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1-07-07 10:09
[기타경제] 5월 경상수지 107.6억달러 흑자.. 13개월 연속 흑자행진
 글쓴이 : Architect
조회 : 3,342  

https://view.asiae.co.kr/article/2021070707482400107

<5월 경상수지 구성>

1. 상품수지: 수출 503.5억$ - 수입 439.8억$ = 63.7억$
2. 서비스수지: (5.6억$)
3. 본원소득수지: 54.9억$
4. 이전수지: (5.4억$)
---------------------
경상수지 107.6억$ (=12조 2000억원)


13개월 연속 흑자, 상반기 누적 경상수지 흑자도 350억$ 돌파, 연간으로 700억$(80조원) 넘길 수 있을 것으로 전망. 
다만 글로벌 델타변이 급속 확산은 리스크.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Architect 21-07-07 10:09
   
강남토박이 21-07-07 10:17
   
1~5월 경상수지 흑자액 40조원이니까 연간기준 100조원 가능할지도?

4월 외국인 배당도 털어냈으니

작년에는 하반기기준 100억 달러 이상이 3번 있었네요. 2번이 115억 달러 1번이 103억 달러 92억 달러 1번
     
Architect 21-07-07 10:35
   
5월 발표된 경상흑자 예측치가 연간으로 98조원 정도던데 이정도면 100조원은 충분히 찍지 않을까 싶습니다. 4월 배당시즌 방어한게 크죠.
     
킹크림슨 21-07-07 22:38
   
조금만 더 노력하면 100조 찍으리라 생각합니다!
Societe 21-07-07 10:51
   
상품수지보다 소득수지가 눈에 띄는군요. 우리도 이제 일본처럼 소득수지로 대규모 경상흑자를 낼 날이 멀지 않은것 같

습니다. 현재 우리나라 주력기업들의 해외 투자가 가속화 되고 있으니...앞으로 5~10년 뒤면 연간 2,000억 달러의 경상

수지가 나지 않을까 싶네요.
     
Architect 21-07-07 12:17
   
제 분석이 어디까지 정확할지는 모르겠지만, 실제로 2015년 사상 최대 경상수지 흑자 1060억달러 기록했을 때에도 본원소득수지 흑자의 기여분은 59억달러 수준으로 미미한 편이었습니다. 대부분(1023억달러)이 상품수지에서 얻은 이익이었고요. 이랬던 본원소득수지의 흑자폭이 2019년 122억달러, 2020년 120억달러, 올해 5월까지 93억달러로 최근 조금씩 개선되고 있는 것은 분명한 것 같습니다.
나무와바람 21-07-07 15:42
   
훈훈한 소식이네요 ^^
carlitos36 21-07-07 18:48
   
소득수지가 좋아지는 건 너무 좋네요.
보혜 21-07-08 07:51
   
코로나로 중산층 이하 서민 경제는 완전히 망했으니 수출로 벌어 들인 돈 만으로 앞으로 더 방대해질 복지 지출을 유지하면서 국가를 돌리려면 결국 플러스마이너스 제로일듯. 수출도 내수도 안되는 나라들은 지옥이 따로 없을텐데, 그보다는 나은 상황이려나요.
     
Architect 21-07-08 10:39
   
내수 박살난건 사실 전세계가 마찬가지인 상황이고, 특히 코로나 이전 빠른 속도로 커가던 신흥국들 일부는 돌이키기 힘든 수준의 피해를 입은 것 같기도 합니다. 아직 경제가 성숙해지기 전에 중산층이 전멸한 대공황급 충격을 겪은 상황이라.. 거기에 비해서 한국은 오히려 비대면 경제에 상대적으로 유리한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으니 불행중 다행인 상황이죠.
목수 21-07-08 10:04
   
아무리 용을 써도 경상수지 흑자가 일본에 비해 너무 낮네... 쩍발들이 우리나라에 빨대를 엄청 꽂아놓은듯
     
Architect 21-07-08 10:29
   
일본이 금융이 많이 발달해서 그럴 겁니다. 모건스탠리도 미쓰비시UFJ그룹 소유고 이곳저곳에 빨대 꼽아놓은게 많아요. 금융만 따지고 보면 한국의 금융그룹들에 비하면 아직 순이익 규모에서나 굴리는 돈에서나 다소 차이가 나죠. 2차대전 전부터 일본은 금융이 상당한 수준이었고 이런 측면에서 금융은 한국이 시작이 80년 이상 늦었던 터라 절반 규모라도 따라가면 그것도 사실 큰 성과라 봅니다.
          
