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7-05-13 18:40
中기술력 턱밑까지…한국 추월 5년 뒤엔?
 글쓴이 : 스쿨즈건0
조회 : 3,665  

中 기술력 턱밑까지…5년 뒤엔 한국 추월?

 
 
 
가전, 통신 등 우리 주력 제품이 5년 뒤엔 품질에서도 중국에 추월당할 것이라는 분석.


중국 업체가 지난달 내놓은 65인치 초슬림 올레드 TV.

석 달 앞서 출시된 국내 업체 TV와 두께, 디자인은 물론 화질까지 거의 같다.

드럼통 2개가 아이디어인 세탁기는 오히려 원조를 자처하고 나섰고, 우리 기업의 독창적인 의류 관리기도 5년 만에 유사한 중국산이 출시.

<녹취> 국내 가전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시장에서 처음 선보이는 모델을 출시하면 중국에서 빠르면 2~3개월 안에 비슷한 콘셉트와 디자인의 제품을 곧바로 출시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하지만 5년 뒤엔 베끼는 수준이 아니라 품질·기술력까지 추월당할 것이란 분석.

가전은 거의 비슷해지고 통신과 반도체는 격차가 1년으로 좁혀졌다.

품질만 놓고 보면 철강과 석유화학, 가전 등은 중국과 격차가 아예 없어지지만, 가격 경쟁력은 중국 제품이 더 높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쿨즈건0 17-05-13 18:40
   
스크레치 17-05-13 18:42
   
10년전에도 매번 저런기사 있었지만 현실은...

저정도로 턱밑 타령할거 같으면

차라리 한국 기술력이 미국을 따라잡았다는 기사가 더 현실감은 있어보이는게 사실...

요즘같이 한 두달 만에도 기술력 격차가 심해지는 시대인데

제조업에서 5년이란 격차는 어마어마한건데..

5년뒤? 5년동안 대한민국 기업들은 놀고 있는 모양임...
조니 17-05-13 20:09
   
단 액정은 lg 메모리는 삼성이라는
kira2881 17-05-13 21:15
   
2000년대 초반부터 나오던 떡밥이군요. 그때도 중국에 수년안에 추월당하네 어쩌네 그랬는데 10년도 더 훨신지난 지금은??? 우리가 중국에 따라잡혔나요? 오히려 기술격차 더 벌리고 있는데요 ㅋ
그리고 쟤들이 만든 그 올레드 티비 핵심부품 다 우리껀데 ㅋㅋㅋ
슬램덩크 17-05-13 21:27
   
안에 부품이 어디서 생산하는지 알기는 하는지? 쯧쯧
가시는가 17-05-14 01:07
   
가전은 쉽게 이야기해서 기술이 많이 들어가는 제품이 아니다. 그래서 진행중이거나 가까운 미래에는 생산량으로 중국이 전세계 1위가 됨. 중국 자국에서 생산하고 소비하는 양의 대부분은 중국산이고 한국산은 거의.없음. 생산량이 많으면 원가가 줄어들고 그결과 전세계에 수출하고 있어 조만간 가전은 대부분 중국산이 될것임.( oled tv제외)
엔지니어 출신으로 그런 위기감이 없다라는 이야기는 기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는것이다.
기술은 작은 차이에 의해 큰 결과를 초래한다. 하지만 작은 차이의.기술을 극복하면 똑같아 지는것이다. olee tv 도 증착기술과 여타기술이 잘맞추어지면 개발이 가능한것이다. 우리나라가 개발했는데 중국이 못할것이다라는 생각은 오만이다.
그래서 한국은 일본을 넘어섰는데 중국은 한국을 못 넘어설것이라는건 말도 안된다.
그런 가정하에서 전략을 짜고 상품을 개발해야 하는것이다.
물론 한국기업도 놀고 있지는 않겠지만 신제품개발을 게을리하면 몰락인것이다.
쉬운 예가 lcd tv로 생산량은 중국이 세계1위이다. 만약 oled tv가 한국에 없었다면 일본과 같이 tv 사업은 한국에서 망했을것이다. 그래서 신제품 개발 능력이 없으면 , 조금이라도 긴장을 늦추지 않으면 바로 쇠락의.길로 가는게 요즘 사업의 형태라는걸 모르면 아직 세상을  잘모른다고 봐야한다. 그렇게 세상은 냉혹하고 1등이 되기 위해 피튀기는 전쟁을 하고 있는것이다.
가시는가 17-05-14 01:27
   
