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0-03-01 11:59
[기타경제] 코로나 중간 보고서
 글쓴이 : 오대영
조회 : 2,317  

이번 코로나 사태는 아마 역사책에 기록되게 될것입니다.

세계사적으로 그만한 가치가 있는 자료들이 만들어지고 있으니까요.

우선 경제사적으로 단 몇일 만에 미국과 전 세계 증시가 이렇게 많이 빠진것은 처음입니다. 이것은 후일

 반드시 시장의 비이성적 반응으로 기억될 것 같습니다.

또한 의학사적으로도 매우 특별한 기록이 만들어질것입니다, 코로나 19라는 새로운 바이러스의 발견

그리고 만일 한국이 이 상황을 통제 한다면 대규모 바이러스 발병을 개방사회에서 방역한 전무후무한 

기록으로 남을 것 같습니다.


 사실 이번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로 인한 금융위기는 지난 18일 31번 환자의 등장과 함께 시작되었습니다.

중국의 바이러스가 클러스터 컨테이젼 상태일때 시장은 별다른 패닉 상태에 있지 않았습니다. 중국이니

그럴수 있다. 라는 식으로 관망하는 추세였죠,

 이러한 추세는 한국에서의 소식과 함께 극적으로 바뀌게 되었는데 일정부분 언론의 잘못이 매우 크다고 

볼수 있습니다. 몇일전 로이터의 기사를 번역하면서도 느낀 것이였는데 기사를 작성한 것이 전문 의학 지식

을 갖춘 사람이 아니라 말그대로 기자가 작성했기 때문에 문제였다고 생각되는 부분이 있었습니다.

 마치 31번 단 한명이 수백명을 몇 일만에 감염시켰다. 라는 식으로 글이 쓰여져 있기 때문이였죠.

 우리도 31번 환자 이후 놀랐지만 서방의 반응은 더 충격적이였던것 같습니다. 그럴만한 것이 31번이 

나오기 직전까지 일본 크루즈와 비교해서 한국의 방역망이 얼마나 촘촘 한가? 라는 주제로 이미 서방 언론

의 관심을 받았었기 때문이죠. 객관적으로 한국보다 의료 방역시스템에서 질과 양에서 앞선다고 쉽게 

말할수 있는 서방 국가는 몇나라 없습니다. 

 아무튼 준비된 선진국에서 단 한명이 수백명을 감염시킨다. 라는 식으로 기사가 나갔기 때문에 다소 시장에

패닉을 준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비슷한 시기에 이탈리아 이란도 같은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었구요.
(물론 사실은 31번은 단지 먼저 튀어나온 빙산의 일각이였지만요)

 시장의 하방 모멘텀은 당분간 지속될 것 같습니다.

 우선 미국이라는 거대한 국가가 의외로 바이러스에 대해서 매우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바이러스 방역은 질보단 양으로 그리고 빠른 정보 전달과 투명성 능동적인 시민 참여, 참여의 문턱이 낮을것

을 요구 합니다. 미국은 질적으로 정보전달과 투명성은 좋지만 시민 참여와 참여 유연성에선 양적인 부분에

우리보다 못합니다.

 냉정하게 평가하면 당장 쓸 의료용 마스크도 충분하지 않고

어떤 식으로 선별 검사를 할것인지 하는 계획과 수단도 충분하지 않습니다. 트럼프로선 매우 치명적인 위기

가 될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중국의 위기가 아직 끝난 것도 아님니다. 중국은 생산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만한 충분한 방역을

이루었다고는 보기 힘든 상태이며 지금보다 악화될 가능성도 다분합니다.

 때문에 올해 상반기 글로벌 시장의 생산과 유통이 상당히 어려워질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컨테이너 선 이라는 운송 수단 역시 장기간 폐쇄된 공간에 놓인 구조라 지난번 일본 크루즈 처럼 바이러스

에 취약할수 있으며 각국의 퀴런틴 조건과 맞물려 더욱 무역을 위축시킬 여지가 있습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설령 2%의 치사율이 고스란히 전세계에 적용되어 역대 최악의 전염병중 하나가 된

다고 하더라도 (이 경우 1억 4천만 이상이 사망) 생산력과 생산 관계에 근본적인 영향을 주지는 못할 것입니다.

