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9-11-05 14:46
[과학/기술] 세계 최초 초전도 케이블 상용화 성공
 글쓴이 : 눈팅중
조회 : 3,222  

http://naver.me/5xiCCmrp

기존 구리선보다 5에서 10배의 전력손실 없이 보내는 것이 가능.
또한, 변압기가 필요 없어서 변전소 설비 면적을 1/10로 줄여 운용비 절감.
줄어든 부지를 다른 용도로 사용 가능.

본문 발췌분-

명노현 LS전선 대표는 "초전도 케이블 상용화는 유럽과 일본 업체들이 주도하던 전력 산업에서 한국이 주도권을 갖게 되는 패러다임의 변화를 갖고 올 것"이라며 "한전과 협력해 해외 시장에 적극 진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LS전선은 2004년 세계 4번째로 초전도 케이블 개발에 성공했다. 2015년 세계 최초로 직류 80kV급 초전도 케이블 실증을 완료, 세계에서 유일하게 직류(DC)와 교류(AC) 기술력을 모두 보유했다. 세계 최대 용량, 최장 길이의 초전도 케이블 개발에도 성공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닝기리꿍 19-11-05 15:25
   
동작 온도가 몇도인지 궁금해 지내요.
상온에서 초전도 현상을 보이지는 않을꺼 같은데.
     
눈팅중 19-11-05 16:06
   
기사에서는 기존의 설비중 구리 케이블만 초전도 케이블로 교체하면 된다고 하니 일반적인 환경에서의 실사용이 가능한 것인가 봅니다.
담배맛사탕 19-11-05 16:59
   
광섬유 아닌감
     
nigma 19-11-05 17:17
   
전력선입니다.
Y금강불괴Y 19-11-05 17:32
   
"초전도 케이블은 LS전선을 포함해 유럽과 일본, 미국의 5개 기업이 기술을 보유하고 있지만 우리나라가 처음으로 상용화에 성공했다.
초전도 케이블은 기존 구리 케이블보다 낮은 전압으로 5~10배의 전력을 보낼 수 있다. 영하 196도에서 전기 저항이 사라지는 초전도 현상을 응용해 송전 중 손실되는 전기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상용화에 성공했다는 것이 중요하네~~ 실온에서 사용가능하고 구리배선에 비해서 저렴하니..
우리나라 사람들 엄청 똑똑해~~ 기술 도둑 조심해서 우리가 다 해먹자.......
트레져sn 19-11-05 18:21
   
좀있슴 무선으로 전력을 보내는 시기가 옵니다 ㅋㅋㅋ
삼성의 무선 충전기술 ㅋㅋ
랍스타 19-11-05 19:16
   
호 좋네요 ㅎ
드뎌가입 19-11-06 09:48
   
아니 이게 어떻게 가능하지? 개신기하네
멀리뛰기 21-01-02 18:09
   
[과학/기술] 세계 최초 초전도 케이블 상용화 성공 잘 봤습니다.
멀리뛰기 21-01-12 08:29
   
[과학/기술] 세계 최초 초전도 케이블 상용화 성공 잘 읽었어요~
 
 
Total 16,52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354
8148 [자동차] 현대차, 첨단 음파기술로 노면소음 잡아 (14) 진구와삼숙 11-11 3604
8147 [자동차] 올들어 전기차 수출 2배 ↑ (9) 귀요미지훈 11-11 3537
8146 [기타경제] 롯데, 불매운동에 사상 최악적자~ (33) 보미왔니 11-11 5913
8145 [기타경제] 셀트리온헬스케어 미국시장 진출한다. (2) 눈팅중 11-10 2373
8144 [자동차] E커머스? Car커머스 시대 온다. (2) 눈팅중 11-10 1290
8143 [잡담] 80년도와 19년도 한국 대만 차이 (6) 폭군 11-10 5025
8142 [기타경제] 닛케이 "韓 반도체 소재 국산화해도 경쟁력 없다" 주장 (13) 너를나를 11-10 6114
8141 [전기/전자] 세계 최고 권위 CES에서 삼성과 LG가 일본 털어버린다 (6) 하루두루 11-10 4356
8140 [잡담] 지정학적 이점 살려 외국군 주둔비 받아 GDP 5% 충당 (6) 달구지2 11-10 3140
8139 [기타경제] 문재인정부 2년 반, 국가신용등급 역대 최고 (13) bts4ever 11-09 3625
8138 [기타경제] 삼성물산, 3조3600억 방글라데시 공항터미널 수주 (15) 귀요미지훈 11-09 6106
8137 [잡담] 대만과 한국의 gdp격차가 벌어진 이유 (16) 폭군 11-09 8882
8136 [잡담] 인구 천만명이 넘는 아시아국가 1인당 gdp 순위 (6) 폭군 11-09 6103
8135 [잡담] imf이후 힘들게 내려놓은 환율 명박이가 다시 올려버렸죠 (18) 폭군 11-09 3018
8134 [주식] (스압)주식에 대한 생각들. (11) 눈팅중 11-09 1992
8133 [기타경제] 공식 통계를 믿을 수 있는 나라는? (5) 흐흫흫 11-09 1909
8132 [기타경제] LGD 사무직원 대상 희망퇴직 접수 시작. (7) 눈팅중 11-08 3076
8131 [기타경제] 지적재산권 돈버는나라 순위 (8) 냥냥뇽뇽 11-08 6483
8130 [기타경제] 최근 남미에서의 한국기업들 소식 한토막 (8) 귀요미지훈 11-08 7255
8129 [기타경제] 백악관, 미중 관세철회 합의 중국 발표일뿐 (4) 귀요미지훈 11-08 2564
8128 [전기/전자] LG화학·中 지리차 합작법인 '윤곽' (10) 귀요미지훈 11-08 3107
8127 [기타경제] 나라별 현금 사용비율 (19) 보미왔니 11-08 4140
8126 [기타경제] 해외에서 바라보는 긍정적인 한국 경제 지표 (3) 보미왔니 11-08 2999
8125 [기타경제] 美방위비 47억불 요구..강경화 "납득 가능 수준 합의할 것 (23) 케인즈 11-07 4631
8124 [과학/기술] 한국형발사체 7톤급 액체엔진 750초 연소시험 성공 (10) 귀요미지훈 11-07 5375
 <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