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0-04-14 21:42
[기타경제] 무디스, 소프트뱅크 신용등급 2단계 강등..정크수준
 글쓴이 : 귀요미지훈
조회 : 3,019  

캡처.PNG



소프트뱅크그룹(SBG)의 신용등급 Ba1 -> Ba3,  2단계 강등
선순위 무담보채무 신용등급  Ba1 -> Ba3 하락, 2단계 강등
다른 부수적인 신용등급 Ba3 -> B2 하락, 2단계 강등
추후 신용등급 추가 강등 의견 제시.


향후 4개 분기 동안, 투자금 중 410억 달러를 현금화해서 180억 달러는 자사주 매입에 사용, 
230억 달러는 채무를 갚는데 사용할 계획이라고 2020년 3월 23일 소프트뱅크그룹(SBG) 발표.
이 계획은 2주전쯤 발표했던 자사주 매입금액보다 4배나 많은 금액


----------------------------------------------------------------------



위 내용이 무디스 발표 내용인데, 
소프트뱅크라는 기업과 그 기업이 발행한 채권의 신용등급이 어떤 수준인지는 
아래 무디스 기업신용등급표를 보시면 아실 수 있습니다.
Ba1이하는 정크수준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소프트뱅크 기업, 채권 신용등급은 전부 정크수준이 되겠습니다.


47875118_7.png



신용평가사들이 매기는 신용등급은 보통 기업(채권발행자)과 그 기업이 발행한 채권으로 
구분하여 부여하는데, 이렇게 구분하는 이유는
기업의 경우 전반적인 채무상환 능력으로 평가하는데 반해, 
그 기업이 발행한 채권의 경우 채권별로 회수율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위 무디스 발표내용을 보면,
소프트뱅크 기업, 즉 소프트뱅크그룹(SBG)의 신용등급은 Ba3
소프트뱅크가 발행한 senior unsecured의 신용등급도 Ba3
...로 둘다 상당히 리스크가 큰 정크수준입니다.


참고로, senior unsecured는 선순위 무담보채권을 말하는데,
기업이 발행하는 여러종류의 채권 중 기업신용등급을 대표하는 개별채무로 평가됩니다.
선순위 담보부채권과 함께 비교적 회수 가능성이 높은 채무에 속합니다.
즉, 소프트뱅크가 발행한 채권들 중 비교적 회수 가능성이 높은 대표적인 채권조차 
현재 신용등급이 정크수준이라는 얘기가 되겠습니다.


그리고 위에서... 다른 '부수적인' 신용등급은 B2라고 했는데
이건 소프트뱅크가 발행한 회수 가능성이 낮은 다른 채권들의 신용등급을 의미합니다.
후순위채권이나 하이브리드증권 같은 위험성이 높은 채무들이 되겠고 이를 junior라고 합니다.


소프트뱅크가 향후 1년간 투자한 금액 중 410억 달러를 만들어서 자사주 매입하고, 
빚 갚는데 사용하겠다고 하는데...
비전펀드 규모가 약 1000억 달러 수준이고 지금까지 각종 손실과 주가하락 등의 가치하락을 
감안하면 410억 달러는 전체 투자금의 잔존가치 대비 굉장히 큰 비율일 것이 확실해 보이고
이렇게 투자금을 대규모로 빼내서 자사주 매입하고 빚갚는다는 얘기는 
주가하락과 부실의 위험이 상당히 심각한 수준이라는 반증으로 보입니다.


여태껏 투자실패가 여런 건이었고, 막대한 손실(작년 영업손실 15조2400억원)이 드러난 상황에서 
투자포트폴리오를 정리해서 현금 410억 달러를 만들겠다는 계획 자체가 말대로 될런지,
된다하더라도 효과가 있을런지 상당히 의구심이 듭니다. 
게다가 이런 행위 자체가 오히려 투자자의 불안심리와 주가하락을 더 부채질 할 수도 있기에...


추가로 돈을 끌어오는 것도 쉽지 않겠지만 신용등급이 정크수준이라 향후 자금차입에 붙는 
신용리스크프리미엄도 더 올라서 자금조달비용 자체가 더 늘어나는 건 덤이 되겠네요.


최근 몇 년 신뢰를 많이 잃어 추가 투자금을 유치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기에 
현재로선 이렇게라도 하는 것이 손마사요시가 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 아닌가 싶습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귀요미지훈 20-04-14 21:50
   
쾌남 20-04-14 21:56
   
올 회계연도 15조 손실 예상한다고 뉴스에서 봤는데 우짜다가 이렇게 된건지.. 도요타도 이렇게 돼야 하는데요. 훈훈한 소식 잘봤습니다.
     
귀요미지훈 20-04-14 22:08
   
미중무역분쟁으로 인한 글로벌불황이라는 표면적인 영향도 있겠지만,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그 이유보다는 투자대상 기업이나 아이템의 선정 자체 문제가 더 큰 것 아닌가 싶습니다. 4차산업혁명, 공유경제 혁신기업들이라고 말은 거창했지만 소프트뱅크가 투자한 기업이나 아이템들이 사실 그다지 혁신적이지 못했고 거기에 더해 투자포트폴리오를 문어발처럼 너무 많이 벌려놨던것도 있고...거기에 위워크 사태처럼 해당 기업 CEO에 대한 잘못된 평가로 인한 손실도 한 몫 했구요.
          