언젠가는 이 사태가 있기 이전의 주가를 회복할 것입니다.

 문제는 얼마나 걸릴 것인지 여부인데, 최소 3달 이상을 생각해야 될듯 싶습니다. 최악의 경우 내년 여름.

 그정도 기간이면 수많은 기업이 도산 할 것이며, 그 상태라면 현행 금융시스템이 연준의 도움을 받아야

할지 모름니다. 하지만 이것은 2008년의 상황과는 다른 것이기 때문에 그때와는 다른 방법을 써야 합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moots 20-03-01 13:44
   
지금부터 3개월만 이 상태가 더 지속 되어도 한국 내수시장은 그냥 다 죽습니다.
명동 등 전국 중심지가 전부 텅텅비었고 채무자들 은행빚 낸돈 납입 불가로 금융대란 터지기 직전 우려입니다
코로나 따위 사람의 면역만 평범해도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 면역T세포가 쉽게 죽이는 잡종 바이러스에 불과한데
공포심을 조장하는 언론이 항상 큰 문제죠. 지금이 공포심의 정점이죠
바이러스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사람들의 공포심이 더 큰 문제
     
미쳤미쳤어 20-03-01 15:01
   
아닐거라고 봄!!

님 말대로 사실 건강한 사람이라면 좀 앓을 수는 있어도 생명에 큰지장이 없느게 사실!!

좀 지나면 사람들 어느정도 일상 생활할거라 생각되네요!!
          
쿠루루 20-03-01 17:03
   
코로나가 위험한게 제가 알기에는..
1. 전염이 된다는 문제
2.폐가 근섬유화 된다는 문제...

님이 말한 일상 생활하는데 크게 문제가 없는...
상황이 되기는 쉽지 않아요... 치료제나, 보호제가 없어서...

폐가 근섬유화 되면 되돌릴수가 없다고 알고 있네요. 그래서 더 위험하다는..
          
rozenia 20-03-03 02:12
   
치사율의 숫자때문에 생명의 큰지장이 없다는 식의 안일한 언론들이 존재하는데

실제로 낮은치사율과는 반대로 재발가능성, 명확한 치료제의 부재는 결과적으로 봤을때 굉장한 위협입니다

분명한건 위협은 위협인데

그렇다고 경제활동을 안한다면 그것역시 대단한 위협이라는 점이고

근본적으로 질병을 제압하는것 이외에 근본적인 경제대책도 필요한 이유죠.
     
오대영 20-03-02 06:47
   
역시나. 일정부분 금융시장에 개입할수 밖에 없을겁니다

일종의 스테그플레이션 을 염두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바이러스가 아무렇지도 않은 것은 결코 아님니다

우리는 이 질병에 전혀 면역력이 없으며

그것은 20%확률로 폐렴을 일으키는 질환이 누구나 걸릴수 있다는 것인데. 폐렴은 치료하지 않으면 매우 치명적일수 있는 질환 입니다

질병자체의 위력은 결코 과소평가 해선 안됨니다
     
의자늘보 20-03-02 11:07
   
지금 사람들의 공포심이 좀 과한 면이 있긴 하지만....
지금의 조치들이 절대로 과한 것은 아닙니다.
참고로, 우한에서 발발했을 초기에도 대응은 그냥 새로운 독감 같은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도 전염될 수 있을 정도로 전염력이 강하다는 점이 간과 되었죠.
그래서, outbreak 되었고, 결국에 우한지방에서는 통계에 잡힌 사망율만 해도 다른 지역과 엄청나게 차이가 나는 수치를 보여 줍니다.(사실상 통계에 안 잡힌게 많기 때문에 이 수치를 아무도 안 믿긴 합니다. 훨씬 높다고 봐야죠.)
그 이유는, 제대로 된 치료를 받을 수 없을 정도로 급작스럽게 환자가 늘어나는 경우에는 현대의학이 발달하기 이전과 별로 다를 바 없다는 것이죠.
지금 질본을 위시한 정부에서 기를 쓰고 방재하는 이유는, 우한과 같은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해서죠.
멀리뛰기 21-01-02 18:30
   
[기타경제] 코로나 중간 보고서 잘 읽었어요~
멀리뛰기 21-01-12 08:48
   
[기타경제] 코로나 중간 보고서 잘 봤습니다.
 
