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7-09-18 17:28
반도체 전망 비관론과 낙관론
 글쓴이 : 아무소리
조회 : 3,633  

반도체 관련 전망을 좀 살펴 봤습니다.

비관론

비관론은 금융 전문 주간지 배런스를 통해 나온 것이 있군요.

http://newspim.com/news/view/20170718000125

결론부만 보자면 이렇습니다.

서스쿼해나인터내셔널그룹의 메흐디 호세이니 분석가는 "전체 공급망에 재고가 쌓여있다. 모두가 재고 위에 올라 앉아 애플이 무엇을 할지 보고있다"면서 하지만 애플의 수요는 "그 누구에게도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그는 "이를 공포 요소라고 부른다"고 말했다.

애플 효과를 제외하더라도 반도체 수요가 점진적으로 줄어들 수 있는 요인들은 여럿있다는 주장이다. 우선 개인용컴퓨터(PC) 시장을 보면 올해 2분기 PC 판매는 11개 분기 연속 감소세를 나타냈다. 이는 부분적으로 D램 가격 상승으로 PC 가격이 올라가자 가격에 민감한 소비자들이 구매를 꺼려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에 배런스는 "HP와 같은 제조업체들이 가격이 떨어질 때까지 D램 구매를 중단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과열 우려도 나왔다. 최근 아시아를 방문하고 돌아온 서스쿼해나인터내셔널그룹의 크리스포터 롤랜드 분석가는 부품을 주문하고 인도 받는데 걸리는 시간을 일컫는 '리드타임'이 늘어났다는 점을 언급하면서 이는 반도체 판매량이 정점을 이루던 지난 2010년과 2011년 고점 때를 환기시킨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이같은 리드타임이 언제 임계점에 도달할지 아무도 모르고 있다"면서 "이는 현재 사이클의 종료를 신호한다. 사이클의 종료는 당신이 생각하는 것보다 빨리올 수 있다"고 말했다.

낙관론

http://www.investchosun.com/2017/08/31/3217136

결론부만 보자면 이렇습니다.


페이스북, 아마존, 구글 등 글로벌 IT기업들의 메모리 반도체 수급 경쟁은 더욱 치열해 지고 있다. 클라우드 시장을 주도하는 아마존은 자사의 내년도 D램 수요가 올해 대비 두 배 가까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기도 했다.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메모리업체들도 보다 고부가가치를 얻을 수 있는 글로벌 IT기업향(向) 설비 비중을 점차 늘려가며 고객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

'이렇게 높은 가격이면 수요가 꺾일 것'이라는 기존 경제 논리로 해석이 불가능한 수요 증가라는 평가도 나온다. 데이터 처리량이 기하급수로 늘어나면서, 서버에 탑재되는 D램과 낸드플래시의 사소한 성능 차이가 곧 경쟁력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웃돈을 주고라도 메모리를 선점하려는 경쟁이 이어지고 있다. 부품 단가가 올라가면 판매수익이 떨어져 가격을 올리는 데 한계가 있는 스마트폰, PC 시장과는 다른 환경이다.

‘인공지능(AI)’, ‘자율주행’ 등 아직 본격적으로 개화하지 않은 시장 수요도 예상보다 빠르게 성장 동력으로 자리잡을 수 있다. 한 증권사 반도체 담당 애널리스트는 "최근 중국 정부가 데이터 통제를 목적으로 인텔과 협력해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 개발에 나섰는데, 여기에 들어갈 D램, 낸드의 수요는 국내 업체들이 전담할 수밖에 없다"며 "이처럼 시장에서 예상치 못했던 공공투자 성격의 수요 증가가 단기간에 빠른 속도로 증가할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제 실제 가격 추세를 보기 위해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https://kr.investing.com/indices/phlx-semiconductor

최대 기간으로 보면 2000년에 일시적인 과열이 있은후 계속 하락하다 2008년 금융위기 후에는 상승으로
바뀐것을 볼 수 있습니다.
최근 추세는 2000년 전고점에 거의 도달 하였습니다.
전고점을 돌파하고 올라갈지 아니면 아래로 방향을 바꿀지는 알 수 없습니다.
다만 한가지 확실한 것은 가격이 떨어지기 시작해도 국내 업체들이 해외 업체보다  더 오래 버틸수 있다는 것입니다.

