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1-11-09 13:09
[전기/전자] 친환경이라던 태양광, "오히려 환경 오염"
 글쓴이 : 사랑하며
조회 : 1,475  


탄소중립이 친환경이라는 홍보는 환상에 불과하다는 사실이 새만금 태양광에서도 드러났습니다.

탄소중립과 탈원전을 선언한 현 정부가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사업이 신재생 에너지, 그중에서도 태양광 사업입니다.
새만금 역시 이런 취지에 맞게 해상과 육상에 대규모 태양광 패널이 설치되고 있는데요.
그런데 기자가 현장을 직접 가봤더니 친환경과는 거리가 먼 여러 문제점이 노출됐습니다.


【 기자 】
여의도의 26배에 달하는 새만금 호에 태양광 패널들이 떠있습니다.

아직은 시범 사업에 불과하지만 2025년이 되면, 새만금호의 7%에 달하는 수면 위에 2,100MW급 대규모 패널들이 설치될 예정입니다.

200만 명 규모의 도시 하나를 1년 동안 책임질 수 있는 전력입니다.

▶ 스탠딩 : 조동욱 / 기자
- "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 이 시설의 2,100만 배에 달하는 태양광 패널이 새만금에 설치됩니다."

한화솔루션 컨소시엄이 300MW급 패널 설치를 우선 수주했는데, 문제는이 업체가 패널을 띄우는 부력체로 고려하는 재질이 FRP, 일종의 섬유강화플라스틱입니다.

환경단체들은 이 FRP로 부력체를 만들면 재질 특성상 미세플라스틱이 배출돼 환경오염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합니다.

▶ 인터뷰(☎) : 김재병 / 전북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부식될 수밖에 없고요. 16만 8천 톤 정도의 규모가 부식돼서 발생하는 미세플라스틱은 새만금호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을 것으로…."

새만금개발청은 미세플라스틱의 배출 가능성을 알고 있었지만, 지침상 문제가 없다는 입장입니다.

▶ 인터뷰 : 새만금개발청 관계자
- "법령상에 (FRP로) 할 수 있다고 되어 있는 거를 못한다고 할 수도 없는 상황이잖아요. 모든 플라스틱은 미세플라스틱이 나오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들어요."

이번엔 새만금 육상 태양광 시설로 가봤습니다.

300MW급 태양광 패널이 설치되는 시설인데, 여기저기에 회색 제강슬래그가 보입니다.

▶ 스탠딩 : 조동욱 / 기자
- "새만금 육상태양광 건설 현장엔 아직도 이렇게 제강슬래그가 깔려 있습니다. 모두 중금속 성분이 포함된 산업폐기물입니다."

새만금개발청은 이 자재들 역시 환경표지인증을 받은 소재로 법령상 문제가 없는 재질이라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20년간 토양 수질과 맞닿아 사용되는 만큼, 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선택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 인터뷰 : 윤준병 / 더불어민주당 의원
- "50만 톤에 가까운 제강슬래그가 20년간 장기간 쌓여져 토양과 맞닿았을 땐 중금속 오염이 진행될 가능성이 높은…."

친환경 태양광 에너지를 기치로 내걸었던 새만금 사업.

20년 가까이 진행되는 사업인 만큼, 장기적인 관점에서 환경오염적 요인은 없는지 꼼꼼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사랑하며 21-11-09 13:09
   
과부 21-11-09 19:52
   
태양광이 친환경적이라는 생각은 과연 어디에서 시작되었을까?
mb때 난리치다가 문제점 나와서 거의 사멸되고 있던 태양광이 갑자기 왜 튀어 나왔을까?
그넘의 반원전 외치면서 대안으로 다시 나왔던거 같은데 이런 문제점을 알고 있는 환경부와 시민단체는 왜 입을 꾹 닫고 있었던걸까?
우리나라 태양광 열풍으로 다 죽어가던 중국 태양광 패널 제조공장들이 기사회생했다는데 왜 중국산으로 고집했을까?
     
과부 21-11-09 19:57
   
새만금도 새만금이지만 시골 야산과 논밭을 휩쓸고 있는 저 태양광 패널을 나중에 누가 어찌 처리할꼬.
그것도 생각 안하고 사업하고 임대주지는 않았을듯 싶은데 임대주신 분들은 나중에 임대기간 끝나고 설치한 사업자가 계약대로 철거해 주면 좋겠지만 만약 폐업하고 나 몰라라하면 그 철거비용이 그동안 받은 임대료보다 많을수도 있는데 그걸 어찌할꼬.
     
