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3-04-23 11:42
[잡담] 칩스 법의 진짜 목표는 무엇인가? by 크리스 밀러 교수
 글쓴이 : 강남토박이
조회 : 3,200  

칩스 법의 진짜 목표는 무엇인가? by 크리스 밀러 교수(Chip War 저자이자 백악관 칩스법 정책 자문위원)


크리스 밀러 교수의 MIT 강연을 다시 쭉 들었는데 Q&A 시간에 이번 칩스 법의 목표에 대해 언급한 부분이 있더라고. 그 부분을 공유해 봄.




자급 자족은 (칩스 법의) 목표가 아닙니다. 목표는 칩 공급망을 (완전히) 국산화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와 관련해서 멍청한 의원들 몇 명이 저와 논쟁을 벌이긴 했지만, 실제로 칩스 법안을 발의한 사람들은 반도체 제조에서의 완전한 자급 자족을 믿지 않습니다. 칩스 법을 실행하는 사람들 역시 그렇게 믿지 않습니다. 자급 자족은 절대로 목표가 아닙니다.

저는 칩스 법에는 크게 두 가지 목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것은 제 개인적인 주장이 아니라 목표가 무엇인지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입니다. 하나는 대만의 반도체 칩 생산 또는 수출 능력에 차질이 생길 경우를 대비해 값비싼 보험에 가입하는 것입니다. 두 번째는 반도체 산업에서 미국이 창조하는 혁신을 촉진하는 것입니다.

첫 번째로, 현재 미국은 전세계 반도체 칩의 10%를 생산하고 25%를 소비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대만은 절대적으로 중요합니다. 따라서 미국의 우선 목표는 미국 내에서 생산되는 반도체 칩의 비중을 높이는 것입니다. 유럽, 일본, 인도, 그리고 한국도 같이 노력하면서 미국 역시 칩 생산 비중을 10%에서 15%~20%로 높이는 것입니다. 저는 미국 정부가 구체적인 (국산화 목표) 수치를 밝히는 것을 불편해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제 생각에, 다른 정부 정책들도 같이 검토한 결과, 대만에서 생산되는 선단공정 칩 비중을 현재의 90%에서 10년 후에 50% 수준까지 낮추는 것이 (미국 정부의) 목표라고 생각합니다. 이렇게 되면 대만에서 전쟁이 발발해도 완전하지는 않더라도 (칩 공급에서) 생존이 가능해집니다.

이처럼 미국은 다른 지역에서 더 많은 (반도체 제조) 역량을 보유해야 합니다. 그것은 자급 자족과는 매우 다릅니다. 그렇게 보면 칩스 법은 반도체 제조 보조금으로 겨우 390억 달러만을 책정하고 있습니다. 제가 언급했듯 신규 제조 FAB 하나를 건설하는 데 200억~250억 달러의 비용이 들기에 (390억 달러는) 그리 큰 금액은 아닙니다. 그런데 대만 FAB의 CAPA를 모두 미국으로 옮기려면 최소 수천억 달러의 돈이 들며, 의회는 그 정도의 돈을 쓸 의향이 없습니다. 따라서 완벽한 보험을 위한 비용은 미국 의회가 감당하기에는 너무 비쌀 것입니다. 확실히, 그것은 의회가 이미 할당한 것보다 훨씬 더 큽니다. 이것이 바로 보험 부분입니다.

두 번째 부분은 간단히 요약하자면 R&D 부문 투자를 통해 반도체 산업에서 미국의 기술 개발 역량을 크게 발전시키겠다는 것임.

확실히 미국은 누구들 주장대로 최첨단 칩 제조를 독식할 생각도 없고, 또 그럴 능력도 없다는 사실을 매우 잘 알고 있음. 제조원가가 너무 비싸거든. 크리스 밀러 교수도 그렇게 믿는 인간들을 미국 의회 의원들이라도 멍청하다고(Poorly-educated) 대놓고 깠지. 대신 칩스 법에 대해 대만에서 비상사태가 발생했을 때를 대비한 값비싼 보험에 가입하는 것으로 표현했음. 확실히 칩스 법의 타겟은 대만과 TSMC임.

그렇게 보면 크리스 밀러 교수는 미국이 대만 FAB에 의존하는 선단공정 비중을 현재의 90%에서 10년 후에 50% 이하로 낮추는 게 목표라고 했음. 이를 위해 미국 내에서의 반도체 제조 비중을 높이는 와중에 한국의 노력도 같이 필요하다고 했음. 위에서 언급한 유럽, 인도, 일본, 한국은 반도체 제조에서 대만을 대신할 프렌드쇼어링 대상으로 선택된 국가들이라고 생각함. 미국은 (대만 외) 다른 지역에서의 반도체 제조 CAPA를 늘려야만 하며, 이는 자급 자족과는 매우 다르다는 발언 역시 프렌드쇼어링에 대한 내 주장을 더욱 강화한다고 생각함. 다시 말하지만 최첨단 칩 제조를 독식하는 건 천하의 미국이라도 능력 밖 일이기 때문임.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백두산신령 23-04-23 15:34
   
미국의 자국 내 반도체 공장 건설은 달콤한 한 여름 밤의 꿈과 같음.
즉 일장춘몽입니다.

