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10-28 00:06
[기타경제] 반도체 고점론 '무색'…3분기 반도체 판매 역대 최대
 글쓴이 : 굿잡스
조회 : 3,054  

반도체 고점론 '무색'…3분기 반도체 판매 역대 최대

https://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277&aid=0004343173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나무아미타 18-10-28 02:05
   
역대 판매 최대 공장 증설 이런기사 나오면 항상 주식떨어지던데....그동안 꼴은 돈이 있어서 이정도 지식은 생기더라는...
     
사이공 18-10-28 07:02
   
근데 반도체는 예전과 많이 달라진게 예전에는 반도체회사가 많이 난립이 되어 있었고 메모리 비모리에 대한 사용처가 다양하지 않았지만 지금은 워낙 많아지고.
지금은 메모리업체는 단 3개업체가 거의 독점하다시피 하고 점점더 공정률과 미세공정으로 인해서
진입할수 있는 신규업체들이 더욱더 힘들어져서 아마도 예전처럼 급격히 떨어질 가능성은 적어질것같네요..
          
진인사수 18-10-28 12:21
   
PC와 가상화폐는 맛이 갔다고 봐도...

스맛폰, 데이터센터, 자율주행,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반도체 수요는 지속적으로 늘어날 수 밖에 없고
수율개선과 공정 미세화로 생산단가는 떨어질 수 밖에 없고...

개발비와 신규 첨단설비구축에 들어가는 비용을 감당해 낼 수 있는 회사는
시스템반도체에는 인텔, TSMC, 삼성, SMIC... Ti...까지?  정도
메모리에서는 삼성, 하이닉스, 마이크론, 도시바... 정도...
예외로 이미지 센서는 소니, 삼성... 정도...

시스템반도체는 생산성이 높아지는 가장 강력한 방법이니까
계속 잘 나가는 것에 의문의 여지가 없고...

메모리의 경우에는 비트크로스가 일어나는 시점에서나
시장 예측이 가능해졌지....만

몇 번의 치킨게임으로 정리가 되어서 독과점 형태가 되어 버렸는데
약 먹었다고 별 이유없이 과잉생산할까?

중국애들이 앞으로 10년 정도 죽자사자 투자하면???
투자비는 커녕 고정비 때문에... 처절하게 망하거나...
혹여 성공적이라고 해도 치킨 게임에 다시 들어가겠지...

과거 삼성이 메모리로 떼돈 벌때,
삼성은 포트폴리오가 안되서 취약하다고 ㅈㄹ떨던 넘들이 다시 출몰한 거지

좌빨만 훼방놓지 않는다면,
반도체는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가마솥 18-10-28 14:13
   
미*파리 그노마 얘기죠?
멍굴년 18-10-28 08:58
   
반도체 완성 업체 삼성, 하이닉스만 그동안 투자한걸로 결실 보는 거지. 현재 반도체 하청 업체들은
설비 출하량 1/3토막이나 그 이하. 2~3차까지 내려가면 망하는데랑 인력 구조조정 하고 있습니다.
Banff 18-10-28 14:52
   
고점론이라는건 기술적인 얘기보다는 수요공급에 의한 경제적인 얘기기 때문에 좀 다른건데..

3분기 판매 역대라는 얘기는 지난 3개월동안 장사 잘했다는 얘기이고, 월스트리트에서 얘기하는 고점론이라는 것은 수요, 공급, 투자과잉여부, 재고량등을 봤을때 앞으로 주가가 좀 더 내릴것 같다하는 거라.. 보는 관점이 다른 얘기.

삼성전자나 하이닉스 주식을 지금 사야할까에 대한 기사로는 부족하고, 일단 나스닥이나 FANG, 미국 반도체 회사들 주가들도 현재 다 조정상태라 좀 더 두고봐야겠죠. 물론 주가가 바로 반등할지 더 떨어질지는 며느리도 모르는거고.  단, 요근래 메모리 수요 폭등시켰던 AI와 데이터센터 칩으로 주가폭등 수혜를 입었던 AMD, nvidia가 최근 한달간 -50% , -30% 상태.
굿잡스 18-10-28 15:25
   
이미 삼전 주가를 보니 57,000원 고점 대비 현 41,000으로 30프로 하락 조정을 받은 상태.

