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9-12-02 18:17
[잡담] 수치가 똑같다고 똑같은경제력인가요?
 글쓴이 : 돌아온드론
조회 : 3,326  

예를들어서

영국 축구리그가 인기가 많아서  해외에 방송료로 5000억을 받아서 번거랑.

반도체 5000억 수출해서  번거랑

같은  규모의 경제력이지만  반도체가 더 좋은거 아닌가요?  뭔가 딱꼬집어서 말할순 없지만
유흥?기술 판매랑   전자기술 판매는 다른거같아서요


아니면   요즘 세계경제는 돈이면  다 살수 있기때문에  수치가 같으면 같다고 보면되는건가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탈곡마귀 19-12-02 18:29
   
제가 경알못이지만 같은 수치라면 재조업을 더 쳐주는 건 어디서 얻어 들은 것 같네요.
미쳤미쳤어 19-12-02 18:31
   
의미를 모르겠음!!

돈 자체를 말씀하시는건지

영향력을 말씀하시는건지
죽여줘요 19-12-02 21:23
   
확실한건 제조업이 승수효과가 제일 큽니다 매출 1조가 벌어지면 하청의 매출도 상승 고용상승 급여증가 소비효과

주주의 이익등 파생효과는 1조를 훨씬 넘죠 대표적인게 자동차 산업 일본은 자동차산업 무너지면

진짜 망할듯

금융업이 승수효과는 제일 작음
도나201 19-12-03 01:53
   
이제는 그렇지 않은게.. 오히려 축구팀이 더 낫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그만큼 소비자들이 여유적인 생활을 즐긴다라는 이야기니까요.

생활의 질이 한층위라는 소리입니다.
경제왕왕 19-12-03 07:54
   
분배의 기능이 다릅니다.. 반도체 5,000억원을 수출하기 위해 투입되는 인건비, 재료비 등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큰 반면 작성이가 예를 든 축구의 경우는.. ^^ 일정 소수에게만 돌아간다고
봐야하기때문에 같은 금액이라 할지라도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 자체가 다릅니다
스카이캐슬 19-12-03 18:13
   
방송료처럼 쉽게 돈버는게 많으면 당연 좋겠지만 . 매우 매우 어렵죠
특히 자원도 없는 나라는
제조업말곤 외화벌기 힘든데, 한국처럼 인건비 높은 국가들은 중소기업의 대기업 의존도가 굉장히 높습니다. 
일례로 GM 군산 철수하고 중소,하청, 협력업체까지 수천명이 해고 당했죠
앵두 19-12-05 10:45
   
뭐지... 순이익 높은게 장땡이죠.
멀리뛰기 21-01-02 18:15
   
[잡담] 수치가 똑같다고 똑같은경제력인가요? 좋은글~
멀리뛰기 21-01-12 08:34
   
[잡담] 수치가 똑같다고 똑같은경제력인가요? 잘 읽었어요~
 
 
Total 16,517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8583
8292 [과학/기술] ETRI, 초저지연·무손실 보장 통신 기술 개발 (6) 귀요미지훈 12-10 2458
8291 [기타경제] 한진중공업 수빅조선소 "내년 초 호주 오스탈 품에" (3) 귀요미지훈 12-10 3162
8290 [전기/전자] '뇌물 혐의' 에릭슨 美서 벌금 1조 3000억원 (4) 귀요미지훈 12-10 2025
8289 [자동차] 현대차, 베트남 해커그룹에 공격 당해 (12) 귀요미지훈 12-10 3403
8288 [전기/전자] 삼성전자, 엑시노스 전략 바꾸고 퀄컴 추격 본격화 (5) 케인즈 12-09 5936
8287 [과학/기술] 강소기업 55개 선정.. 이들 중 삼성전자도 울고 갈 제2의 &… (4) 케인즈 12-09 3640
8286 [전기/전자] 중국 전기차 배터리 시장 드디어 열렸다 "한국 배터리 업… (7) deepblue 12-09 4116
8285 [기타경제] 한국과 손잡은 영국의 충격발표에 일본 전체가 비상! (9) 행복찾기 12-09 9053
8284 [부동산] 日 산케이 "한국인 관광객 감소로 피해입는 것은 한국자… (22) 너를나를 12-08 9782
8283 [기타경제] 32년 전 일본에게 당한 설움, 이번에야말로... (13) 조국과청춘 12-08 7087
8282 [전기/전자] 일본 반도체 사망소식에 절망하는 일본 현상황 (7) 하루두루 12-07 9051
8281 [기타경제] 日 수출국서 韓순위 14년만에 한단계 하락. (5) 스쿨즈건0 12-07 6201
8280 [전기/전자] 올해 2분기, 3분기 업체별 TV 출하량 (3) 귀요미지훈 12-07 2573
8279 [잡담] 단통법 실시후인 10월 일본 스마트폰 시장 판매순위 (9) DSPAM 12-07 5338
8278 [전기/전자] 일본 스마트폰 시장까지 접수하는 한국에 절망하는 일본… (9) 하루두루 12-07 7085
8277 [기타경제] 아베노밐스 경기지수 5.6포인트 대폭락, 일본 대지진 때… (7) 독산 12-07 3668
8276 [기타경제] 외무성문서, 옛 일본군 종군위안부 「사병 70인에 1인」… (2) 독산 12-07 1920
8275 [기타경제] 美 '무리한 논리'로 韓 철강에 고율 관세 부과. (15) 스쿨즈건0 12-06 6390
8274 [기타경제] 불매운동에…일본 담배회사, 'KT&G 지분' 팔며 손 … (4) 스쿨즈건0 12-06 3365
8273 [과학/기술] 文정부'벤치마킹' 유럽…'탈원전'서 회군 (16) 조지아나 12-06 4242
8272 [잡담] 디플레이션 걱정 할 필요 없습니다 (11) 부두 12-06 2970
8271 [기타경제] 디플레이션의 입구에서 차갑게 식어가는 한국경제. 왜 … (11) 독산 12-06 3812
8270 [기타경제] 日경산상 "수출규제, 韓 제도 개선되면 재검토 가능" (19) 너를나를 12-05 7244
8269 [기타경제] Jap 규제 속 소재부품 국산화 성공 기업 '수출탑' … (3) 굿잡스 12-05 4449
8268 [잡담] 한국 조선업 20년 호황기가 다시올까? 조선소감독관말에 … (13) 흩어진낙엽 12-05 6650
 <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