 
Total 16,531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300254
7906 [기타경제] OECD 경제개발협력기구 2019년 한.일 1인당 GDP 역전 (48) 봉재 02-29 3447
7905 [기타경제] 카타르 18조 LNG선 4파전.. (37) 쾌남 02-29 6537
7904 [전기/전자] 삼성 세계최초 16GB 모바일 D램 양산…"PC 부럽지 않은 성… (35) 스크레치 02-29 6999
7903 [기타경제] 코로나 중간 보고서 (8) 오대영 03-01 2318
7902 [전기/전자] LG화학 中CATL 꺾고 지난달 전기차배터리 2위…시장 다각… (5) 스크레치 03-01 3455
7901 [잡담] 귀요미의 쉬운경제 (5) - 국제수지, 상품수지, 무역수지 (5) 귀요미지훈 03-01 1171
7900 [잡담] 귀요미의 쉬운경제 (6) - 일본 사례로 본 상품수지의 중요… (30) 귀요미지훈 03-01 1911
7899 [전기/전자] 中서 '갤럭시Z플립' 207만원 고가에도 출시 9분만… (33) 스크레치 03-01 6917
7898 [기타경제] 美 빗장 잠그면 경쟁사에 반도체 물량 뺏기고 생산망도 … (2) 케인즈 03-02 3337
7897 [전기/전자] [단독]삼성SDI ‘리비안’ 뚫었다…배터리 공급 계약 초… (37) 스크레치 03-02 4226
7896 [과학/기술] 韓 전기차배터리 3사 점유율 30% 첫 돌파 (5) 유랑선비 03-02 2919
7895 [기타경제] 작년 1인당 국민소득 4년만에 첫 하락 (11) 미친파리 03-03 1717
7894 [전기/전자] LG화학 中CATL 제쳤다…韓 배터리 점유율 첫 30% 돌파 (3) 스크레치 03-03 1436
7893 [전기/전자] 億소리나는 화소 100배줌… 폰카메라의 끝없는 진화 (7) 스크레치 03-03 2412
7892 [전기/전자] 폴더블 핵심소재 日 의존도 낮춘다…투명전극 국산화 ‘… (25) 스크레치 03-03 4123
7891 [기타경제] 韓조선 中 '텃밭'도 가져오나 (49) 스크레치 03-03 6987
7890 [잡담] 중국 공장이 멎었습니다. (16) 진실게임 03-03 3889
7889 [잡담] 궁금한게 선박은 속도경쟁을 왜 안할까요? (39) 국산아몬드 03-03 2638
7888 [전기/전자] 삼성Z플립 日·中서도 잇단 인기몰이 (10) 스크레치 03-03 2569
7887 [기타경제] 한국 구매력 기준 1인당 GDP, 처음으로 일본 추월했다 (10) 초록바다 03-03 2513
7886 [기타경제] 韓日 국민소득역전 놀라운 사실 (OECD 역대 韓日 국민소득… (49) 스크레치 03-03 6976
7885 [기타경제] 국가별 국민순소득(NNI) OECD 기준 (157) 트랙터 03-04 7443
7884 [기타경제] 우리나라 사람들 참 희한하네 GDP VS PPP (63) 대숑 03-04 4561
7883 [전기/전자] [단독]LG유플 中화웨이 5G장비 배제 검토... 왜? (25) 스크레치 03-04 4876
7882 [잡담] 귀요미의 쉬운경제 (7) - 환율제도, 검은수요일 사건 (34) 귀요미지훈 03-05 1379
 <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