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1-02-25 00:11
[전기/전자] 요원한 中 '반도체 굴기' 중국 반도체 자급률 15.9%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2,881  

https://news.v.daum.net/v/20210224120702139






앞으로는 더 요원해질텐데요 뭐... 

미국 제재 등 영향으로 말이죠 


그러게 기술력도 없는 놈들이 뭐하러 깝쳤는지... 










[참고]



<2019년 세계 반도체시장 국가별 점유율 현황> 



1위 미국 (55%)

2위 대한민국 (21%)

3위 유럽 (7%)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크레치 21-02-25 00:11
   
자그네브 21-02-25 00:48
   
대만 하도 시끄러워서 한 10%는 되는줄 알았는데....
     
스크레치 21-02-25 01:52
   
전체 반도체시장 30%인 메모리 반도체는 삼성 때문에 망하고

나머지 70% 비메모리 반도체도 대부분 미국이 주도하는데


대만은 고작 반도체 일부분야인 파운드리에서 활약한다고

전체 반도체 시장에서 활약할리가 없지요...



그래서 TSMC 타령 해대는게 그냥 황당할뿐입니다.

나머지 다 망해먹고 경쟁력 남은게 파운드리 하나라

발악하는건 알겠는데

참.. 뭐라 할말이 없죠...
포르투나 21-02-25 01:01
   
우리가 저 수준인게 메모리 반도체가 전체 반도체 시장에 30프로라고하죠.

거기서 70프로 점유하고있으니 20프로대 나오나보네요.
시스템쪽은 아직 갈길 멀군요.
     
스크레치 21-02-25 01:55
   
20프로대라는게 어디입니까...

전세계에서 그것도 따라오는 국가가 없는게 현실인데요...


게다가 시스템쪽도 압도적인 미국을 제외하고는 (특히나 CPU는 뭐 100% 미국이 독점)

대한민국이 대비를 못하는 것도 아니지요...


파운드리 2위

이미지센서 2위

거기에 AP 시장에서도 퀄컴에 이어 3위권 등등


시스템쪽에서 미국제외 이정도 하는 나라도 딱히 찾아보기 힘듭니다.
     
할게없음 21-02-25 04:24
   
CIS AP DDI PMIC 파운드리 비메모리에서도 하고 있는 건 죄다 1~3위인데요..
          
유기화학 21-03-30 07:38
   
22
Architect 21-02-25 01:06
   
지금까지는 메모리를 석권하고, 굳히기에 집중하던 시기였죠. 그 작업이 꼬박 30년 걸렸습니다. 지금까지는 관심이 대부분 메모리에 맞춰져 있었지만, 이제 한국 업체들이 메모리에선 어느정도 시장 주도권을 형성한 상태이기 때문에 슬슬 시스템반도체로 넘어가 본격 집중하자는 이야기가 나오는거죠. 요즘은 반도체 관련 과기부 정책들 보면 대부분이 국내 팹리스 및 파운드리 생태계 육성에 관련된 내용입니다.

근 몇년간 발표된 대규모 프로젝트들과 정책들만 보더라도 이제 정부에서 집중 육성중이고, 대기업들이 본격적으로 공략 시작했기 때문에 점유율은 충분히 올라갈 수 있을겁니다. 삼전 자체적으로도 시스템반도체에 130조 투자발표 및 파운드리 생태계 형성을 위해 육성하는 있는 중소 팹리스들이 많고, 정부도 칩 수요와 설계를 연결해주는 작업에 열중하고 있습니다. 과기부 프로젝트 참여 기업 목록이나 스타트업 설명회, 투자설명회의 참여 기업들을 보니 제2의 엔비디아를 꿈꾸는 팹리스 스타트업들이 정말 많던데 (특히 미국 팹리스에서 근무하다 국내로 창업하러 돌어온 젊은 엔지니어들 많음), 정권 바뀌더라도 정책 바뀌지 않고 일관적으로 지원해드렸으면 좋겠네요.
     
스크레치 21-02-25 01:57
   
삼성전자가 그 생태계 조성에 나름 관심은 많은거 같습니다.

세계 20위권 안에 드는 팹리스가 실리콘웍스 정도밖에 없기 때문에..
순헌철고순 21-02-25 09:55
   
중국 굴기 = 남의 기술 베끼기 훔치기 ㅋ 그게 15% 진행되었단 소리군요
qufaud 21-02-25 09:59
   
전체에서 21% 면 미국도 쉽게 대하지 못할 지분이죠
이 지분도 미국에 대들지 않는 한국이니까 미국이 안심하지 아니면 그냥두려 하지 않았을듯
일본의 미국 때문에 반도체 못하게 되었다는 푸념도 매양 틀린말이 아닐지도 모르죠
     
스크레치 21-02-25 12:22
   
게다가 세계 반도체 시장의 무려 30%를 차지하는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도 대한민국이 70%를 먹고 있다면

나머지 30%는 거의 미국 업체가 먹고 있는것도 영향이 있을겁니다.


