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04-18 20:13
[기타경제] 주요 개발도상국 1인당 GDP 현황 (IMF 2018.4월 최신판)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3,336  

[참고]



<2018년 주요 10개 선진국 1인당 국민소득 현황> (2018.4월 IMF 최신판) 


1. 미국 (6만 2152달러)
2. 호주 (5만 9655달러)
3. 독일 (5만 842달러) 
4. 캐나다 (4만 8466달러)
5. 프랑스 (4만 4934달러)
6. 영국 (4만 4177달러) 
7. 일본 (4만 849달러) 
8. 이탈리아 (3만 5914달러)
9. 대한민국 (3만 2775달러)
10. 스페인 (3만 2559달러) 



<2023년 주요 10개 선진국 1인당 국민소득 현황> (2018.4월 IMF 최신판)


1. 호주 (7만 2091달러)
2. 미국 (7만 1805달러) 
3. 독일 (6만 3728달러)
4. 캐나다 (6만 2610달러) 
5. 프랑스 (5만 3839달러)
6. 영국 (5만 1114달러) 
7. 일본 (4만 8036달러)
8. 이탈리아 (4만 2133달러) 
9. 대한민국 (4만 867달러) 
10. 스페인 (4만 822달러)  










<2018년 주요 개발도상국 1인당 국민소득 현황> (2018.4월 IMF 최신판) 




1. 리투아니아 (유럽) (1만 9534달러) 

2. 라트비아 (유럽) (1만 8472달러) 

3. 우루과이 (남미) (1만 8075달러) 

4. 헝가리 (유럽) (1만 6723달러)

5. 폴란드 (유럽) (1만 6180달러) 

6. 칠레 (남미) (1만 5087달러) 

-------------------------------- 주요 개발도상국 1만5천불 이상 

7. 크로아티아 (유럽) (1만 4788달러) 

8. 아르헨티나 (남미) (1만 4044달러) 

9. 몰디브 (아시아) (1만 3197달러) 

10. 루마니아 (유럽) (1만 2575달러)

11. 코스타리카 (북중미) (1만 2189달러)

12. 러시아 (유럽) (1만 1947달러)

13. 레바논 (아시아) (1만 1775달러) 

14. 말레이시아 (아시아) (1만 1237달러)

15. 터키 (유럽) (1만 1114달러)

16. 브라질 (남미) (1만 224달러)

17. 중국 (아시아) (1만 88달러)

18. 멕시코 (북중미) (9723달러)

19. 카자흐스탄 (아시아) (9709달러)

20. 불가리아 (유럽) (9227달러) 

21. 몬테네그로 (유럽) (8898달러)

22. 도미니카 공화국 (북중미) (7830달러)

23. 투르크메니스탄 (아시아) (7341달러)

24. 페루 (남미) (7199달러)

25. 태국 (아시아) (6992달러) (정말 태국은 지독한 중진국 함정의 소용돌이에서 벗어나지 못하네요)

26. 세르비아 (유럽) (6895달러)

27. 남아프리카 공화국 (아프리카) (6459달러) 

28. 벨라루스 (유럽) (6301달러)

29. 마케도니아 (유럽) (6295달러)

30. 에콰도르 (남미) (6263달러)

31.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유럽) (5806달러)

32. 이라크 (아시아) (5601달러)

33. 알바니아 (유럽) (5319달러)

34. 이란 (아시아) (5086달러)

35. 알제리 (아프리카) (4669달러)

36. 파라과이 (남미) (4578달러) 

37. 아제르바이잔 (유럽) (4576달러)

38. 코소보 (유럽) (4412달러)

39. 조지아 (유럽) (4370달러)

40. 인도네시아 (아시아) (4052달러)

41. 몽골 (아시아) (4029달러)

42. 아르메니아 (유럽) (4022달러) 

43. 튀지니 (아프리카) (3463달러)

44. 모로코 (아프리카) (3435달러)

45. 베네수엘라 (남미) (3168달러)

46. 필리핀 (아시아) (3095달러)

47. 온두라스 (북중미) (2851달러)

48. 우크라이나 (유럽) (2821달러)

49. 몰도바 (유럽) (2596달러) 

50. 베트남 (아시아) (2546달러) 

51. 인도 (아시아) (2135달러)

52. 나이지리아 (아프리카) (2108달러)

53. 방글라데시 (아시아) (1734달러)

54. 캄보디아 (아시아) (1499달러)

55. 우즈베키스탄 (아시아) (1238달러)

56. 키르기스스탄 (아시아) (1188달러)








[총평] : 5년뒤가 되면 주요 10개 선진국은 모두 국민소득이 4만달러를 넘어가면서 

완벽하게 전세계에서 이 10개 선진국들 체제가 확고하게 고착화가 되어갈듯한 모습입니다. 

10개 선진국들은 호주를 제외하곤 

압도적인 제조업을 바탕으로 안정적으로 꾸준하게 성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반면



개발도상국들도 점점 고착화가 되어가는듯한 모습이 특징으로 느껴집니다. 