그런데 좌파들은 평등을 부르짖고 있는데 뭘 몰라도 한참을 모르는것이다.
세상은 1등을 향해가고 있는데 한국은 하향평준화를 목표로 하고 있으니 망조가 들은것이다.
한국의 힘은 단연코 경쟁사회인것이다. 경쟁해서 싸우고 싸워서 지금의 자리에 왔는데 싸우지 말고 다같이 나눠먹자는 이야기는 꼴지하자는것과 다를게 없는것이다. 한국이 가진게 사람밖에 없다라는 이야기는 경쟁해서 공정한 경쟁을 통해서 촤고의 사회를 만들어야하는것인데 싸우지 말고 다 같이 사이좋게 나눠먹자는 순간, 경쟁력이 없어지는것이다. 인적 경쟁력, 즉 개인의 능력이  올라갈 필요를 못 느끼면 자기개발을 할 필요가 없어지고 그러면 자연적으로 개인의 경쟁력, 사회의 경쟁력,  한국의 경쟁력이 없어지게 되고 그렇게 되면 기업의 경쟁력이 없어져서 인력을 고용할 능력이 안되는 기업이.늘어나게 되어 취업이 지금 보다 더 어려워진다라는걸 모르는것이다.
세상은 무한경쟁을 하는데 한국만 거꾸로 가고 있으니 망조가 들어가고 있는것이다.
     
식커먼하늘 17-05-15 01:36
   
쫌 사시는가 봅니다. 무한경쟁에서 지금껏 살아남으셨다니 대단하군요 님은 살았으나 그렇지 못한 대다수에 사람들은 그럼 죽었어야 하겠네요 자구책으로 더 노력해야한다는거 뻔한 답이겠죠? 님은 주변에서 도와준 이들이 많았거나 전혀 없이도 승승장구 하셨나 봅니다. 우파..좌파? 님 우파셨어요 ? 전 좌파도 아닌데 님말이 황당하기 그지없군요
조지패튼 17-05-14 08:19
   
전자, 반도체, 자동차 같은건 기술격차가 아직 나는 편이지만
다른 여러 산업에서는 벌어진게 아니라 중국이 많이 따라 왔습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08144884
특히 중화학공업쪽은 1년 미만인 분야가 많음..
안일하게 생각할 일이 아닙니다..
슬램덩크 17-05-14 09:56
   
하향평준화??? 꼴통우파들이 아는게 그것밖에 없지??? 경제공부좀 해라... 머리는 악세사리냐?
가시는가 17-05-14 17:44
   
하향평준화란 말도 이해를 못하니까 설명해줄게...
 첫째,. 시험은 고려시대 광종때부터 시행되어온것으로 자기가 치르고 결과도 숫자로 나타나서 세상에서 가장 공정한 경쟁이고 그시험을 통해서 인재선발의 비리와 경쟁을 통한 촤고로 우수한 인재를 선발할수 있고 그결과로 최고의 인재를 가진 조직은 최고의 능률과 결과를 기대할수있다.
그런데 지금정부는 사법고시, 행정고시, 외무고시를 없앨려고 하고 있다. 로스쿨로 사법고시를 대체한다고 하지만 보이지않는 손이  시험결과와 졸업후 진로마져도 세습되는지도 모른다. 시험폐지는 개인의 능력을 발휘해서 높은 지위로 올라갈수 있는 시스템을 막는것이다.
둘째,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바꾸는것도 정규직은 열심히 공부해서 정규직이 되었는데 비정규직이 한순간에 정규직이 된다면 누가 정규직이 될려고 공부를 하겠는가? 줄 잘서서 비정규직에서 정규직이 될려고 할것이다. 이것 또한 하향 평준화를 만드는것이다.
셋째, 복지라는게 알고 보면 잘사는 사람의 돈으로 사회전체를 하향평준화를 하겠다는거다. 열심히 해서 부자가 되었는데 그돈을 빼았아서 하향평준화를 위해 세금을 많이 내게 하면 누가 돈을 벌려고 하고 누가 사업을 할려고 하겠는가...
진짜 못사는 사람들을 위한 선별적 복지를 해야지 잘사는 사람도 같이 세금의 혜택을 받는 보편적 복지를 한다는것은 불필요한 사람에게 나간 세금만큼 다시 세금을 걷어야 되는것이다. 프랑스나 독일 스웨덴 같은 나라도 법인세를 낮추고 세금을 낮추고 있는데 유독 한국만 거꾸로 복지때문에 세금을 더 걷겠다고 하는데 세상 돌아가는것을 모르는것이다.
지금의 복지로도 30년뒤에는 월급쟁이가  50%의 세금을 내야한다고 하는데,  자기돈 아니라고, 복지를 하는것은 지금의 어린 학생들의 빚을 만들어서 주는것과 똑같은것이다. 그런돈으로 미래의 한국을 일류로 만들수 있는데 투자해야하는것이다. 최첨단기술개발, 교육,  벤쳐시스템개선등에 세금을 투자해서 우리 어린자녀들이 미래에 잘살수있는 시금석을 만들어줘야하는것이다.
서울뺀질이 17-05-14 23:04
   
한국이 일본하고 중국 사이에 끼어 잇다는 샌드위치론은  2000년 초반 부터 계속 나오던 이야기 입니다.  앞으로도 계속  우려먹겟지요.  그리고  새로운 제품 나오면  짝퉁 부터 나오는  중국은  기업가들의  마인드가 글러 먹어서  희망이 안 보이죠.  그래서  외국계 회사 M&A 나 하지  지덜이 힘들여서 개발 하려고 하지 않습니다.  왜? 

