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0-01-31 14:05
[기타경제] 미국, 2019년 성장률 발표 & 연준의 29일 금리정책
 글쓴이 : 귀요미지훈
조회 : 1,953  

기사내용 (1)
2019년 미국경제의 연간 성장률은 2.3%(속보치), 4분기 성장률은 2.1%(연율환산)
소비지출 둔화, 3분기 3.2% 증가 -> 4분기 1.8% 증가
기업투자 둔화, 3분기 대비 -> 4분기 1.5% 감소
정부지출 확대, 3분기 1.7% 증가 -> 4분기 2.7% 증가

2017년 감세정책 등을 내놓으며 '연간 3% 성장' 목표로 삼았지만 3년 연속 달성실패
하지만 미·중 무역전쟁 등 글로벌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 2%대 성장을 이어간 것은 
긍정적이라는 분석


기사내용 (2) 
29일 미 연준 기준금리 현행 1.50~1.75%로 유지 만장일치 결정
파월 의장의 우한폐렴에 대한 발언을 시장에서는 향후 '금리인하' 가능성 시사로 평가
미 연준, 단기물 국채 2분기까지 계속 매입, Repo거래도 4월까지 지속
초과지급준비금리 또한 0.05% 인상하기로...


-------------------------------------------------


기사에 나온 내용을 2019년 미국의 성장률과 29일 미 연준의 금리정책을 나눠서
조금 더 상세히 풀어서 살펴보겠습니다.


(1) 2019년 미국의 성장률
3분기까지 괜찮았던 소비지출마저 4분기에 둔화되었고
반면 계속 좋지 못했던 기업투자는 4분기에는 더욱 감소했고
정부지출은 3분기에 이어 4분기에는 더욱 확대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주목할 점은 순수출 항목인데요.
4분기 미국의 수출은 1.4% 증가, 수입은 8.7% 급감으로 인해
4분기 성장률 2.1%(연율기준) 중 순수출(수출-수입)의 성장기여도는 1.48%포인트로 
2009년 2분기 이후 최고치라는 것입니다.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GDP에서 내수의 비중이 절대적인 미국경제에서 내수를 이끄는 소비지출마저 둔화되어
미국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적은 외수(순수출)의 성장기여도가 상대적으로
엄청나게 높아졌다는 것입니다.

즉, 주요 선진경제국 중 작년 성장률 2.3%로 최고를 기록한 미국도
2018년 2.9%에서 0.6%포인트나 꺾였으며 하반기로 갈수록 상당히 좋지 못했다고 
해석할 수 있겠습니다.


참고로 2019년 우리나라의 성장률 2.0% 중 내수와 외수의 수출기여도는
내수 1.2%포인트, 외수(순수출) 0.9%포인트입니다.
(* 합쳐서 2.1%로 성장률 2.0%와 0.1%포인트 차이가 나는 것은 데이터의 불완전 또는 
개별항목의 소숫점 반올림 할 경우 총합의 수치와 불일치가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2) 29일 미 연준의 금리정책
작년 12월에 이어 1월에도 미 연준은 금리를 현행대로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을 했네요.

다만, 단기 국채를 2월까지 계속 매입하고, 환매조건부채권인 Repo 거래도 4월까지
계속하겠다는 것은 단기 유동성 부족을 해소해 단기자금 시장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볼 수도 있지만 시중에 돌아다니는 채권을 계속 사들여 사실상 당분간 시중에 돈을 계속 풀겠다는 
의미로 일종의 양적완화(금리인하)로 해석할 수도 있겠습니다.