그만큼 개발도상국에서의 탈출이 어려워지고 희박해져 간다는 생각이 들고 


과거 80~90년대처럼 개발도상국이 10%이상 초고속 성장을 하면서 선진국에 진입하고 했던 

마지막 모습조차 이제는 사라져가는듯한 모습에 좀 씁쓸하기도 합니다. 


작년 8500불 국민소득이 예상되던 베네수엘라는 나라가 거의 망하기 직전까지 내몰리며  

올해는 국민소득 3100불로 수직낙하를 했고 심지어 5년 뒤 예상에선 2100불까지 추락하면서 

최빈국 추락까지 걱정해야 하는 신세로 전락을 했구요 


작년 2200불 이상이었던 우즈베키스탄도 올해는 1200불대로 추락하면서 

최빈국 추락을 걱정해야 하는 신세로 내몰렸습니다. 


매년 4000불대에서 맴도는 인도네시아도 작년 예상보다 더 떨어진 4000불 극초반까지 떨어지면서 

성장동력은 점점 꺼져 가는 모양새고 


지독한 중진국 함정의 대명사 "태국" 또한 정말 수십년째 저 소득인것으로 착각할 정도로 5000~6000불 

사이를 맴도는 신세인데 태국의 특징은 보통 2만불 내외에서 중진국 함정에 많이 빠지는것과 달리 

태국은 5천불 내외에서 중진국 함정에 빠져 나라가 탈출을 못하고 있다는거 자체가 특징인듯합니다. 


동남아의 1억 인구 필리핀 또한 작년 예상보다 500불 가량 떨어진 3000불대 극초반까지 소득이 내려가면서

이제는 베트남이 친구먹자고 할 정도의 수준까지 떨어지고 있습니다. 

대통령이 정신 못차리고 친중 타령 하더니 나라는 하루가 다르게 무너지고 있네요 


그래도 베트남은 동남아가 전체적으로 침체된 이상황속에서도 지난 예상보다 올라서 이제 2500불을 

돌파 5년뒤엔 필리핀과 거의 비슷한 국민소득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네요 

베트남이 대한민국과 손잡은 것이 확실히 영향을 미치고 있는듯 



매년 개발도상국도 조금씩 성장은 하는듯하지만 

크게 순위가 바뀌지도 않고 오히려 국민소득이 후퇴한 나라들이 많은걸 봐서 

이 50~60개 정도의 개발도상국도 상당기간 계속 고착화 되어갈 듯한 느낌을 주는게 가장 큰 특징이네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Sulpen 18-04-18 23:45
   
원래 저렇게 그룹이 나뉜다는 관념에서 나온게 middle income trap이지요.

그런데 막상 한국, 대만을 비롯해서 선진국 그룹으로 도달하거나 혹은 높은 성장율로 합류할것처럼 예상되던 국가들이 많으면서 저 이론이 상당히 흔들렸지요. 동유럽도 일정부분 그렇고요.

그런데 의외로 환율문제때문인지 요즘와서는 다시 고착화되는군요. 선진국 그룹의 소득이 환율 바람을 따라서 저렇게 폭증할줄이야;; 강달러에서는 다 고만고만했는데 약달러 돌아서니까 달러기준 gdp가 천장을 뚫어버리는군요
     
스크레치 18-04-19 00:02
   
공감가는 내용입니다.
기가미 18-04-19 11:52
   
폴란드는 언제 저렇게 소득이 올랐데요 ㄷㄷ
기억에 8천불대에서 놀았었는데
하긴 크로아티아 처음 갔을때 2만불이었는데 지금은 한참 아래이고 유럽의 많은 국가들이 소득이 뛰었다 줄었다 하는것 같네요.
     
스크레치 18-04-19 17:22
   
폴란드는 몇년전에도 1만 2~3천불 사이였습니다.

크로아티아는 구 유고연방에서 독립한 이후 2만불대를 찍었던적은 없던것으로 압니다.

구 유고연방중에선 슬로베니아가 현재 2만5천불을 훌쩍 넘기고

27000불 정도 국민소득이라 선진국 하위권 정도까지는 진입이 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구 유고연방 중에서 슬로베니아와 함께 크로아티아가 그나마 상위권 개도국 정도 수준을 보여

주고 있긴 합니다.
백마 18-04-19 12:18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쾌남 18-04-19 14:30
   
매번 잘보고 배웁니다. 좋은자료 감사합니다.
에스프리 18-04-19 14:35
   
미녀의나라 베네수엘라가  ㄷㄷ
     
스크레치 18-04-19 17:23
   
미녀의 나라(?) 라고 불리는 나라들 상황이 요즘 많이 안좋네요

베네수엘라, 우크라이나, 우즈베키스탄 등등
영어탈피 18-04-19 22:55
   
와 베트남 2546달러 인데 호치민 아파트값이 3-4억원 하드만... ㅋㅋㅋ
외국인들이 들어가서 집값만 끌어 올렸나? ㅋㅋㅋㅋ
     
스크레치 18-04-20 01:56
   
최근 베트남 뜨겁죠

과거 2000년대 초반 중국을 연상시킵니다.