삼성이나 하이닉스는 매출량을 늘리기 보다는 안정적인 수익을 올리는 것으로 전략을 짜고 있습니다.
설혹 수요가 갑자기 줄어든다고 해도 이익을 내는데 문제가 없는 상황이라는 겁니다.
이런 운용때문에 앞으로 2-3년간은 오히려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는 상황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호황이 그렇게 빨리 끝나지는 않을 것으로 봅니다. 약간 기간이 길긴 하지만
유럽에서 배출가스 없는 차량운행등을 2040년 법제화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런 움직임은 반도체 수요를 증가시킬 것이기 때문에 장기 전망으로 보자면 반도체 공급이 오히려
부족할 수도 있습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아무소리 17-09-18 17:29
   
호갱 17-09-18 17:53
   
둘다 맞아보임
장기적으로 보면 낙관론
중단기 적으로 보면 비관론이 맞아보임
물론 단기적인 요인은 변수가 수없이 존재하기 때문에
장기적인 요인이 미래 예측엔 훨씬 가깝겠지만
Atilla 17-09-18 19:34
   
가까운 미래에 치킨게임 한 번 더 하는거죠 뭐. 반도체에 수십조원 우습게 쏟붓아는 중국애들 살짝 밟아주고요.
삼성과 하이닉스, 마이크론은 어떻게든 살아 남을 듯.
사이공 17-09-19 09:59
   
반도체시장도 싸이클이 있어서 떨어질수있겠지만 그 어려웠던  시기에도 이익을 낸 회사이기 때문에 유연하게 대처할꺼라 봅니다.
멀리뛰기 21-01-02 08:41
   
반도체 전망 비관론과 낙관론 좋은글~
멀리뛰기 21-01-08 11:39
   
반도체 전망 비관론과 낙관론 좋은글~
 
 
Total 16,52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899
10879 다음 달부터 주택용 전기요금 평균 11%가량 싸진다 (6) 블루하와이 11-25 3643
10878 [기타경제] 일베글이지만 imf가 온 이유 중 하나라고 하는데 어떻게 … (73) 칵테일사랑 05-17 3642
10877 [기타경제] G20 1인당GDP 현황 (2018년) (10) 스크레치 06-08 3642
10876 [과학/기술] 강소기업 55개 선정.. 이들 중 삼성전자도 울고 갈 제2의 &… (4) 케인즈 12-09 3642
10875 [전기/전자] 50년 반도체제국 인텔은 어쩌다 '절망 회로'에 갇… (17) 스크레치 07-26 3642
10874 [잡담] JP모건: AI 서버에서 GPU 비중은 27년에 65%까지 낮아질 것 (4) 강남토박이 06-05 3642
10873 일반인도 알아두면 유익한 부동산중개업 (2) 김PD 02-24 3641
10872 [전기/전자] SKT, KT 5G장비 화웨이 배제에 무게 (17) 오랑꼬레아 08-26 3641
10871 한국야쿠르트, 세금 떠넘긴 ‘갑질’ 논란 (3) 블루하와이 01-07 3640
10870 LG 올레드 TV, 전 세계 11개국 성능평가 싹쓸이..."화질⋅음… (4) 스크레치 10-02 3640
10869 [전기/전자] '전자산업의 쌀' MLCC… 반도체 안 부럽네 (7) 스크레치 03-12 3640
10868 [자동차] 인도 자동차 시장 11월 판매 순위(현대2위, 기아4위) (9) 귀요미지훈 12-02 3640
10867 [기타경제] 롯데 日서 버커킹 접었다 ··· (5) 스쿨즈건0 09-02 3639
10866 [금융] 방금 한은총재 기자회견 봤는데 (8) 푸른밥 08-25 3639
10865 IMF 주요선진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2017년 1월) (6) 스크레치 01-17 3638
10864 [기타경제] "한강 기적, 메콩강 기적으로 이어져" (16) 스크레치 03-15 3638
10863 [전기/전자] [단독]폭스바겐과 '밀월' 시작한 SK이노…SUV용 배… (5) 스크레치 03-24 3638
10862 [잡담] 일본이 올림픽 휴전결의를 추진하였고 예상밖의 일이 발… (3) 하루두루 12-11 3638
10861 [기타경제] 종양) 한국경제 ‘J의 늪’에 빠져들고 있다 (6) 너를나를 01-21 3638
10860 [전기/전자] AMD와 협업한 엑시노스 차세대칩, 벤치마크서 애플 A14 바… (13) 메흐메르 01-30 3638
10859 中사업 10조 쏟아부은 롯데 ‘진퇴양난’ (4) 스쿨즈건0 02-23 3637
10858 [전기/전자] [단독]민관 작년부터 日 소재 대비책 모색 (11) 스크레치 07-02 3637
10857 [기타경제] 날개돋힌듯 팔리는 LNG선…현대-대우 M&A에 부담 (8) 스크레치 07-14 3637
10856 [기타경제] 中 알몸 김치 여파 지속.. 7월 김치 수입량 27% 감소 (8) 스크레치 08-16 3637
10855 [기타경제] [인용] 한글자막 인도네시아 뉴스[22.08.09/화] (ft. 싱가폴) 조지아나 08-09 3637
 <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