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3-06-27 13:11
[잡담] 9월 위기설 나오네.
 글쓴이 : 땡말벌11
조회 : 3,544  

유가도 빠지고 
무역적자에 경상수지 적자도 조금씩 있고
고용불안에 물가상승
가계부채 증가와 파산율 증가
엥겔지수 상승으로 인한 내수경제 박살
환율 불안도 있고, 
최근 대형 금융주에 외국인이 빠지는 것과 은행채 금리 상승을 보면
금융쪽도 연체미달율 상승과 단기채권 문제가 심각해지는 듯.

국제에너지가격은 하락하는데 전기,가스비는 내릴 생각도 안하고

9월 위기설도 납득은 됩니다.
스압을 2017년에 많이 해놓긴 했지만...........이상태라면 IMF까지는 아니더라도
2008년 9월처럼 코스피 폭락 정도는 올 것 같지 않나요?

유가가 빠지는 와중에 코스피가 오르는 것도 상당히 거품적 성향도 있고......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마르티넬리 23-06-27 17:50
   
일단 회사채 3년물금리, CD(91일), 국고채금리(1년)에는 아무 변동 없고

1.가계부채는 안 증가한 적이 없다.
2. 엥겔지수가 뭔지 모르고 쓰는거 같은데 지금 기준 약 12~13% 정도. 1%p 정도 변동이 있었으나 이걸로 내수경제 박살 운운할 급이 아님
3. 은행채금리는 은행채발행이 많아져서인데 이유는 LCR규제완화가 원상복구
     
땡말벌11 23-06-28 08:58
   
콜금리 1년만에 3배가 올랐는데요..........변동없다뇨.
국고채금리(3년)도 1년만에 고점찍고 조금 내렸지만 2배가량 올랐습니다.
엥겔지수 10%이상 오르면 사실상 지출감소로 내수경제가 안좋아지고 연체율 높아져서
금융도 어려워져요. 은행채 금리가 오르는 것은 은행채를 많이 발행했기도 했지만
수요가 감소했다고 보는 쪽이 더 맞죠. 이미 은행채로 다른 종목 채권들 금리인상으로
기업들 부담감이 엄청 커졌는데 이와중에 은행채 금리까지 오른다는 건 더 심각한 겁니다.
LCR규제 대응을 한다는 것은 이미 은행차원에서 경제부분에 위기를 대비한다고 생각하셔야죠. 이걸 강제로 완화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봅니다.
          
마르티넬리 23-06-28 12:19
   
그냥 어디서 들은거 막 적는거 같은데

1. 콜금리는 익일물거래되는 초단기시장임. 기준금리가 오르면 콜금리도 오름.
2. 국고채금리 등 1년전과 비교하는게 아니라 현재 국채금리나 금리선도, 변동성등을 봐야 하는데 당연히 기준금리가 오르니 국고채, 회사채 다 오르는거임.
3. 엥겔지수 10%오르지도 않았고 1%p 포인트 오른거임. 굳이 따지면 11%대에서 12~13%로 올랐으니 산술적으로는 10%이상인데 1%p로는 가계경제에 영향 없으니 오바하지 마라
4. LCR규제 대응 어쩌고 하기 전에 바젤1,2,3 공부하고 바젤3에서 유동성리스크관리를 위해 LCR이 뭔지 꼭 찾아보고 코로나 때 한시적으로 LCR 100% 밑으로 허용했다가 다시 규정대로 간다고 하는거 뿐임.
               
황제폐화 23-07-04 17:24
   
아주 박살을 내버리시는군요.
뇌피셜은 그냥 일기장에 쓰면 되는데 굳이 경제게시판에 끌고 오는건 어그로겠죠?
               
땡말벌11 23-07-06 13:49
   
이미 코로나때 바젤3 지키는 금융사가 있었나요? 금융리스크가 잠재되어 있는데
그리고 엥겔지수 상승폭이 주요국보다 높아서 12%가 넘은것도 2021년 기준이고
2022년 2023년은 제대로 나온게 없지 않나요?
애초에 2021년에 11%에 육박했던 것도 코로나때문이었는데 코로나 종식된 현 상황에서는
물가가 더 올랐는데 2년전 자료가지고 1% 올랐다고 하는 것도 웃기죠.
그 1%도 주요국 중에서 높은 축이었는데요.
2022년 2023년 사이에 물가만 알려진 것만으로 5% 올랐는데요. 문제가 없다니요.
이런 상황에서 LCR규제 대응을 한다는 것이 경제가 좋아져서 원점 복귀한다고 보시는지.......애초에 물가가 오르는데 금리 인상에 제약이 걸리니깐 다른방향으로 현금 유동성 둔화 및 금융권 강화을 목적으로 하는 것 같은데요.
노을아래빛 23-06-27 18:31
   
