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4-04-29 14:17
[기타경제] K-방산 수출 다각화 성공했다...“한화의 레드백 호주 공급 계약이 중요 이정표”
 글쓴이 : 이진설
조회 : 957  
   http://newsimpact.co.kr/View.aspx?No=3210929 [10]


[뉴스임팩트=이나현기자]지난해 한국은 방산 수출액 약 140억달러(약 18조6000억원)를 기록하며, 2년 연속 세계 10위권 방산 수출국 지위를 유지해냈다.

26일 방산업계에 따르면 2019년~2023년 한국의 무기 수출은 직전 5년(2014~2018년)과 비교해 12% 증가했다. 세계 시장에서 한국의 비중은 2.0%로 나타났다.

한국 방산업계는 수출 다각화 측면에서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수출 대상국이 폴란드 등 4개국에서 아랍에미리트(UAE), 핀란드, 노르웨이 등 12개국으로 늘어나고, 수출 무기체계가 6개에서 12개로 다변화됐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전망됐다.

또 무기 판매에서 그치는 것 아니라 장비 공급, 훈련 프로그램 교류, 공동 개발 추진 등으로 이어지고 있는 점도 K-방산의 입지를 견고하게 하고 있다고 보인다.

주요 무기 완제품 수출 계약 대수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한국이 2972대로 미국(5631대)에 이어 세계 2위를 차지했다는 점도 고무적이다.

세부적으로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K-9 자주포 1233대, 현대로템의 K-2 전차 972대, 기동장비 609대, 한국항공우주산업의 FA-50을 포함한 경공격기 142대 등이 계약됐다.

완제품 수출은 향후 유지보수정비(MRO), 성과기반군수(PBL) 등 후속지원 사업에 대한 꾸준한 수요로 이어질 수 있어 기대가 쏠린다.

이신애 사사카와평화재단 연구원은 “한국이 방산 수출 성공을 통해 글로벌 중추국가로서의 새로운 역할을 보여줬다”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K-방산의 강점이 기술력, 대량 생산 능력, 빠른 처리 시간, 경쟁력 있는 가격, NATO와의 무기 상호 운용성 및 안정적인 사후 유지 관리에 있다고 분석했다.

이 연구원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호주와 24억달러 규모의 레드백 보병전투차 공급 계약을 체결한 것이 2023년의 중요한 이정표”라고 짚었다. 글로벌 최고 수준의 성능을 요구하는 호주 육군의 요구를 충족한 만큼 다른 고객의 요구에도 충분히 부응할 수 있음을 보여줬다는 것이다.

호주 육군 사상 최대 규모의 프로젝트였던 Land400 Ph3 사업 당시 호주는 까다로운 시험평가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화는 모든 요구를 맞춰주는 전략을 택했다. 우리 육군의 보병전투장갑차인 K21을 완전히 새롭게 설계하고 현지 생산을 추진했다.

이로써 당시 경쟁자였던 독일 라인메탈사의 ‘링스 KF-41’ 장갑차를 제치고 계약 수주에 성공했다. 라인메탈사가 더 낮은 가격을 제시했음에도, 시제품 평가에서 한화가 앞서면서 계약을 따냈다.

레드백 호주 공급 계약 건이 국내 방산업체가 수출용으로 기획・개발한 무기체계가 해외에 공급되는 첫 사례였던 만큼, 정부 차원에서도 제품에 대한 호주 측의 우려를 불식시키고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이어졌다. 방위사업청은 ‘수출용 무기체계 군 시범운용 제도’에 따라 육군 11사단 기갑수색대대에서 레드백을 시범운용했다.

방산업계는 한국이 NATO 회원국 등 같은 가치를 공유하는 국가들을 통해 무기 수출을 확대해 나갈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방산 관련 대외정책에도 변화가 일고 있어 주목된다. 한국은 이전까지 살상무기 지원 금지 원칙에 따라 교전국에 무기를 직접 제공하지 않았다.

그러나 지난해 미국을 통해 우회지원하는 방식으로 우크라이나에 155mm 포탄을 공급하고, 한국산 부품이 포함된 크라프 자주곡사포를 폴란드에서 우크라이나로 수출하는 것을 승인하는 등 예전과는 다른 행보를 보여줬다.