국내에서 반도체 공장을 지을 때 통상 길이 640M 너비 200M 높이 80인 세상에서 제일 큰 건물입니다.
이게 어떤 식으로 건설 하냐면  통상적으로 한 건물에 4개의 공장이 건설 되고

상단부터 건물을 완성하면 생산과 건설을 동시에 하는 구조입니다.

건물 하나에 5조 설비 포함 20조 짜리 공사이고 건설 기간 3년 ~ 5년입니다. 3년 차부터 상단 공장에서 칩 생산하고 밑에 공장을 건설하는 구조입니다.

이런 건설 및 생산 방식은 오로지 대한민국만 할 수 있고 다른 나라는 꿈도 못 꾸는 방식입니다.

또 몇 년 생산하다가 NAND가 가치가 올라가면 낸드로 공장을 바꾸고 메모리가 올라가면 메모리로 바꾸고 비 메모리가 뜨면 공장을 비 메모리로 바꿔 버립니다.

이렇게 전환 공사에 통상 6개월 걸립니다.

이런 공사가 가능한 이유는 반도체 공사에 거의 10년 이상 몸 담은 엔지니어들이 수만명입니다.
설비, 전기, 소방, 배관, 제어 등 반도체 공장에 특화된 설계, 시공 엔지니어들이 수만명이고 이들은 설계도 없이도 공사가 가능한 빠곰이 들이 상당합니다.

미국 공장이 5년이 지나도 생산을 장담 못하고 전환 공사는 꿈도 못 꾸는 겁니다.
즉 느려 터진 공룡이 되어서 신규 페러다임에 대처를 못하는 암 덩어리가 되는 거죠.

위와 같은 이유로 미국이 꿈꾸는 첨단 반도체가 미국에서 생산될 거라는 생각은 망상이요 오산입니다.
첨단 반도체들은 한국과 대만에서 생산되고 미국은 레거시 제품만 생산 될것입니다.

더군다나 미국은 자동차 공장 이외에는 아무것도 없는데 뭘 생산한다는 것인지 부터가 불명확하죠.
아이폰 공장이라도 가져와야 되는데 애플부터가 그런 생각이 없는데 말이죠.
     
토막 23-04-23 17:34
   
못하긴 뭘 못합니까.
마이크론은 이미 미국에서 만들고 있는데.

미국의 타겟은 TSMC가 하고 있는 파운드리이고.
파운드리를 미국에서 하는게 경제성이 없다는건 미국도 잘알고 있음.

그러니 지금 생산 10% 하는거 15-20% 정도까지만 올리는게 목표라고 하는거고.
그래서 반도체 공장에 보조금 지급한다는 말이 나오는거고.

낸드 디램 둘다 만드는 회사는 삼성 하이닉스 마이크론 딱 세군데임.
무슨 전환공사를 한다는 말입니까.?

미국이 파운드리를 하지 않은 이유는 딱하나. 돈이 안돼서.
높은 인건비 때문에 해봐야 돈이 안돼니 안하다가. TSMC가 점유율이 너무 높고.
TSMC에 문제가 생기면 반도체 생산에 너무 큰 차질이 생기니.

미국에서 쓸 최소한 만큼은 미국에서 생산하고.
나머지는 우방국 중심으로 분산 생산한다는거.
          
백두산신령 23-04-23 20:34
   
저는 반도체 FAB설계 및 시공 관련해서 싱가폴 공장 관련 미팅도 했는데요.

전환 공사가 뭔지 모르면 모른다고 하지 뭘 아는 척을 해요.

마이크론은 미국에 공장이 거의 없고 아시아에 있음..
마이크론 인력이 너무 부족해서 삼존과 하닉에서 인력 빼가려고 난리임..

아시아 지역 사장과 임원이 삼전 출신임.

마이크론 공장 설계 안함.
시공도 직접 안함..

오키??
               
토막 23-04-24 05:57
   
마이크론 미국에 공장 세군데 있고.
일본 엘피다를 인수 했기 때문에 일본에 공장있고.
싱가폴에도 있는것 뿐임.
싱가폴이 전부가 아니라.

더 중요한건 당신이 말하는 낸드 디램 전환은 현재 미국 칩스법과 별 상관이 없음.
문제가 되는건 공장없이 설계만 하는 회사들.
애플 쿼컴과 같은 회사들임.
이 회사가 낸드와 무슨 상관? 처음부터 만들지를 않는데.?
               