힘들게  개발하고 나면  딴 넘이 짝퉁 만들어서 그 시장 자체를 죽여 버립니다.  지적재산권을 보호하는 이유가 기업가의 창의성과  모험 정신을  살리기 위한 것인데 중국은  이런 것을 유지할 법, 제도 또는 마인드 자체가 없음. 

그런데  어떻게  기술혁신을 중국에서 기대를 하고  중진국 함정에서 빠져 나오기를 기대할 수 있겟음?
식커먼하늘 17-05-15 01:39
   
어찌되었든 가생이에 일베나 쓸때없는 우,좌파 나누는 이들이 늘어나긴 했군요 참으로 황당한 말씀도 남기시고 말이죠 그 자신에 논리를 이글을 읽는 모든이들이 이해하라는듯 아니 이해해야 한다는듯 말이죠
케케케정민 17-11-13 08:35
   
ㅋㅋ
멀리뛰기 21-01-02 08:23
   
中기술력 턱밑까지…한국 추월 5년 뒤엔?  잘 보았습니다.
멀리뛰기 21-01-08 11:20
   
中기술력 턱밑까지…한국 추월 5년 뒤엔? 좋은글~
 
 
Total 16,531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300254
10981 바이오 아직이네요. (4) 인생은주식 04-29 3678
10980 [기타경제] '축구장 25개' 세계 최대 반도체 공장.. 삼성전자 P… (4) 굿잡스 04-26 3678
10979 LG전자, 2년연속 美 소비자들이 가장 만족하는 가전1위 기… (4) 스크레치 10-02 3677
10978 금호타이어, 결국 중국으로? (7) 스쿨즈건0 04-14 3676
10977 "삼성전자, 올해 연간 영업이익 50조원 웃돌듯" (4) 스크레치 06-20 3676
10976 대만서 아이폰8 폭발사고…인쇄회로기판 납품 공장선 화… (6) 스크레치 09-29 3676
10975 인도, 국경분쟁 뒤끝 ‘중국산 불매 운동’ 여전 (12) 굿잡스 10-13 3676
10974 [전기/전자] [삼성 넘사벽] 세계 TOP5 반도체 투자 기업 순위 (2018년) (8) 스크레치 12-01 3676
10973 [잡담] 日 "8월 한국인관광객 48% 줄었다" (10) 탑동보말 09-18 3676
10972 [기타경제] 日, 10월 韓수출 23% 급감…'NO 재팬' 타격 더 커져 (9) samanto.. 11-20 3676
10971 [주식] 대주주 양도세 확대…개미들 학살된다 (16) 커피는발암 09-23 3676
10970 [전기/전자] 韓겨냥했던 日아베 "반도체는 산업의 급소" (8) 스크레치 06-08 3676
10969 [전기/전자] 갤플립3, 中라방서 완판 "3분만에 3천대 팔렸다" (9) 스크레치 09-05 3676
10968 삼성전자-SK하이닉스, 연초부터 D램 날개 달고 훨훨 (3) 스크레치 01-25 3675
10967 [자동차] 스페인 자동차시장 판매량 순위 (2018년) (10) 스크레치 04-01 3675
10966 [기타경제] 카타르 LNG 처리시설 입찰…조선업, 대규모 수주 기대 (12) 스크레치 04-23 3675
10965 [기타경제] "한국인 관광객 거부하더니..." 한국 관광객 급감에 신음… (4) 스쿨즈건0 08-01 3674
10964 "중국인 없는 서울로 가자" 동남아 인기여행지 '서울&… (8) 스크레치 03-13 3673
10963 도시바메모리 매각 중단" WD, 국제중재재판소 요청 (8) 바볼랏 05-15 3673
10962 [기타경제] 원희룡, 中 자본 논란 송악산 "난개발 우려 마침… (10) 스쿨즈건0 10-27 3673
10961 홍콩은 'K-뷰티' 전성시대…韓, 색조 메이크업시… (2) 스크레치 01-26 3672
10960 [기타경제] “이런 때 일본에 왜 가요?” 여행 예약률 3분의 1로 뚝. (14) 스쿨즈건0 07-13 3672
10959 [기타경제] 아베노밐스 경기지수 5.6포인트 대폭락, 일본 대지진 때… (7) 독산 12-07 3672
10958 [반도체] 삼성 차량용 반도체 본격 진출 (5) 낯선여행 01-19 3671
10957 [기타경제] 유니클로 ‘불매운동 오래 못가’ 임원 발언 사과 - 국민… (17) 싸뱅 07-17 3671
 <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