아무래도 삼성, LG등 대한민국 대기업들 최대 관심사가 이제 베트남일 뿐만 아니라

덩달아서 전세계 기업들도 함께 뛰어들고 있어서


앞으로 인도, 베트남이 대한민국 기업 + 대한민국 사람들에겐 최고 시장이 될듯 합니다.
몽키헌터 18-04-20 01:42
   
위 현황을 보니
한국이 선진국 막차 탔다는게 확실하네요. ㅎ
     
스크레치 18-04-20 01:55
   
몽키헌터님 말에 적극 공감합니다 ㅋ
잔잔한파도 18-04-20 05:53
   
아르헨티나에 살고 있지만 이 나라의 GDP가 1만 4천이나 되는 이유를 잘 모를 정도입니다. 디폴트를 2001년 2014년 두 번이나 선언하면서 그전부터 조짐이 보였던 문제들이 다 드러났죠. 가장 일반적인 음식인 아사도(소고기) 값이 몇 년 사이에 3배로 오르고 각종 세금이 무섭게 오르고 있는 중입니다. 어제 저녁에도 큰 도로변에서 시민들이 박수치거나 가로등을 두들기며 시위를 했었습니다.
밀양소녀 18-04-21 21:05
   
태국정보 오늘처음알았는데..완전 저주걸렸는지..아니면 산업자체가 벗어나지못하는구조인지  궁금합니다
멀리뛰기 21-01-02 13:57
   
[기타경제] 주요 개발도상국 1인당 GDP 현황 (IMF 2018.4월 최신판)  잘 보았습니다.
멀리뛰기 21-01-08 14:06
   
[기타경제] 주요 개발도상국 1인당 GDP 현황 (IMF 2018.4월 최신판) 잘 읽었어요~
 
 
Total 16,50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7856
9834 도시바 인수전 과열…삼성전자는 꽃놀이패 (3) 스크레치 05-18 3342
9833 [전기/전자] 20조 먹어치울 LG전자 '용감한 형제들' (7) 스크레치 02-04 3342
9832 [기타경제] LPG선 이어 PC선…‘조선 코리아’ 부활 뱃고동 (4) 스크레치 03-14 3342
9831 [자동차] [단독]현대차 인도네시아 공장 4월 착공식…정의선 부회… (19) 스크레치 03-22 3342
9830 [기타경제] 5월 경상수지 107.6억달러 흑자.. 13개월 연속 흑자행진 (15) Architect 07-07 3342
9829 포스코, 명품 자동차에 강판 공급해 영업익 ‘세계 1위’ (4) 스크레치 07-10 3341
9828 삼성전자 화성 7나노 반도체 신공장 진통끝 건설 승인 (6) 스크레치 12-09 3341
9827 [잡담] 삼성 D램은 아직 기술력이 앞서있는 상황이죠? (7) aaddaa 03-31 3341
9826 [전기/전자] 韓에 손 내민 中화웨이 "백도어 없다..美제재로 성장 타… (12) 스크레치 04-13 3341
9825 중국서 밀수입 한국다이퍼 생리대 104품목 "판금·회수" (3) 스쿨즈건0 09-27 3340
9824 [잡담] 한국보다 앞서는 중국의 사회,산업분야는 무엇이 있나요 (18) 조지아나 07-06 3340
9823 [기타경제] 인도 2분기GDP -23.9% 역성장 '최악'…코로나19로 경… (5) 스크레치 09-29 3339
9822 [전기/전자] '폰 노이만' 한계도 깨부신 삼성, 메모리·시스템 … (3) 강남토박이 08-24 3339
9821 [기타경제] IMF, 한국 올해 물가상승률 4% 전망…아시아 선진국 8개국 … (4) 샤넬케이 04-24 3339
9820 LG전자, 퀄컴과 손잡고 자율주행차 키운다 (10) 스크레치 10-22 3338
9819 [기타경제] 美 관세부과에 대한 중국언론 반응 (12) 귀요미지훈 06-15 3338
9818 [전기/전자] 中 CATL 전기차배터리 안전성 논란…韓 기술과 격차 확인 (12) 스크레치 08-26 3338
9817 삼성전자, “12조 시설 투자 차질 없다”… V낸드ㆍOLED 경… (4) 스크레치 11-29 3337
9816 日 OLED TV 재점화, 속으로 웃는 LG (7) 스크레치 05-16 3337
9815 사드 보복에 외국인 국내 소비 급감…GDP에 직격탄. (7) 스쿨즈건0 09-04 3337
9814 [기타경제] 주요 개발도상국 1인당 GDP 현황 (IMF 2018.4월 최신판) (16) 스크레치 04-18 3337
9813 [자동차] 獨서 인정받은 현대차…日 제치고 ‘씽씽’ (8) 스크레치 07-25 3337
9812 [자동차] 현대기아차 3개 모델, 북미 올해의 차 후보에 올라 (5) 귀요미지훈 01-03 3337
9811 [잡담] 귀요미의 쉬운경제 (15) - LNG선 수주하면 환율이 내려가? … (50) 귀요미지훈 06-24 3337
9810 [전기/전자] 세계 TV시장 점유율순위 (2020년 3분기) (9) 스크레치 10-09 3337
 <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