통도판타지 20-04-14 22:43
   
그냥 망조가 깃든 나라에 있어서 그렇다 봅니다.
               
귀요미지훈 20-04-14 23:02
   
그 말씀도 상당히 일리가 있겠네요.
그 인구에도 유니콘기업이 달랑 2~3개밖에 안되고 혁신과는 거리가 먼 나라 출신 기업가가 일본 국내면 모를까 글로벌무대에서 고위험 혁신 벤처투자를 잘하기가 쉽지 않겠죠.
frogdog 20-04-14 22:51
   
손 마사요시는 소프트방크를 팔아버리고

한국으로 귀화하면 넌 일본에 있을때보다 엄청난 기업을 만들거라고 본다
북극고래 20-04-14 23:03
   
마지막까지 일본의 운명과 함께하겠죠
20세기에 전성기를 누리다 21세기에 시대에 뒤떨어져가는 일본처럼
융융7845 20-04-15 18:24
   
근데 통신회사는 X신짓을 하지 않는 이상 망할 수가 없어요 물론 병X짓을 해서 문제지만
통신사업이 건재한 이상은 최악까진 가지 않을 거임 뭐 일본이 망했으면 좋겠지만 사실은 사실이니까
일베효수 20-04-15 18:30
   
소프뱅크 오너가 너무 앞서갓습니다
할게없음 20-04-15 21:17
   
유니콘 기업을 위주로 공략했으니 투자처가 잘못 됐다기 보단 너무 무리해서 투자한 점이 있죠. 단기간에 무리한듯. 당장 커다란 수익을 내긴 힘든 회사들인데. 위에분 말처럼 너무 앞서 간 느낌. 물론 4차산업 혁신을 너무 외치다 투자처를 너무 고평가한 것들도 있는듯
슬램덩크 20-04-15 22:56
   
나무나 훈훈한 소식 잘 봤습니다.
황금빛노을 20-04-27 23:23
   
마스크 풀어서 차차기 니뽕 총리 할려나봄
멀리뛰기 21-01-12 09:00
   
[기타경제] 무디스, 소프트뱅크 신용등급 2단계 강등..정크수준 감사^^
 
 
Total 16,517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8723
8992 [기타경제] 중국 1분기 성장률 -6.8%. 통계 집계 후 첫 마이너스 성장 (5) 일반시민 04-18 1784
8991 [기타경제] 日1인당GDP 韓에 추월 현황 (IMF 최신) (24) 스크레치 04-18 4693
8990 [기타경제] 세계 선진국 GDP순위 (1인당GDP 포함) (IMF최신) (6) 스크레치 04-18 3450
8989 [기타경제] IMF 초유의 사태 (7) 스크레치 04-17 4715
8988 [기타경제] 포스코, 터키 세계최장 교량에 철강 재료 전량 공급 (8) 스크레치 04-17 3492
8987 [전기/전자] 내달 '고순도 불화수소' 양산.. 영역 넓히는 SK머… (6) 스크레치 04-17 3190
8986 [자동차] 제네시스 G80, "BMW5 시리즈의 라이벌" (2) 스크레치 04-17 1995
8985 [전기/전자] 드디어 '노캔' 기능 장착?..삼성 '갤럭시 버즈 … (5) 스크레치 04-17 1755
8984 [자동차] '억 소리나는 리콜' 일본 다카타 에어백 '또�… (4) 감을치 04-17 1610
8983 [잡담] 와 tsmc 괴물 실적 냈내요 (13) 티유 04-17 3234
8982 [잡담] 애플 A13칩 성능이 넘사벽이네요. (11) 티유 04-17 2882
8981 [전기/전자] 글로벌1위 日 MLCC 공장 '셧다운'..삼성전기 반사이… (5) 스크레치 04-17 5476
8980 [자동차] 세계 10대 자동차시장, 3월 판매량 '뚝뚝뚝'…프랑… (3) 스크레치 04-17 2390
8979 [자동차] 폭스바겐 올 1분기 영업익 77%감소 (2) 케이비 04-17 1201
8978 [기타경제] '노재팬' 제대로 먹혔다..유니클로·데상트·무인… (6) 굿잡스 04-17 2573
8977 [기타경제] . (4) 블랙메리이 04-17 2411
8976 [잡담] g8 후보국 경제규모 (1) 폭군 04-17 4090
8975 [기타경제] 이탈리아 GDP추월 현황 (역대 현황) (2) 스크레치 04-16 4218
8974 [잡담] 기재부는 답답하네요 (15) 부두 04-16 2762
8973 [전기/전자] 日서 소니 제친 삼성, 화웨이도 밀어냈다 (15) 스크레치 04-16 7479
8972 [자동차] "돌아오라 LG화학" 폴란드정부 특별기 띄웠다 (4) 부엉이Z 04-16 5990
8971 [잡담] 오늘자 해외 한국 영상에... (4) 그대만큼만 04-16 3802
8970 [기타경제] 긴급재난지원금 추경]빚 없는 추경..국방·SOC 등 예산 7.6… (14) 굿잡스 04-16 2460
8969 [자동차] 현대차 日도요타 제치고 베트남 판매량 1위 (3) 스크레치 04-16 1993
8968 [과학/기술] 반도체에 170조 쏟아부은 중국…한국과의 격차 1년으로 … (41) 흩어진낙엽 04-16 5229
 <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