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7-08-09 10:25
한국은 ‘편의점 왕국’日 추월.
 글쓴이 : 스쿨즈건0
조회 : 2,908  

한국은 ‘편의점 왕국’…인구당 점포수 일본 추월

 
 
최근 편의점 수가 급속히 늘어나면서 인구당 점포수가 ‘편의점 왕국’으로 불리는 일본을 추월. 8일 업계 자료를 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내 편의점 수(상위 6개사 기준)는 3만4376개로, 우리나라 인구가 약 5125만명이란 점을 고려하면 인구 1491명당 1곳 꼴로 편의점이 있는 것으로 파악. 이는 인구 2226명당 1곳의 편의점이 있는 일본보다 인구 대비 점포수가 약 1.5배 많은 수치. 지난 3월 말 기준 일본의 편의점 수는 약 5만6160개이고, 인구는 1억2500여만명.

1989년 5월 세븐일레븐이 서울 송파구 방이동에 국내 1호점을 내면서 도입된 편의점은 1∼2인 가구 증가와 급속한 고령화 등의 영향으로 급격히 늘었다. 편의점의 성장은 올해도 이어지는 추세. 씨유(CU), GS25, 세븐일레븐, 미니스톱, 이마트24(옛 위드미) 등 이른바 ‘빅5’ 편의점은 올해 1∼7월 3088곳이 신규 출점했다. 7월 말 현재 점포 수는 씨유가 1만1949개로 가장 많고, GS25 1만1911개, 세븐일레븐 8944개, 미니스톱 2401개, 이마트24 2247개다.

 

 
편의점 점포 수가 급속히 늘어나면서 점포당 매출 감소와 영업환경 악화 등 부작용도 나타나고 있다. 지난주 발표된 GS25를 운영하는 GS리테일의 2분기 영업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견줘 21.7% 감소한 531억원에 그쳤다. 전국 곳곳에 편의점이 없는 곳을 찾기 어려울 정도여서 기존 점포 인근에 경쟁업체가 문을 여는 이른바 ‘근접 출점’ 논란도 끊이지 않고 있다. 최근 부산 송도 지역에서는 이미 GS25 편의점이 2층에 입점한 건물 1층에 세븐일레븐이 새로 문을 열려다 상도덕 논란에 휩싸이며 결국 본사가 폐점을 결정한 사건도 발생.

주요 편의점의 신규 출점 경쟁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전국에 개인 슈퍼가 여전히 6만∼7만개에 이르는 상황에서 편의점으로의 전환을 희망하는 점주들이 적지 않기 때문. 편의점 업계 관계자는 “많은 논란이 있지만, 아직 점포당 매출이 일본의 4분의 1 수준에 불과하고 1∼2인 가구 증가에 따른 근거리 소량구매 패턴 확산 등의 추세를 감안할 때 편의점 시장의 성장세는 당분간 지속할 전망”이라 말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쿨즈건0 17-08-09 10:26
   
한국은 ‘편의점 왕국’…인구당 점포수 일본 추월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1&oid=028&aid=0002375119
스크레치 17-08-09 21:44
   
뭐 집 주변에 편의점이 워낙 많아 잘 이용하고 있는 한사람이지만

또 저런 문제도 있었군요
멀리뛰기 21-01-02 08:35
   
한국은 ‘편의점 왕국’日 추월. 감사합니다.
멀리뛰기 21-01-08 11:33
   
한국은 ‘편의점 왕국’日 추월. 감사^^
 
 
Total 16,51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8473
8165 LG, 유럽 車조명업체 ‘1조원대 인수전’ (4) 스크레치 09-01 2915
8164 [전기/전자] 디스플레이 계측기 국산화 '에이앤아이' (7) 진구와삼숙 08-25 2915
8163 [전기/전자] TSMC "연말 4나노 칩 양산"…시험 생산 돌입 (8) 흑수선 04-07 2915
8162 [잡담] [영상] 이란 "세계 2대 리튬 광산 발견"… (9) 조지아나 03-07 2915
8161 中 국경절연휴 유커 600만명 출국…해외관광지 1위는 한… (5) 스크레치 10-05 2914
8160 현대차, 인도서 ‘씽씽’…8월 판매 대수 9% 증가 (5) 스크레치 09-01 2914
8159 [전기/전자] 인텔 10나노 미세공정 반도체 뒤늦게 양산, 삼성전자보다… (3) 스크레치 05-27 2914
8158 [전기/전자] 이 반도체 잡아야 승자..'팀코리아'도 나섰다 (6) 스크레치 08-26 2914
8157 [기타경제] 속보-韓 작년 G7 진입 1인당GNI (이탈리아 역전) - 美 블룸… (23) 스크레치 01-25 2914
8156 [잡담] 저 븅신들은 아직도 올림픽 축제타령하고 잇음 (10) 혹뿌리 08-14 2914
8155 한국 부품 ‘OLED 아이폰8’을 채우다 (4) 스크레치 04-17 2913
8154 [기타경제] 아시아 대륙 최저임금 현황 (시급 기준) (13) 스크레치 02-04 2913
8153 [기타경제] 파이브나인 99.999% ? (11) siba18 07-14 2913
8152 [전기/전자] 삼성디스플레이 QD-OLED 신공정에 국산 장비 도입 검토 (7) 스크레치 08-27 2913
8151 [과학/기술] 향후 10년 이내 최대 50%까지 수소원가 저감 전망 (8) 귀요미지훈 01-24 2913
8150 [전기/전자] "반도체 줄테니 백신 달라"..삼성을 밀어낸 TSMC [한입경제 (15) 훔나리 02-13 2913
8149 [자동차] 중국산 전기차 지원에 혈세 펑펑..전기버스 中 쏠림 심화 (12) 유랑선비 06-05 2912
8148 [기타경제] 美 추가관세 中경제 성장률 6% 이하로 끌어내려 (35) 스크레치 08-24 2912
8147 [자동차] GM-LG 전기차 배터리 혁신.. 한 번 충전하면 1000km 달린다. (5) 스크레치 01-20 2912
8146 [금융] 금융 횡재세 때문에 금융 주주들 난리네요. (5) 땡말벌11 10-30 2912
8145 [잡담] 전 세계 저출산 트렌드 (6) conanmoon 03-04 2911
8144 [기타경제] "쭝국산 마스크 일부는 위구르족 노동력 강제 착취물" (4) 굿잡스 07-20 2910
8143 한국은 ‘편의점 왕국’日 추월. (4) 스쿨즈건0 08-09 2909
8142 [전기/전자] 삼성전자 1분기 잠정실적 어닝쇼크 (10) 축신 04-05 2909
8141 [과학/기술]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태양광 무인기 비행 (10) 귀요미지훈 08-20 2909
 <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