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0-11-17 14:34
[기타경제] 중진국 함정에 빠진 국가들의 사례를 보면, 빈부격차가 세계최고 수준이라는 공통점이 있더군요.
 글쓴이 : 빛둥
조회 : 2,593  

스크래치님이 정리해 주시는,

중진국 함정에 빠진 국가 목록을 보면,

태국, 아르헨티나, 브라질, 말레이시아, 카자흐스탄, 멕시코.

현재까지 이 나라들의 리스트를 본 후, 오늘 태국에 대한 나무위키 설명을 보다가 아래 그림을 발견하고서,

강한 공통점을 느꼈기에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World_Bank_income_equality.jpg

2005년부터 2009년까지 구할 수 있는 가장 최신의 자료로 각국의 지니계수와 상위20% 수입계층과 하위20% 계층을 비교한 표입니다.

이 표에서, 앞서 말한 여러 중진국 함정에 빠진 국가들을 찾을 수 있습니다.

태국 2위, 브라질 3위, 멕시코 4위, 아르헨티나 6위. 나머지 2나라는 말레이시아와 카자흐스탄인데,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income_equality

영문위키의 Gini index 국가별 표를 보면, 말레이시아는 2009년 46.2를 기록해서, 앞의 표에서 빠졌을 뿐, 태국, 브라질, 멕시코, 아르헨티나와 차이가 없습니다.

다만 카자흐스탄은 28.9(2011년)에 불과한 것을 보니, 자원개발의 이익을 (민간에 풀면서 빈부격차를 만들지 않고) 주로 국가가 거두어 들여서 세금대용으로 쓰고 있는 것 같습니다.


자본주의의 속성상, 경제개발 초기에 일부 계층의 소득과 재산이 늘어나니, 빈부격차가 큰 것은 어쩔 수 없는 측면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 상태가 계속되면, 중간층과 그 이하 계층은 국내 제조업 기업의 소비계층이 되지 못하고, (부자들의 삶에 의해 자극받은 가난한 계층 청년들의 일탈에 의해) 치안은 나빠지기만 하며, 공교육을 통해 산업계가 필요로 하는 인력배출능력은 저하됩니다.

이런 현상을 극복하려면, '민주화'를 통해 '표의 힘'으로 빈부격차를 완화(구체적 방법으로는 기초교육 대규모 보급, 중등교육과 고급교육 수준 높이기, 치안개선, 의료보험과 연금제도 수립, 소득/재산 누진세로 사회개선을 위한 투자재원 마련 등)시키는 정부가 들어서고 (가끔 정권교체는 있더라도) 계속되어야 합니다.

결국 중진국 함정이란 것은, 이러한 필연적 단계를 못 넘어가는 국가들의 겉보기 현상이라고 생각됩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크레치 20-11-17 16:39
   
잘보고 갑니다.

좋은 분석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유기화학 21-04-03 04:59
   
22
아무 20-11-17 23:49
   
많은 요소, 결국은 운도 맞아야 합니다.

한국은 경제 발전과 함께 대내적으로는 민주화된 정치체제를 가지면서 상대적으로 자본이 견제를 받고 사회적 투명성을 넢이루수 있었던 것이 컸구요

대외적으로는 중국이라는 거대 시장 출현으로 인해 외환위기로 털린 자본을 회수하고 종잣돈 마련한 게 컸다고 봅니다.

그 와중에도 몇번 사회간접자본이나 공기업의 민영화 시도나 사회 안전보장 체계인 의료보험의 민영화 등이 시도 되었으나 다행히 막아 내었구요.

민주화를 통한 투명성 향상은 경제가 발전할 수록 더 중요해집니다. 이게 담보되지 않으면 우리 같은 수출 지향 국가는 한순간에 빈부격차 벌어지면서 나락으로 굴러갈 수 있어요.
     
유기화학 21-04-03 05:00
   
알아갑니다
그루트 20-11-18 07:35
   
잘 봤습니다. 결국은 양극화의 문제같네요.
     
유기화학 21-04-03 05:00
   
22
유안 20-11-18 09:26
   
중진국 함정에 빠진 나라의 공통점이 있죠
남미 정치체제 불안
중국 독재
인도 카스트제도
아프리카및 중동 이슬람정교일체

민주사회의 투명성이 쌓이지 않으면 뚫지못할 한계가 생깁니다.
그래서 저나라들은 마약,군정,독재,이슬람정교일체등으로
중간에 선진국으로 올라가지못한 장벽을 스스로 만들어서 방법이 없습니다.
미드 나르코스에 보면 경찰이 마약상이 되거나 인재들이 마약상에 고용되는게
돈을 더 많이 벌수있으니 인재들은 자국에서 나아갈 방법이 없으니 해외로 유출이되죠.
     
