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3-12-24 18:19
[기타경제] 지금 한국 경제는 야근으로 버티는 겁니다 (해담경제연구소 어예진 소장)
 글쓴이 : 흩어진낙엽
조회 : 2,350  
   https://www.youtube.com/watch?v=UeoSqMKhWe0 [69]

.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좌빨척결 23-12-25 05:14
   
1. 한국은 자영업자 비중이 높은 나라이고 시간제 피고용 일자리가 없기 떄문에 할 수 없이 하는 자영업자의 비중 또한 높다.
2. 시간제 근로자는 불합리한 임금체계로 임금을 더 받기 위해 한 측면이 강하고 시간당 생상성이 낮은 연장 근무이다.
3, 52시간제, 연장근무 수당제, 최저 임금제가 시행된 이후 대기업은 운영자는 연장근무를 하지 않으려 한다. 52시간 예외 5인이하 직장, 한시적 연장근무 허용 5~30인 직장의 경우도 가능한 연장 근무를 하지 않으려 한다.
4. OECD 자영업자 평균 비중으로 계산 했을 떄 OECD 평균보다 연간 181시간 일을 더 하는데 월 15시간 정도이다. 그러나 이는 아직도 높은 수준이다.
5. 종합하면
자영업자 비중이 높아 근로 시간이 늘어난 것이 크고 경제 규모가 큰 기업이 경제 주체이지 자영업자가 경제의 버팀목이 아니다.
기업의 불합리한 임금체계 떄문에 피고용자가 연장근무로 임금을 확보하려는 것이 크지 기업이 시간당 추가비용이 큰 연장근무를 선호하지 않는다. 기업은 연장근무를 선호하지 않으며 기업에서 연장 근무는 저임금, 소규모 기업에서 편법적으로 발생한다.
=======================
우리나라는 비교적 근로시간이 긴 자영업자 비중이 다른 나라보다 많은 국가입니다.
우리나라 노동자 중 자영업자 비율은 20% 이상인 반면 OECD 평균은 17% 수준입니다.
1인당 연간 근로시간은 전체 취업자 중 자영업자의 비중이 큰 국가일수록 길어지고, 반대로 시간제 근로자의 비중이 큰 국가일수록 짧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KDI는 전체 취업자 중 자영업자의 비중이 1%p 증가할 때, 그 국가의 1인당 연간 근로시간은 10시간 내외 증가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KDI는 각국의 자영업자와 시간제 근로자 비중을 분석 대상의 평균 수준으로 조정한 뒤 연간 근로시간을 산출했습니다.
취업형태 구성의 차이가 없다고 가정해, 같은 유형의 노동자들끼리의 근로 시간 차이를 계산해보자는 취지입니다.
이 같은 조정을 거친 한국의 조정연간근로시간은 한국이 1,829시간, OECD 30개국 평균은 1,648시간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과 나머지 국가 간의 근로시간 격차가 기존 264시간에서 181시간으로 83시간 줄어든 겁니다.
OECD 평균과의 절대적인 근로시간 차이는 줄였지만, 순위 변동은 없었습니다.
조정된 연간근로시간으로봐도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3위로 조정 전과 같았습니다.
우리나라보다 노동시간이 긴 국가는 멕시코와 이스라엘뿐입니다.
KDI 관계자는 “불합리한 임금체계나 경직적인 노동시간 규제 등이 비생산적인 장시간 근로 관행을 초래하는 측면은 없는지 면밀히 살펴 개선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향후에는 유연근무제와 같이 근로시간의 선택권을 늘리고 시간선택제 근로를 활성화하는 정책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VㅏJㅏZㅣ 23-12-26 14:06
   
7ㅐ소리 처하고 있네 ㅋㅋ
노조가입률이 10%도 안 되는 나라에서 유연근무제하면
회사에서 시키는대로 찍소리 못하고 야근야근야근 하는거지
뭔 선택권이야?
야근 할래? 퇴사 할래? 이런 선택권 말하는거야?
 
 
Total 16,517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8724
10692 [전기/전자] 삼성 '갤S9+', 4월 전세계 가장 많이 팔린 스마트폰 (6) 현재now 06-08 2339
10691 [전기/전자] 인텔 확 따돌린 세계 반도체 최강 '삼성전자' (3) 스크레치 08-22 2339
10690 [과학/기술] 한국 보유 식물 유전자원 25만여건…日 제치고 세계 5위 (9) EIOEI 08-04 2339
10689 [기타경제] 일본이 반해 빼돌린 칡소..10마리 '얼룩빼기'로 부… (2) 스크레치 07-21 2339
10688 [전기/전자] '짝퉁 대국' 中 가짜 에어팟 무려 570억원이나.. (3) 스크레치 07-21 2339
10687 美 '세이프가드' 역풍 조짐.."소비자만 피해" 우려 (1) 굿잡스 01-25 2340
10686 [잡담] 전체 gdp에서 캐나다를 따라잡았고 이탈리아 추월직전이… (6) 폭군 06-11 2340
10685 [전기/전자] 삼성전자 폴더블용 PI필름…코오롱이 대안될까 (7) 스크레치 07-13 2340
10684 [기타경제] Jap차 '불매태풍' 강타. 2달만에 판매량 65%↓ (7) 굿잡스 09-03 2340
10683 [전기/전자] 삼성 6억화소 이미지센서 도전 "세균까지 보는 센서 꿈꾼… (5) 스크레치 04-21 2340
10682 [재테크] "NFT 못 샀다고 배 아파 마세요"…전문가 "'이 종목'… (3) 사랑하며 11-16 2340
10681 [부동산] 집값의 딜레마... (3) 가생이다 04-03 2340
10680 아이오닉 전기차 이미 2천대 판매…작년 실적 넘어 (3) 스크레치 03-01 2341
10679 [전기/전자] LG CSO OLED 일본 이어 중국도 뚫다 (5) 꿈결 01-18 2341
10678 [기타경제] 정부, 2020년 2.4% 성장 전망 (6) 귀요미지훈 12-19 2341
10677 [잡담] RE100 문제 심각, 삼성 주요공장 미국으로 옮길 듯... (67) 인씨네 12-03 2341
10676 '북한 위험에도 굳건한 반도체'…三電·SK하이닉… (3) 스크레치 09-22 2342
10675 [기타경제] 韓 조선업, 올해 LNG '싹쓸이'…대우조선 수주 1위 (8) 스크레치 08-26 2342
10674 [기타경제] 과거엔 독일이 세계 1위 수출국이었군요..ㄷㄷ (5) 진실과용기 02-24 2342
10673 [기타경제] 올해 미국 2.2% 성장 전망...한국은? (10) 귀요미지훈 10-02 2342
10672 [기타경제] 유럽 철도역에 한국산 셔터식 스크린 도어 설치된다 (8) 스크레치 10-24 2342
10671 [전기/전자] 삼성전자 美오스틴 공장증설 조건 20년 세금감면 요청 (3) 스크레치 02-28 2342
10670 [자동차] 대박난 제네시스 올판매 목표 20만대 훌쩍 넘기나 (1) 스크레치 03-16 2343
10669 [기타경제] 코로나 경제위기 이탈리아, 43조원 규모 추가 부양안 도… (3) 스크레치 03-27 2343
10668 [잡담] 책 '칩 워'가 한국에 주는 교훈 (4) 강남토박이 09-21 2343
 <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