윤석열 정부는 올해 방산수출 목표를 200억달러(약 27조원)으로 설정했다. 세계 방산 시장에서 높아진 한국의 위상을 반영한 수치라는 게 업계의 평가다. 최근 수출입은행법 개정안 통과로 법정자본금 한도가 기존 15조원에서 25조원으로 늘어난 만큼 대규모 수출 계약이 탄력을 받을 것이라는 게 업계의 관측이다.

정부는 방위산업 생태계 강화를 위해 첨단 소재•부품 개발에 4000억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방산 분야 최초로 360억원 규모 산업기술펀드도 조성한다. 또 수출 수주가 차질 없이 이행될 수 있도록 7조 이상의 무역보험 공급 등 정책금융지원도 강화하기로 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무한의불타 24-04-29 16:50
   
K-방산 수출의 정점은 KF-21 수출이 찍게 될거임
 
 
Total 3,527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502 [기타경제] 수박 1통 4만2800원…과일 물가, 이제는 공포 (1) 가비 05-04 565
3501 [기타경제] 본격화된 반도체 증착 장비·D램 기술 유출 재판 이진설 05-03 1080
3500 [기타경제] 냉면·콩국수도 1만5000원 시대…물가 하락? "체감 어려워" (2) 가비 05-02 659
3499 [기타경제] 네이버 옥죄는 日….2차례 행정지도 이어 한국 정부에 조… (1) 가비 05-02 1144
3498 [기타경제] HD한국조선해양 하도급 갑질 1심, 오는 24일 선고 이진설 05-02 629
3497 [기타경제] [글로벌경제 현지르포-일본편①] 역대급 엔저에 일본인… 이진설 05-01 472
3496 [기타경제] 역대급 한국경제 (1) VㅏJㅏZㅣ 05-01 639
3495 [기타경제] '200조 빚' 한전, 입사 4년차부터 희망퇴직 받는다 (3) 욜로족 05-01 536
3494 [기타경제] 확 꺾인 생산·투자…법인세도 5조 넘게 덜 걷혔다 VㅏJㅏZㅣ 05-01 230
3493 [기타경제] "싸구려" 박탈감 빠진 일본 / SBS 8뉴스 (2) 부엉이Z 05-01 641
3492 [기타경제] 한국 GDP 세계 14위로 추락 피에조 04-29 857
3491 [기타경제] K-방산 수출 다각화 성공했다...“한화의 레드백 호주 공… (1) 이진설 04-29 958
3490 [기타경제] '가정의 달' 5월 앞두고 외식 물가 '껑충'..… (1) VㅏJㅏZㅣ 04-28 364
3489 [기타경제] 네이버, 日서 ‘라인’ 경영권 뺏길 위기… 정부 “우리 … (2) 가비 04-28 1132
3488 [기타경제] "차라리 버스가 빨라요" GTX-A 안 타는 시민들 (1) 가비 04-28 561
3487 [기타경제] ‘잔인한’ 5월 가정의 달 “김밥 사먹기도, 집에서 싸기… (1) 가비 04-28 273
3486 [기타경제] 김밥 한 줄 5000원시대 오나…외식비 줄인상에 부담 가중 욜로족 04-28 316
3485 [기타경제] 가스·지하철 등 공공요금 도미노 인상 예고[끝모를 물가… 욜로족 04-28 255
3484 [기타경제] 일본 정부가 LINE 삼키려고 직접 나선 진짜 이유는? (12) darkbryan 04-27 2046
3483 [기타경제] 3D업종에 머물던 외국 인력, 번듯한 직장까지 확대한다 (2) 가비 04-26 436
3482 [기타경제] "네이버, 지분 팔고 떠나라"…13년 키운 '라인', 일… (2) darkbryan 04-25 1091
3481 [기타경제] 적대국 대하듯…일본, 한국 IT기업에 "지분 팔고 떠나라" (4) 가비 04-25 1007
3480 [기타경제] 법원 총출동한 HD현대오일뱅크 전현직 고위 임원들 이진설 04-24 1181
3479 [기타경제] 조정 넘어간 현대카드 정태영 모친 유산 소송전 (1) 이진설 04-23 888
3478 [기타경제] "한국 성장 기적 끝나간다" (4) 욜로족 04-22 1452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