목수 21-07-08 15:17
   
자세하고 성의있는 댓글 감사합니다 덕분에 배워가네요
     
할게없음 21-07-08 16:17
   
인구 규모가 다르죠 굴릴 수 있는 돈의 규모 차가 나게됩니다. 인구대비로 치면 걍 딱 인구차 정도임
대당 21-07-09 00:15
   
요즘 좋은 소식들이 많네요
 
 
Total 16,50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7885
9834 [금융] 금융의 지배, '앵글로색슨 자본주의'의 정체 (3) 케이비 12-12 3343
9833 도시바 인수전 과열…삼성전자는 꽃놀이패 (3) 스크레치 05-18 3342
9832 [전기/전자] 20조 먹어치울 LG전자 '용감한 형제들' (7) 스크레치 02-04 3342
9831 [기타경제] LPG선 이어 PC선…‘조선 코리아’ 부활 뱃고동 (4) 스크레치 03-14 3342
9830 [자동차] [단독]현대차 인도네시아 공장 4월 착공식…정의선 부회… (19) 스크레치 03-22 3342
9829 [잡담] 삼성 D램은 아직 기술력이 앞서있는 상황이죠? (7) aaddaa 03-31 3342
9828 포스코, 명품 자동차에 강판 공급해 영업익 ‘세계 1위’ (4) 스크레치 07-10 3341
9827 삼성전자 화성 7나노 반도체 신공장 진통끝 건설 승인 (6) 스크레치 12-09 3341
9826 [전기/전자] 韓에 손 내민 中화웨이 "백도어 없다..美제재로 성장 타… (12) 스크레치 04-13 3341
9825 중국서 밀수입 한국다이퍼 생리대 104품목 "판금·회수" (3) 스쿨즈건0 09-27 3340
9824 [잡담] 한국보다 앞서는 중국의 사회,산업분야는 무엇이 있나요 (18) 조지아나 07-06 3340
9823 [전기/전자] 中 CATL 전기차배터리 안전성 논란…韓 기술과 격차 확인 (12) 스크레치 08-26 3339
9822 [기타경제] 인도 2분기GDP -23.9% 역성장 '최악'…코로나19로 경… (5) 스크레치 09-29 3339
9821 [전기/전자] '폰 노이만' 한계도 깨부신 삼성, 메모리·시스템 … (3) 강남토박이 08-24 3339
9820 [기타경제] IMF, 한국 올해 물가상승률 4% 전망…아시아 선진국 8개국 … (4) 샤넬케이 04-24 3339
9819 LG전자, 퀄컴과 손잡고 자율주행차 키운다 (10) 스크레치 10-22 3338
9818 [기타경제] 美 관세부과에 대한 중국언론 반응 (12) 귀요미지훈 06-15 3338
9817 투자와 임금 '시장경제에 의해서 고임금 직업이 생길… (7) 오대영 11-08 3337
9816 삼성전자, “12조 시설 투자 차질 없다”… V낸드ㆍOLED 경… (4) 스크레치 11-29 3337
9815 日 OLED TV 재점화, 속으로 웃는 LG (7) 스크레치 05-16 3337
9814 사드 보복에 외국인 국내 소비 급감…GDP에 직격탄. (7) 스쿨즈건0 09-04 3337
9813 [기타경제] 주요 개발도상국 1인당 GDP 현황 (IMF 2018.4월 최신판) (16) 스크레치 04-18 3337
9812 [자동차] 獨서 인정받은 현대차…日 제치고 ‘씽씽’ (8) 스크레치 07-25 3337
9811 [자동차] 현대기아차 3개 모델, 북미 올해의 차 후보에 올라 (5) 귀요미지훈 01-03 3337
9810 [잡담] 귀요미의 쉬운경제 (15) - LNG선 수주하면 환율이 내려가? … (50) 귀요미지훈 06-24 3337
 <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