둥둥섬 21-11-10 02:59
   
태양광이 친환경적이지 않으면 뭐가 친환경적인가요? 반대로 말해서 태양광보다 친환경적인 에너지 생산방법이 대체 뭔지 되묻고싶네요. 아직도 전세계 대부분이 석탄과 석유를 태워 발전하고 있는 판에, 태양광정도면 매우 친환경적인 발전방식이며, 현재 전세계에서 사용하고있는 에너지의 10%만 태양광으로 바뀌어도 환경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변화가 있을것입니다.
님이 말씀하시는 환경부와 시민단체가 알고있는 "이런 문제점"이란 고작 기사에서 나온 내용을 말하는 건가요? 과연, 기사에서 나오는 저 사람들마저도 저 발전방식보다 더 나은발전방식이 뭔가에 대해 쉽사리 말할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그건 차치하고, 기사에서 나온 FRP소재는 실제로 부식에 매우 강하게 설계된 신소재로서, 오히려 타 소재에 비해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이라고 평가받고 있습니다(https://m.newspim.com/news/view/20210524000006). 또한 기사말미에 나온 제강슬래그 역시 아무런 근거가 없는 뇌피셜입니다. 환경부에서 재강슬래그는 환경적으로 무해하다는 입장을 발표했고(https://m.blog.naver.com/smgcstory/222551409329) 이를 반박하기 위해선 먼저 전문가집단인 환경부부터 설득해야겠군요.
그리고 우리나라가 중국 태양광 패널 회사들을 무려 기사회생시킬정도로 큰 태양광 패널 시장을 갖고있었군요. 물론 저 기사에 나온 새만금도 중국산 패널을 써야겠는데... 한화솔루션이라고 하네요. 어떻게 된일이죠..
          
차분 21-11-10 13:39
   
Ess확보에 필요한 2차 전지는 비용도 비용이지만
그자체가 확학폐기물이라 환경오염 재앙 물질임.
친환경은 개뿔~ 혹세무민 정귄이여.
               
둥둥섬 21-11-10 16:13
   
아 그래서 태양광 + ESS보다 친환경적인게 뭐에요~?? 재활용도 폐기도 못하고 수백년간 쌓아두기만해야되는 고준위방사성핵폐기물을 생산하는 원전이 친환경적입니까, 고농도 이산화탄소를 내뿜는 석탄과 석유가 친환경적입니까?
ESS와 태양광에서 ESS는 적어도 재활용이 가능하고 환경피해를 최소화하거나 완전히 친환경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거나 개발되고 있는 와중이며 태양광 패널 역시 전세계 대부분에서 쓰이고있는 태양광패널은 단결정 실리콘패널로 반도체에도 들어가는 모래를 주성분으로 만든 실리콘으로 만들어 중금속은 극소량의 납말고는 없다고봐야하는데다 그 납 마저도 환경기준치의 한참 아래수준의 극소량인데다 그마저도 재활용이 가능한데, 이것보다 고준위성방사선핵폐기물이 더 친환경적이라는 근거는 대체 뭐에요?
또한 원전 붕괴 등의 리스크도 고려하면 사실상 도시전체를 수백년간 황폐화시킬수있는 리스크를 가진 원전이 친환경적이라고 생각하는 이유는 뭐죠?? 바로 옆나라 일본이 그걸로 수십년간 고생하고있는걸 알면서도 자꾸 원전을 들이미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그것도 그 이유가 "비용적 측면"이 아니라 "친환경"인건 도저히 이해가안되네요
그렇게 친환경적이면 원전바로앞에 집짓고사시면 좋겠네요 아주 자연과 어우러지는 친환경 그린하우스 아니겠습니까?
둥둥섬 21-11-10 03:06
   
하루에도 수백 수천톤의 플라스틱을 배출하고 땅에 묻는나라에서 태양광 띄우겠다고 플라스틱 조금 쓰는거가지고 호들갑 오지게떠네요. 저런 환경단체는 마치 자신을 만족시키기 위해선 더 높은 기준을 제시해야만 하니, 난 그정도로 환경을 많이 생각하는 사람이란걸 스스로 증명하고 싶어 안달난 사람들차럼 보이는군요. 아니면 친환경이려면 모든 과정에서 완전히 순수하게 친환경이어야한다는 이상한 편집증을 갖고있는 정신병자들이거나요. 이 사람들의 말미엔 자신도 산소를 갉아먹는 환경파괴범들이란걸 스스로 깨닫고 삶을 마감하는 길밖엔 없을거같네요. 안타깝게도 우리 사회는 저런 강박적인 편집증 환자들의 욕구를 채워줄 수 있을정도로 여유롭지가 않습니다. 당장 몇푼 경제적이지 않다고 원전 세워야 한다는사람이 줄서있는판에, 그리고 지금 이순간에도 지구의 온도가 올라가고 있는 급박한 상황에, 조금의 친환경을 포기하고서라도 값싼 재료를 써 최대한 효율적으로 최대한 빠르고 강하게 친환경정책을 추진헤야합니다.
     