소문만복래 23-04-24 15:59
   
아니;; 님아;; 님이 알아봤자 얼마나 안다고;;
미국에다 백몇십조짜리 공장 짓고 거기서 보조금 받아 미국 반도체 생산라인 돌린다고 하는게 지금 주요 이슈인데, 뭔 소리ㅔ요;;
     
알짜지라 23-04-25 10:28
   
인텔 공장만 미국에 4곳인데...
slrkanfk022 23-04-23 18:53
   
그럼 최소한 한국한테는 특혜를 줘야지 미국흉아.
한국인은 그래도 은혜를 통수치지 않어.
JUH사봄 23-04-23 22:41
   
국뽕이 정신승리 하려다 개털렷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고점장 23-04-24 16:09
   
뭔 개소리를 하는건지 모르겠다.  칩스법의 진짜 저격 목표는 한국임이 만천하에 드러났구만.

윤 대통령 미국땅 밟기도 전에 ‘반도체 청구서’ 날린 백악관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8/0002637033?sid=104

"미국, 중국이 마이크론 제재 시 반도체 부족 한국이 메우지 말아야"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4/0001268304?sid=104
     
토막 23-04-24 16:28
   
무슨 헛소리임?
마이크론은 디램 점유율 3위로 25-28% 점유하고 있음.
그리고 앞으로도 이정도만 점유하면됨. 그럼 미국 쓸건 충분함.

미국말은 마이크론과 치킨게임 들어가지 말라는거고. 이건 삼성도 할 생각없음.
예전 디램 치킨게임할때 전세계 디램 회사 다죽여놓고 왜 마이크론은 살려 뒀을까?

삼성도 미국기업 죽여서 좋을거 없다는거 정도는 아주 잘 알고 있음.
 
 
Total 16,51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8513
9340 [기타경제] 일본 통계청 방일 외국인 통계 발표 (13) 보미왔니 11-20 3202
9339 [기타경제] 한국 조선, 고부가 선박 '독식'…"수익성 위주 수… (13) 스크레치 06-20 3201
9338 [기타경제] 한국, 세계 조선산업 다시 주도...현대중공업· 대우조선… (11) 스크레치 12-17 3201
9337 [기타경제] 한국 경제가 지금 안좋은거 맞죠? (21) 오늘하자 04-27 3201
9336 [잡담] 만약에 중국에 한국산 반도체 수출 금지 하면 중국의 타… (7) 돌아온장고 04-29 3201
9335 [잡담] 팩트체크는 확실히 합시다 (16) 폭군 03-22 3201
9334 [잡담] 칩스 법의 진짜 목표는 무엇인가? by 크리스 밀러 교수 (10) 강남토박이 04-23 3201
9333 '中국경절' 특수 후끈… 유커에게 'K-뷰티'… (4) 스크레치 10-06 3200
9332 [기타경제] 일본여행 안가니 '베트남'이 뜬다 (3) 스크레치 08-30 3200
9331 美 대선 D-1, 한국경제는?..트럼프 당선시 금융시장 '… (8) 스테판커리 11-07 3199
9330 삼성전자 올 투자 35조 새로운 길 간다 (4) 스크레치 07-27 3199
9329 [전기/전자] 대만도 ZTE 수출제재 동참?…미디어텍, 칩 수출 중단 (9) 스크레치 04-30 3199
9328 [전기/전자] 외신 "삼성, 5G 갤럭시S10에 스냅드래곤 대신 엑시노스 사… (4) 스크레치 11-21 3198
9327 [전기/전자] 특허로 돈버는 LG화학…'모방자' 중국에 기술우위… (17) 스크레치 03-13 3198
9326 [기타경제] 카타르 이어 러시아 LNG선 수주물량 싹쓸이...대우조선… (4) 스크레치 06-09 3198
9325 가계 실질소득 감소...2009년 금융위기 이후 처음 (2) 블루하와이 02-24 3197
9324 애플 '아이폰X' 공개 후 시총 50조 증발 (7) samanto.. 09-25 3197
9323 [기타경제] 10월 완공될 부산 유니클로도 직격탄···상인들 "공사 철… (8) 스크레치 07-31 3197
9322 [전기/전자] 세메스 2020년 영업이익 역대 최고 (2) 강남토박이 04-26 3197
9321 [기타경제] 서민들은 이제 죽었다 생각해야 할 듯... (5) Gottoknow 06-24 3197
9320 해외인재 영입했더니 1년에 열달 해외체류. (3) 스쿨즈건0 04-04 3196
9319 美 - 2세대 우주왕복선 드림 체이서 (Dream Chaser) (6) zone 08-30 3196
9318 美 스마트폰시장 점유율 순위 (2017년 4분기) (3) 스크레치 01-17 3196
9317 [전기/전자] 삼성전자 파운드리 올해 세계 2위 유력..'메모리 다음… (13) 번개머리 10-30 3196
9316 [전기/전자] 삼성SDI "배터리 1위는 우리" 7조 매출로 LG화학에 설욕 (3) 스크레치 11-07 3196
 <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