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1-03-10 03:34
[기타경제] 호주 희토류 업체, 충북서 본격 생산 나선다
 글쓴이 : Architect
조회 : 4,081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2&aid=0003559207

<내용요약>

-ASM(Australian Strategis Materials Ltd·대표 데이비드 우돌)가 충청북도 청주시 오창 일원에 6000만 달러를 투자, 희토류 생산시설을 건립
-ASM은 청주시 오창 외국인투자지역에 6000만 달러를 투자해 자회사 KSMT·KSM의 희토류 생산시설을 세우고 국내 기업에 희토류와 희소금속을 공급할 예정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Architect 21-03-10 03:35
   
     
아넬카 21-03-10 07:01
   
아니 이분은 본인이 기사내용 올려놓고 기사를 끝까지 안봤나부네!..ㅋㅋㅋ
첫번째 기사에 나와있잖아요.  호주에 희토류광산이 있고,  호주에서 캐온
희토류를 한국에 와서 작업해서 공급한다구요...'
근데 뭘 우리나라 광맥을 개발하고 경제성을 확인해요?..ㅋㅋㅋㅋ
첫번째 기사에 자세히 나와있구만...ㅋ.ㅋㅋㅋㅋ
          
Architect 21-03-10 08:39
   
ㅋㅋㅋㅋㅋㅋ ㅠㅠ 일 끝내고 자기 직전에 급하게 일부분만 읽고 아침에 제대로 보니 ㅠㅠ "생산"한다 해서 채굴까지 포함한 과정으로 착각하고 예전 기사가 떠올라 퍼왔네요. 혼선 드려서 죄송해요.
               
행운두리 21-03-10 09:37
   
ㅋㅋㅋㅋ  주구장창 경제 망했다는 기사 오타까지 그대로 퍼오는 기레기들이

널리고 널렸는데... 이런거는 애교로 봐줄만함 ㅋㅋ
정봉이 21-03-10 04:09
   
마냥  반가운 소식같진 않음

호주에서 개발한 자원을 우리가 사오는거면 좋겠지만

희토류라는게 정제하는데 엄청난 공해를 유발하거나 전력을 소모하는 산업인지라
우리나라의 싼 전기를 이용하겠다는 계산이거나
혹은 호주의 환경규제를 피해 왔을거 같은 느낌
     
Architect 21-03-10 08:41
   
네.. 근데 다시 읽어보니 자원 자체는 호주의 희토류 자원을 들여온다는 것 같습니다. 새벽에 급하게 읽고 퍼오는 바람에 실수가 있었네요. 혼선 죄송해요.
     
totos 21-03-10 09:37
   
호주 희토류 사업은 정제 시설 및 전력 공급에 대한 인프라 구축이 안되서 정제는 다른곳에서 한다네요.
짧은 시간내에 중국 희토류 수출 중단에 대응하려면 이런 방법으로 접근해야 한댑니다.
sangun92 21-03-10 07:00
   
희토류 (稀土類)라는 것이 자연 상태에 극히 적게 존재하기 때문에 희토류라고 이름을 붙인 것이 아니라
실제로 존재하는 양이 적지는 않으나,
산화가 극히 잘 되는 물질이라,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순수 희토류 상태로 존재하는 것이 매우 적어서 희토류라고 부른 것.
 
정제를 하려면, 자연환경 파괴가 극심함.
미국에도 부존량이 매우 많지만, 환경 파괴 문제 때문에 채굴/정련을 하지 않은 것.
한반도에도 많이 부존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고, 마음만 먹으면 정련 시설을 개발/설치할 능력이 있지만 하지 않은 것.

중국은 자국 영토의 환경이 파괴되어도 크게 신경쓰지 않는 나라이기 때문에 희토류를 대대적으로 채굴/정련했던 것.

캐나다 업체가 한국에서 채굴/정련 시설을 만들도록 허가한다면, 이는 실수하는 것.
     
Architect 21-03-10 08:47
   
네 그런 것 같습니다. 제가 본문 일부 내용에 혼선을 드렸는데 희토류의 채굴 자체는 호주에서 이루어지며, 이를 가공하고 공급하는 시설이 건립된다는 것 같습니다. 혼선 죄송해요.
totos 21-03-10 08:00
   
충북 괴산 지역에 상당한 희토류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는데 괴산은 한국의 주요 식수원이라 지하수 가치도 높고, 근처에 충주호가 있어서 개발 자체를 못합니다.
괴산 광산 개발하면 수도권 식수원 오염과 직결되거든요.
     
Architect 21-03-10 08:45
   
그렇군요. 전 오염도가 이정도로 심각한지는 처음 알았네요. 광맥이 있어도 생각보다 개발이 쉽지 않은게 아쉽습니다.
          
totos 21-03-10 09:38
   
광산에서 흘러 나오는 지하수가 수질 오염을 일으킨다고 합니다.
사랑투 21-03-10 08:45
   
호주 광산에서 희토류를 수입해  충북에서 가공한다는 이야기 같은데요?