미증시는 앞서 미중무역분쟁에도 지속적 고점을 갱신했던데 비해 한국은 3분기 반도체 수요에도 불구하고 이미 앞서 상당한 선조정을 받고 있었던 상황.

문제는 이런 자산가치 이하의 조정에도 얼마나 심리적 투심을 살리고 안정화시킬 수 있는지  그래서 시장에선 정부의 좀더 강한 정책적 분위기 추세를 전환할 수 있는 대책을 요구하는것 같군요.
멀리뛰기 21-01-02 14:55
   
[기타경제] 반도체 고점론 '무색'…3분기 반도체 판매 역대 최대  잘 보았습니다.
멀리뛰기 21-01-08 14:45
   
[기타경제] 반도체 고점론 '무색'…3분기 반도체 판매 역대 최대 잘 봤습니다.
 
 
Total 16,531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300323
7831 [기타경제] 김정은, 삼성·LG베트남 공장 방문 불발..경영계 '씁쓸… (10) 스쿨즈건0 03-01 3049
7830 [잡담] 현대차·기아, 10월 인도 8만1329대 판매 두달 연속 30%대 성… (1) 강남토박이 11-02 3049
7829 학부모 '전전긍긍'...보육료 부담 현실화 (3) 블루하와이 01-05 3050
7828 [기타경제] [대한민국 vs 러시아] 명목 GDP 변화 양상 (8) 스크레치 08-17 3050
7827 [전기/전자] 7700만원 '초럭셔리 삼성 TV'…중형 수입차 맞먹어 (8) 스크레치 03-04 3050
7826 LG디스플레이 "올해 신기술·설비에 5조원 이상 투자한다" (3) 스크레치 01-24 3051
7825 [전기/전자] 완전히 접히는 '갤럭시폴드'…구부리는 中 폴더… (8) 스크레치 02-24 3051
7824 [전기/전자] 구글·테슬라도 삼성에 칩 설계·생산 맡긴다 (5) 스크레치 04-17 3051
7823 [기타경제] 포스코인터, 지난해 매출 33조9489억 '사상최대'..… (3) 굿잡스 01-26 3051
7822 [전기/전자] [삼성, 인텔 갈수록 격차 벌어져] 삼성, 1분기 반도체 영… (11) 스크레치 04-28 3052
7821 [잡담] gdp 12위로 내려갔던데 (11) kgkg9539 08-17 3052
7820 [전기/전자] 삼성전자 역대최대 1분기 영업이익 기록 (7) 스크레치 04-29 3052
7819 [인터넷 거버넌스] 인터넷 통치는 이제 미국만의 영역이 … (2) Shark 10-01 3053
7818 삼성전자, 5G 시대 활짝 연다… 미국·일본 시장 선점 (6) 스크레치 01-20 3053
7817 [잡담] 삼성전자, "3년 내에 의미있는 M&A 추진할 것"대규모 투자 … (11) 축신 01-28 3053
7816 [잡담] 한국은 진지하게 인공지능 사회를 준비해야함. (6) 이름없는자 06-19 3053
7815 [기타경제] "주 4일제 나라 안망해요" vs "망가집니다" (40) 스크레치 02-16 3054
7814 [기타경제] 중국산과 싸우며 국내생산 고집 1500억 매출올린 한일전… (4) 보미왔니 04-06 3054
7813 [잡담] 원전 kWh당 판매가에 폐로와 폐기물 비용이 이미 포함되… (39) archwave 07-08 3054
7812 [기타경제] 아프리카 1인당 GDP 예상 (2023년) (3) 스크레치 02-18 3055
7811 [기타경제] 반도체 고점론 '무색'…3분기 반도체 판매 역대 … (9) 굿잡스 10-28 3055
7810 [기타경제] 유니클로 불매운동에 탑텐 재조명 (11) 굿잡스 07-09 3055
7809 [자동차] 현대차 국산 타이어 늘린다 (9) 스크레치 07-24 3055
7808 [자동차] 현대모비스, 세계 최초 레벨4 자율주행차용 이중안전 제… (3) 귀요미지훈 09-19 3055
7807 [전기/전자] 삼성 세계TV 14년연속 1위…점유율 첫 30% 돌파 (27) 스크레치 02-20 3055
 <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