미국은 거의 모든 반도체 분야마다 굵직한 업체가 하나 두개 정도는 꼭 포진을 하고 있습니다.


D램에도 마이크론이란 업체가 든든하게 3위권에 버티고 있고

낸드플래시 분야로 넘어가면 오히려 대한민국 업체보다 더 많습니다.

웨스턴디지털, 마이크론에 인텔까지 (물론 인텔의 낸드분야는 SK하이닉스가 인수해가긴 했지만)



자신들 역시 메모리에서 거하게 한발 걸치고 있기에 딱히 크게 견제는 하지 않지만

(오히려 이정도 미국업체(특히 마이크론)가 걸치고 있어서 후발주자인 중국등이 넘어오는걸

미국업체가 특허등으로 다 막아버리고 있어 고마운 측면도 있습니다)


만약 대한민국이 메모리 반도체 거의 100%를 독점하는 분위기로 갔다면

전 어느정도는 미국이 견제를 했을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지금도 저렇게 반도체 패권을 압도적으로 50% 이상 장악한 미국인지라

미래에도 반도체 산업이 가장 중요한 제조업 패권을 다툴 열쇠라 보고

미국이 계속 사정없이 중국을 견제하는것만 봐도

미국은 반도체 패권이 타국에 넘어가는거 자체는 극도로 경계한다는걸 알수 있습니다.


우리 역시 반도체 2위 패권을 계속 유지해 나가는것이

굉장히 중요하겠습니다.
 
 
Total 16,530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300122
8055 바젤3 가 우리나라에 어떤 영향을 줄까요? (5) Madbull 10-02 2886
8054 [기타경제] 유럽 스마트폰 시장, 삼성 20% 증가, 화웨이 -16% (11) 귀요미지훈 08-13 2886
8053 [기타경제] 갈수록 커지는 차이나 리스크 (2) 사랑하며 11-15 2886
8052 [잡담] 이재용의 삼성전자 (8) 현대신세계 03-24 2886
8051 삼성전자와 TSMC 아이폰 AP 수주경쟁, 인텔도 가세하나 (4) 스크레치 03-06 2885
8050 [잡담] 삼성 디스플레이 올해 영업이익 6.5조원 전망 (3) 강남토박이 10-22 2885
8049 재규어 잡아라...LG화학·삼성SDI, 배터리 수주 경쟁 (6) 스크레치 09-26 2884
8048 [금융] 韓-스위스 첫 통화스와프…"대외신인도 상승" (6) 스크레치 02-12 2884
8047 [전기/전자] 삼성전자, 베트남 기술인력 직접 키운다…해외 엘리트 &#… (8) 스크레치 05-21 2884
8046 [자동차] 현대차 팰리세이드 대박 조짐…첫날에만 3468대 불티 (9) 스크레치 12-01 2884
8045 [기타경제] 한국산 분유 찾는 中…김치 찾는 日 (7) 스크레치 02-19 2884
8044 벤츠 신차에 LG디스플레이 ‘OLED 패널’실린다 (3) 스크레치 01-18 2883
8043 [전기/전자] 삼성전자 VS 화웨이, 글로벌 시장에 짙은 전운 (4) 스쿨즈건0 02-05 2883
8042 [기타경제] 대우조선, 싱가폴 컨테이너선 6척 수주 (7) 귀요미지훈 01-12 2883
8041 [과학/기술] 접는 폰 인기..삼성 · MS 이어 애플도 접나? (3) darkbryan 10-05 2883
8040 금호타이어, 결국 중국에 매각되나? (7) 스쿨즈건0 07-30 2882
8039 [전기/전자] [단독] LG도 “마이크로 LED TV 개발” (5) 4457205 02-23 2882
8038 [기타경제] 혐한 브랜드 DHC, 올리브영·랄라블라·롭스에서 판매중단 (21) 귀요미지훈 08-13 2882
8037 [전기/전자] 요원한 中 '반도체 굴기' 중국 반도체 자급률 15.9% (12) 스크레치 02-25 2882
8036 [전기/전자] 폭스바겐 외면…갈길 험난한 K-배터리의 운명은 (15) 봉대리 03-21 2882
8035 [기타경제] 이탈리아 경기침체 진입…작년 3·4분기 연속 역성장 (23) 스크레치 02-20 2881
8034 [전기/전자] 폭스바겐 모듈형 전기차 절반은 ‘LG화학 배터리’ 탑재 (8) 스크레치 04-12 2881
8033 [기타경제] 韓 세계5번째 잠수함수출국···대우조선해양, 인도네시… (5) 스크레치 03-18 2881
8032 [전기/전자] 정말 외로운 삼성과 TSMC의 파운드리 전쟁 (22) 혜성나라 04-02 2881
8031 [전기/전자] 삼성, 러시아서 8년 연속 '가장 사랑받는 브랜드' … (3) 스크레치 12-14 2880
 <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