차분 21-11-10 13:40
   
탈원전 국제적 ㅂㅅ짓거리...
베충제거반 21-11-10 21:20
   
태양광 실제 중금속은 핸드폰에 있는 양보다 작아요... ㅡ,ㅡ;;;

기사 검색하면 나와요...

석탄 핵발전이 ㅋㅋ 이러다 친환경이라고 말하겠냉
 
 
Total 2,356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731 [주식] 앞당겨진 '긴축 시계'…"달러 강세 피난처는 반도… (2) 사랑하며 11-22 2500
1730 [전기/전자] EUV가 뭐길래..미중 반도체 패권전쟁 격화에 유탄 맞은 SK… (14) 사랑하며 11-20 5186
1729 [전기/전자] 삼성전자 반도체 위엄 ㄷㄷㄷ (3) 강남토박이 11-19 7294
1728 [전기/전자] "SK하이닉스 中공장 개량, 美반대로 무산 가능성" 외신 (7) 사랑하며 11-18 3030
1727 [전기/전자] 퀄컴 "삼성·BMW와 함께 간다" (3) 사랑하며 11-18 2444
1726 [부동산] 용인 반도체클러스터 부지 불법 땅투기 43명 적발 (2) 키륵키륵 11-17 1700
1725 [전기/전자] 영국, '엔비디아 ARM 인수' 국가안보 차원에서 조… 키륵키륵 11-17 2934
1724 [재테크] "NFT 못 샀다고 배 아파 마세요"…전문가 "'이 종목'… (3) 사랑하며 11-16 2337
1723 [전기/전자] "중국서 반도체 만들지 마"…인텔 혼나자 걱정 커진 삼성 (15) 사랑하며 11-15 4925
1722 [기타경제] 갈수록 커지는 차이나 리스크 (2) 사랑하며 11-15 2874
1721 [기타경제] "중국만 믿다가는 경제 올스톱"…'요소수 대란'이… (3) 사랑하며 11-15 2125
1720 [기타경제] 미래 예상: GE 에너지와 도시바 인프라 합병 예상 이름없는자 11-14 1609
1719 [전기/전자] 삼성전자 시스템 반도체 매출 폭발적 증가 (11) 축신 11-13 4803
1718 [주식] 인플레이션 우려 직격탄, 삼성전자 장중 7만원선 또 붕괴 (3) 사랑하며 11-11 1105
1717 [과학/기술] 파운드리까지 촉각 AMD-삼성 협업 유력시 (4) 강남토박이 11-10 2250
1716 [기타경제] 일본이 수출 규제한 포토레지스트 국산화 성공 (6) BTJIMIN 11-09 4557
1715 [전기/전자] 친환경이라던 태양광, "오히려 환경 오염" (9) 사랑하며 11-09 1476
1714 [전기/전자] 중국 배만 불리는 탄소중립...새만금 모듈 중국산이 국산… (12) 사랑하며 11-09 1718
1713 [전기/전자] 삼성전자vs인텔vsTSMC 3분기 실적 비교 (6) 강남토박이 11-07 4513
1712 [과학/기술] 인텔 CEO “韓·대만 반도체 의존하는 美 방식 불안...직접… (11) 사랑하며 11-07 4931
1711 [전기/전자] 반도체 정보 미 제출…업계 "최소 수준에서 제출할 듯" (1) 사랑하며 11-07 1770
1710 [기타경제] "中 흔들리는 지금…해외 나간 한국 공장 데려올 최적… (34) 스쿨즈건0 11-06 7404
1709 [전기/전자] 삼성의 240조 투자 전략과 대만의 대응 (12) 사랑하며 11-05 5755
1708 [기타경제] 요소수.. 어째서 중국에의존하게 되었나? 그 원인분석 (24) 폭커 11-05 4417
1707 [전기/전자] 반도체기밀 美에 어디까지 줘야하나..삼성·SK, 데드… (9) 스쿨즈건0 11-05 2214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