이크로 09-23 1948
7800 [전기/전자] 화웨이 “한국, 매출 비중 작아도 중요한 시장” (16) 스쿨즈건0 09-23 7079
7799 [잡담] 한국 경제 미쳤다 / " 고용 대박 " / 전세계가 극찬 (29) 2019사역자 09-22 9322
7798 [기타경제] 韓여행객 급감에 "반일감정 때문"..한국 탓하는 日 신문 (17) 너를나를 09-22 5076
7797 [잡담] 한국의 문재인 정권 통화 스와프를 일본에 애원 (23) 독산 09-22 7682
7796 [기타경제] "금리인하 효과없다 신중해야…미래 위해 쓸 약 아껴야" (12) 귀요미지훈 09-22 2951
7795 [기타경제] 세계5번째 가스터빈 한국 (4) 냥냥뇽뇽 09-22 5866
7794 [기타경제] 부적절 게시물 잠금 경고(정치) (73) 영어탈피 09-22 3945
7793 [기타경제] 2018년 임금근로자 1544만명 '연봉 분석' (9) 귀요미지훈 09-22 2574
7792 [과학/기술] 멈춘 한국 원전 수출 탄력받나 (21) 귀요미지훈 09-22 3331
7791 [자동차] 작년 현기차 쪽국 판매량 (8) 그대만큼만 09-22 4587
7790 [기타경제] LNG1척당 프랑스100억씩 (11) 냥냥뇽뇽 09-21 6867
7789 [기타경제] 지난해 가계부채 1534.6조원 '사상 최대'···증가… (11) 샤발 09-21 2829
7788 [기타경제] 2017년 9월 최근 경기 정점 확정…24개월 째 경기 하락중 (4) 영어탈피 09-21 1506
7787 [기타경제] 日, 美에 소고기 低관세 양보…"日농가 타격 가능성" (18) 스쿨즈건0 09-20 5552
7786 [기타경제] 韓, WTO 제소에…日 "양자협의 응할 것" (7) 스쿨즈건0 09-20 3418
7785 [기타경제] 日대마도, 韓관광객 감소로 종업원 감원 (7) 귀요미지훈 09-20 3459
7784 [전기/전자] 아이폰11은 흉내도 못내는 삼성전자 갤럭시S11, 롤러블+S… (4) 냐웅이앞발 09-20 6147
7783 [기타경제] 한국...그리고 834조원 규모 사우디 '비전 2030' 계… (12) 귀요미지훈 09-20 6542
7782 [잡담] 애널리스트는 미래를 예측하지 못한다. 미래를 획책할 … (2) 그럴껄 09-20 1875
7781 [전기/전자] 배터리에 TV까지 '전선 확대'..공격성 드러내는 LG(… (4) 엑스일 09-20 3580
 <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