60-70년대라면 외화벌어야 한다고 국가적으로 추진했을지 몰라도 희토류광산은 환경오염의 끝판왕급이라  불가능합니다.
     
Architect 21-03-10 08:50
   
말씀해주신 바가 맞아요. 자원의 채굴은 호주, 이에 대한 가공시설 및 공급시설이 국내 구축입니다. 오염도가 그정도일지 몰랐습니다.
방랑기사 21-03-10 10:15
   
원석으로 도입해서 정체하는지, 아니면 어느정도 거르고 고순도 정제하는지 궁급합니다.
     
봉대리 21-03-10 12:35
   
"ASM은 호주 시드니 서북부 400㎞에 있는 대규모 광산에서 환경친화적 채광과 정련을 통해 KSMT와 KSM에 안정적 원료를 공급할 예정이다. 확보 물량은 100년 이상 안정적 원료공급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호주 광산에서 채굴한 희토류는 오염물질 등을 걸러낸 99.9% 순도인 분말로 들어온다. 호주 원자력연구원과 20년간 공동연구로 쌓은 친환경 생산 방식을 도입한다."
----------------------------------------------------------------------------------

기사내용을 보면 원석을 그냥도입해서 한국에서 정제하는게 아니라.  호주에서 일단 정제하고 가공해서 가루상태로 들어오나 봅니다. 
그걸 산업현장에서 쓸수 있도록 2차가공을 하는 공장에 신규투자 하는듯 합니다.
 
 
Total 16,512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8321
11762 [잡담] 해외에서 먹힐만한 사업 아이템 공유 (2) 일반시민 03-11 1278
11761 [과학/기술] [단독] LG엔솔, 원통형 배터리 투자 속도낸다 (3) Architect 03-11 1799
11760 [기타경제] 韓 3월 수출도 역대최대 (14) 스크레치 03-11 2520
11759 [전기/전자] SK하이닉스 세계 첫 18GB 모바일 D램 양산 (5) 스크레치 03-11 1891
11758 [전기/전자] 삼성D·LGD, 초격차 전략으로 '폴더블 노트북' 투자… (3) 스크레치 03-11 1349
11757 [기타경제] 두산밥캣, 지게차 사업 진출.."다양한 시너지 기대" (3) 스크레치 03-11 1074
11756 [부동산] 부적절 게시물 잠금 경고(정치) (4) 대팔이 03-11 1011
11755 [기타경제] 日매체 150년전부터 韓 도와..K주사기 보내야 (17) 스크레치 03-11 2589
11754 [전기/전자] 中경쟁자 이탈 LG이노텍 매출 첫 10조 도전 (1) 스크레치 03-11 2039
11753 [주식] 삼성전자 주가 6거래일 만에 반등, SK하이닉스도 3%대 올… 이진명 03-11 1092
11752 [전기/전자] 일본도 SSD하면 "삼성" 하는 이유..성능·가격 다 잡았다 (2) 스크레치 03-11 2467
11751 [과학/기술] 한국-중국 기술격차 사라져···급발전하며 빠르게 추월 (25) 캡틴홍 03-11 3244
11750 [전기/전자] 삼성 밀당에 마음 급해진 美텍사스 여론.. "인센티브 주… (12) 스크레치 03-11 4701
11749 [기타경제] "제2의 초코파이로 키운다" 오리온, '꼬북칩 초코츄러… (5) 스크레치 03-11 2167
11748 [전기/전자] 애플, 인도에서 아이폰12 생산 시작 (1) 스크레치 03-11 1587
11747 [금융] OECD, 한국 올해 성장률 전망 3.3%로 높였다.. 중국은 뒷걸… (9) 꼬마와팻맨 03-11 2322
11746 [기타경제] [단독]MG손보 16일부터 자동차보험료 2% 인상..줄줄이 오르… 캡틴홍 03-11 825
11745 [기타경제] 국내선 SK바이오사이언스가 IPO 새역사..미국서 몸값 높이… 캡틴홍 03-11 1164
11744 [전기/전자] 삼성 3나노 전략 윤곽…"2022년 GAA 기반 독자기술 도입" (13) 스크레치 03-11 3332
11743 [잡담] 향후 전고체 밧데리는, 향후 국방분야 APU(보조동력장치)… (5) 조지아나 03-10 2808
11742 [전기/전자] 삼성 "SSD도 초격차".. 값 낮추고 성능은 6배 (15) 스크레치 03-10 4383
11741 [기타경제] 중국, 서해에서 '떠다니는 원전' 밀어붙인다..14·5… (23) 스크레치 03-10 3269
11740 [기타경제] 일본 소프트뱅크와 손잡은 네이버.. 그들이 꿈꾸는 것은? (7) 일반시민 03-10 2232
11739 [자동차] 현대차 베트남서 日제치고 1위 수성..亞시장 확대 (3) 스크레치 03-10 1492
11738 [주식] 연기금 매도 폭탄... 주식 주의 요망 (3) 조국과청춘 03-10 1958
 <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