유기화학 21-04-03 05:00
   
222
carlitos36 20-11-18 09:50
   
빈부격차, 민주화 , 양극화 이런것은 경제발전보다 더 어려움
     
유기화학 21-04-03 05:00
   
끄덕끄덕
테이로 20-11-18 11:18
   
뭐든 중공과 엮이면 좋지 못하죠
     
유기화학 21-04-03 05:00
   
222
스카이캐슬 20-11-18 11:56
   
중진국 함정은
결국 산업의 성공/실패 그리고 천연자원 여부에 갈림
님이 언급한 국가들은 원래 식민지 또는 졸라 못살던 국가임;
산업없이 유일하게 잘사는 국가는 호주(천연자원) 또는 두바이 같은 석유 아랍국가
     
유기화학 21-04-03 05:00
   
22
킹크림슨 20-11-20 22:47
   
학자들이 연구해볼만한 가치가 있는 주제라 생각합니다.

의미있는 분석인듯 보입니다.
     
유기화학 21-04-03 05:00
   
222
iamafool 20-11-28 06:49
   
깨어있는 시민의식으로 요구되는 제도의 정비
     
유기화학 21-04-03 05:00
   
22
 
 
Total 16,52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368
10473 [전기/전자] SKT,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5G망 구축…'초고화질 CCTV통… (1) 유랑선비 11-19 2814
10472 [전기/전자] 카이스트-삼성전자, '반도체 핀펫 기술' 소송 4년… (13) 흩어진낙엽 11-19 4229
10471 [전기/전자] 中BOE 아이폰 OLED 패널 공급 무산...하반기 승인도 탈락 (19) 스크레치 11-19 4614
10470 [기타경제] 韓 조선 빅3 선박수주 낭보 잇따라…내년 본격 ‘청신호… (12) 스크레치 11-19 3339
10469 [자동차] 유럽도 기아차가 끌고간다, 현대·기아차 유럽 시장 점유… (5) 스크레치 11-19 2323
10468 [기타경제] GS이니마, 2.3조원 규모 해수담수화 사업 수주 성공 (2) 스크레치 11-19 1993
10467 [주식] 금일의 계좌수익률 (4) 지팡이천사 11-19 1417
10466 [전기/전자] 中 삼성전자 추격 불가능할 수도 (5) 스크레치 11-19 5323
10465 [전기/전자] [기사]삼성·LG전자가 미니 LED 시장에 뛰어든 이유는 (6) 없습니다 11-19 2946
10464 [기타경제] "韓 노조 때문에 中 갈수도" GM 경고, 엄포 아니다. (58) 스쿨즈건0 11-19 3997
10463 [자동차] 日렉서스 도요타 사라졌다..수입차 시장에 무슨 일이? (21) 스크레치 11-18 5189
10462 [기타경제] 니쥬가 꿈꾸는 세계재패, 폭망하는 일본경제와 닮았다. (53) 세월의소리 11-18 4893
10461 [자동차] 日 전기차의 추락…도요타·닛산 올들어 '글로벌 톱10… (35) 스크레치 11-18 5185
10460 [기타경제] 중진국 함정에 빠진국가 현황 (7. 터키) (IMF) (36) 스크레치 11-18 2976
10459 [전기/전자] 삼성전자, 美오스틴에 EUV전용 시스템LSI 생산능력 70K 신… (12) 흩어진낙엽 11-18 2666
10458 [전기/전자] 中 칭화유니 부도 위기 (24) 스크레치 11-18 5031
10457 [전기/전자] 삼성전자, 2022년 3나노 양산 첫 공식화…TSMC에 맞불 (13) 워해머 11-18 3576
10456 [전기/전자] 오포 롤러블폰 공개 'OPPO X 2021' (37) 카카로니 11-18 3851
10455 [전기/전자] 中화웨이 삼성과 경쟁포기 (48) 스크레치 11-17 8676
10454 [주식] 금일의 계좌 수익률 (4) 지팡이천사 11-17 2565
10453 [기타경제] 중진국 함정에 빠진 국가들의 사례를 보면, 빈부격차가 … (18) 빛둥 11-17 2594
10452 [기타경제] 아시아 양대선진국 韓日 최저임금 현황 (11.16 기준) (7) 스크레치 11-16 7131
10451 [잡담] 마이크론 현실.. (19) 고고싱 11-16 7540
10450 [전기/전자] 中 전문가 삼성 엑시노스 2100 성능 스냅드래곤 875 앞서 (22) 스크레치 11-16 7109
10449 [전기/전자] 넥스틴 "검사장비 국산화 나선다" (6) 스크레치 11-16 3271
 <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