반면에 시중은행이 법정지급준비금을 채우고 남는 자금인 초과지급준비금을 
중앙은행에 맡길 경우 지급하는 이자인 초과지급준비금 금리(지준부리 라고도 함)를 
인상하기로 한 것은 시중은행들로 하여금 충분한 자금을 확보케 해서 금융시장을
안정화시키는 효과가 있지만 이로인해 시중의 돈을 빨아들이는 효과 또한 있습니다.
이 조치가 어떤 결과를 낳을지는 은행들이 시장에서 돈 장사를 하는 것이 더 수지가 맞다고 생각할지
아니면 지준부리를 노리는게 더 수지가 맞다고 생각하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또한 초과지급준비금리는 보통 연준 기준금리의 위쪽 상단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기 때문에 
초과지급준비 금리를 올린다는 것은 향후 기준금리인상(양적긴축)을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겠습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귀요미지훈 20-01-31 14:05
   
멀리뛰기 21-01-02 18:26
   
[기타경제] 미국, 2019년 성장률 발표 & 연준의 29일 금리정책 멋진글~
멀리뛰기 21-01-12 08:44
   
[기타경제] 미국, 2019년 성장률 발표 & 연준의 29일 금리정책 감사^^
 
 
Total 16,511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8289
8011 [잡담] 11조원 해외건설 ‘잭팟’… 방글라데시 철도·도로·송… (21) 축신 01-25 6019
8010 [기타경제] (일본언론) 도시바 포함 일본 기업들 매출조작 사건 (35) 귀요미지훈 01-25 7154
8009 [기타경제] 현대·기아차, 글로벌 시장 전기차 판매 10만대 돌파 (4) 귀요미지훈 01-26 1927
8008 [과학/기술] 두산 '수소연료전지 드론'으로 북미시장 진출 (5) BeyondTheSky 01-26 2920
8007 [전기/전자] '샤프', LG디스플레이에 OLED 패널 요청 (29) 귀요미지훈 01-26 7052
8006 [잡담] 三菱 MRJ인도 2022년으로 연기 (24) TTTTTTT 01-26 5547
8005 [기타경제] 베트남 제사상에도 오르는 한국 과일···광고판의 '… (76) 스크레치 01-26 10496
8004 [잡담] 가생이 처음으로 글써봅니다.(도움요청, 지적요청) (72) 프랜시스 01-27 2292
8003 [기타경제] 인구 5천만이상 국민소득 (1인당GDP)(PPP기준) 현황 (2021년) (32) 스크레치 01-27 7407
8002 [기타경제] . (2) 귀요미지훈 01-28 1554
8001 [기타경제] . (9) 귀요미지훈 01-28 4762
8000 [기타경제] 국제관광도시에 부산..강릉·전주·목포·안동, 지역관광… (3) 너를나를 01-28 2721
7999 [기타경제] 2019년 1인당 GDP 31,791달러(추정), 감소요인들 (44) 귀요미지훈 01-28 5933
7998 [전기/전자] 삼성 세계최초 2번접는 폴더블폰 출시 전망 (36) 스크레치 01-28 10536
7997 [자동차] 현대차, 3월 인도네시아 공장 착공 (11) 귀요미지훈 01-29 2199
7996 [자동차] 기아차, 유럽시장서 첫 50만대 돌파 (12) 귀요미지훈 01-29 1698
7995 [자동차] 2019년 브랜드별 글로벌 전기차 시장 점유율 (5) 귀요미지훈 01-29 2308
7994 [기타경제] 한화그룹, 방산사업 매출 5조원 돌파 (6) 귀요미지훈 01-29 3729
7993 [자동차] 작년 전기버스 판매량 551대...중국車 점유율 23%로 하락 (3) 너를나를 01-29 2637
7992 [기타경제] 영국, 5G 장비에 중국 화웨이 일부 허용키로 (32) 귀요미지훈 01-29 4906
7991 [전기/전자] [단독]LG 日제치고 '차량용 디스플레이' 세계 1위 (47) 스크레치 01-30 8541
7990 [재테크] 달러 매각? 보유? (8) 기름쟁이 01-30 2824
7989 [주식] 코스피 과연 어디까지 내려갈까? (18) 9timez 01-30 3655
7988 [기타경제] 미국, 2019년 성장률 발표 & 연준의 29일 금리정책 (3) 귀요미지훈 01-31 1954
7987 [기타경제] 에어버스, 미·영·프 검찰에 4조6000억원 벌금 합의 (5) 귀요미지훈 01-31 2926
 <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