이런거 따지면 일본은 벌써 망해야하고
미국도 이번에 파산했어야 (일반화 위기론으로 따지면요)

그냥 돈없고 직장 짤리고 몇개 회사 망하는 서민들이나 위험한거죠
내집있고 지금도 돈 잘벌고 하는분들은

위기가 아니라 기회입니다. (주식 부동산) 다 싸졌으니까

어디쪽에 계십니까?  내 위치를 보고 판단해야
     
땡말벌11 23-06-28 08:59
   
미국, 일본은 기축통화 및 준 기축통화국이죠. 한국이랑 화폐가치가 다릅니다.
커피나땅콩 23-06-27 19:11
   
8월부터 안좋아질거라고 그랬는데  우선 7월과 8월중 연방에서 한번 올린다고 했었음.
그런데 우리나라 투기세력은 올해는 금리 올릴 가능성이 없다고 씨부림.
하여튼 투기꾼들  연방의장이 미국 인플레 2%까지 안되면 올해 두번 올린다잖음.
 
 
Total 16,52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904
10504 [기타경제] 깎아준다던 종부세 다시 인상..1주택자 세폭탄 맞나 (3) NIMI 07-23 3544
10503 [과학/기술] 미국, 갤럭시 S10 시리즈 사전 주문 역대 최대 수량 (10) 스포메니아 03-10 3542
10502 [기타경제] 싱가포르 지도 바꾼 현대건설의 대역사 (13) 스크레치 09-14 3541
10501 [전기/전자] 美 "화웨이에 핵심 통신부품 수출금지 추진" (9) 스크레치 03-18 3541
10500 [잡담] 신라와 이란(이슬람) 고대사의 접점 ( ft. 이란의 건국역… (3) 조지아나 01-01 3541
10499 이마트 "중국서 완전철수" 연내 매각 또는 폐점 추진. (3) 스쿨즈건0 04-24 3540
10498 [기타경제] 한화그룹, 플라잉카 기업 ‘오버에어’ 인수 (2) 굿잡스 04-18 3540
10497 연대보증 폐지 3년...현실에서는 여전히 '보증서 필수… (4) 블루하와이 05-15 3538
10496 '시계 0 한국 정치' 내년 경제에도 직격탄 (4) 블루하와이 11-30 3538
10495 韓日 대표제품 상대국서 서로 히트 "화장품 vs 애니·맥주 (4) 스쿨즈건0 07-18 3538
10494 [자동차] 올들어 전기차 수출 2배 ↑ (9) 귀요미지훈 11-11 3538
10493 [기타경제] 말레이시아도 K라면 돌풍..신세계 덕에 팔팔 끓는다 (3) 스크레치 07-20 3538
10492 [전기/전자] [단독]LG전자 가전무덤 日서 기술 깃발 꽂았다…10년 공략… (2) 스크레치 08-05 3538
10491 감사원 "외국계 담배회사, 담뱃세 인상으로 2천억원 탈세 (3) 친일타파 09-22 3537
10490 [전기/전자] 비메모리 반도체 키우는 삼성···글로벌 M&A 앞당겨지나 (6) 스크레치 03-09 3537
10489 [잡담] 아래 대만 ASUS가 삼성파운드리 수율 드립하는 이유 (8) 포케불프 03-29 3537
10488 [기타경제] 현대중공업, 쉘 LNG선 8척 사실상 수주 (13) 귀요미지훈 10-24 3536
10487 [과학/기술] 한화솔루션 OLED 日 의존도 끌어 내린다…핵심 기술 국산… (3) 스크레치 07-30 3536
10486 [전기/전자] 美 상무부 TSMC 조사 실시…화웨이 제재 영향 (8) 스크레치 06-04 3535
10485 [과학/기술] '다급한 아베의 두 얼굴' (5) 부엉이Z 03-15 3535
10484 [전기/전자] 삼성 256단까지 쌓는다.. "新 낸드에 '더블스택' 기… (8) 스크레치 12-01 3535
10483 [기타경제] 외환위기 이후 25년 만에 현실화 우려..한국 경제 '초… (2) NIMI 08-28 3535
10482 "중국인 떠난자리 동남아·중동 관광객이 채웠다" (6) 스쿨즈건0 06-07 3534
10481 [전기/전자] 삼성전자 작년 영업익 6.5조…15년 만에 최저 (7) VㅏJㅏZㅣ 01-10 3534
10480 '메모리 반도체 지배자' 삼성전자, D램 점유율 45.1 (3) 스크레치 09-02 3533
 <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