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3-11-22 19:48
[전기/전자] 모건스탠리: 온 디바이스 AI의 최대 수혜자는 메모리
 글쓴이 : 강남토박이
조회 : 1,180  

1700607259.png



최근자 모건스탠리 리포트에서는 스마트폰의 미래를 온 디바이스 AI라고 엄청 빨아주고 있음. 제 2의 전성기, 이런 표현까지 씀. 온 디바이스 AI의 수혜를 "메모리 > 안드로이드 SoC > 스마트폰 부품 > 안드로이드 OEM > 애플, 아이폰 OEM > PC OEM" 순서대로 많이 입을 것으로 전망함.

 

 

메모리는  온 디바이스 AI 구현의 핵심은 대용량/고성능 디램이기 때문임. 디램은 이번 AI 슈퍼사이클의 최대 수혜자 중 하나임. 파운드리보다 훨씬 더 임. 그리고 애플의 AI 기술력을 안 좋게 보는 반면(준비가 너무 뒤쳐짐), 미디어텍과 퀄컴의 AI 기술력을 높게 평가함. 그래서 메모리 다음으로 안드로이드 SoC 업체들이 온 디바이스 AI에서 큰 수혜를 볼 것으로 전망함. 잘하면 아이폰에 대한 안드로이드 진영 반격의 서막이 될 수도?

1700122180.jpg

맥쿼리: 온 디바이스 AI에 탑재되는 디램 용량 비교

 

1) 일반적인 현재 스마트폰은 약 8GB의 디램이 탑재

2) 이미지 생성 기능이 탑재된 온 디바이스 기기는 약 12GB

3) 디지털 AI 비서 기능이 탑재된 기기는 약 20GB의 디램이 필요

 

=> 이전에 말씀드렸다시피 온 디바이스 AI가 메모리 시장에 미칠 영향은 결국 Contents Growth의 증가, 즉 Density의 증가라고 보여집니다.

 

=> 물론 내년 스마트폰 출하량이 YoY로 성장할 것이라고 예상하지만(미디어텍, 퀄컴 등의 전망에 근거) 기기 수요가 다시 하락하는 구간이나 재고가 많은 구간에는 사실상 기기당 탑재되는 Contents Growth말고는 디램 수요 Bit 성장을 기대하기 어려워집니다.

 

=> 그런데 결국 빌 게.이츠의 예상대로 추후 온 디바이스 AI 체계에서 AI 비서가 탑재되는 구조가 될 경우, 메모리의 용량 증가는 필연적으로 보입니다. 당연히 이 부분은 숫자 추정이 어려운 영역입니다. 온 디바이스 AI 제품들인 AI PC나 AI 스마트폰이 출시되는 게 바로 내년부터이기 때문입니다.

 

 

당장 맥쿼리 리포트에도 나왔듯 온 디바이스 AI 기능이 탑재된 스마트폰은 일반 스마트폰 대비 많게는 디램 용량이 2.5배 이상 증가함. AI 컴퓨팅 파워의 핵심이 바로 디램이기 때문임.

 

 디램은 엔비디아 다음으로 AI 혁명의 최대 수혜자로서 HBM의 뒤를 이어 범용 디램 역시 온 디바이스 AI로 장기 호황의 국면에 접어들 것이며, 기존의 단순 범용 부품에서 그 위상이 지금보다 훨씬 더 올라갈 것으로 생각함.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Total 16,517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8739
16067 [기타경제] 내년이 진짜 '공포'... 한국은행마저 잿빛 전망 (5) VㅏJㅏZㅣ 12-04 3487
16066 [금융] "경험하지 못한 일 벌어질것" 내년이 진짜 공포 (2) 욜로족 12-04 2758
16065 [잡담] 중국, 韓 요소 수출 일부 중단…'제2의 요소수 대란�… (3) 땡말벌11 12-04 3014
16064 [전기/전자] [단독] 삼성전자, ASML EUV장비 50대 추가 구매 강남토박이 12-04 2710
16063 [부동산] 서울 아파트 경매 급증.. 강남도 유찰 또 유찰 (2) VㅏJㅏZㅣ 12-04 1685
16062 [잡담] 대만언론에서 분석한 삼성 3나노가 망한 이유 (13) 하비게이트 12-04 3797
16061 [잡담] “삼성 3나노 수주 어쩌나”…TSMC, 인텔·AMD·퀄컴 등 대… (1) 하비게이트 12-04 1902
16060 [기타경제] 삼성 파운드리 3나노 현실 (1) 어벙이 12-03 2418
16059 [잡담] RE100 문제 심각, 삼성 주요공장 미국으로 옮길 듯... (67) 인씨네 12-03 2341
16058 [기타경제] 7연속 금리 동결...내년 성장률 하향·물가 상향 (8) VㅏJㅏZㅣ 12-01 2106
16057 [부동산] 강남·다주택자 종부세 확 줄어‥세액도 '반토막' (1) VㅏJㅏZㅣ 11-30 1632
16056 [기타경제] 석 달만에·· 3대 지표 모두 '마이너스' (5) VㅏJㅏZㅣ 11-30 1959
16055 [부동산] "일 안 해도 되겠다" 환호 (10) VㅏJㅏZㅣ 11-29 4277
16054 [잡담] 내년 메모리 반도체 시장 떡상.jpg 강남토박이 11-29 1572
16053 [기타경제] “이대로면 한국 망하는 건 시간 문제”…출생아 15% 또 … (8) 욜로족 11-29 2669
16052 [잡담] 2025년과 300단은 낸드 업계에서 아주 중요한 분기점이 될 … (3) 강남토박이 11-28 1361
16051 [잡담] 삼성전자와 거래하는 일본 회사 경영진 또는 간부들 생… (6) 행복찾기 11-28 2646
16050 [잡담] 삼성 메모리의 침체,, SK하이닉스의 떡상... (9) 행복찾기 11-28 3022
16049 [기타경제] ‘빚더미’ 공공기관, 3706억 팔았지만…올해 예상빚만 … (7) 욜로족 11-26 2429
16048 [금융] 홍콩발 8.4조 폭탄 터진다…은행들 "3조 날릴 판" 초비상 (2) 욜로족 11-26 2659
16047 [전기/전자] “삼성 큰일 났네” 맹추격하는 중국…알고보니 선봉엔 … (1) 욜로족 11-26 3322
16046 [기타경제] "노후 적정생활비 월 369만 원...현실은 212만 원" (2) VㅏJㅏZㅣ 11-26 1732
16045 [잡담] D램의 위상이 앞으로 엄청나게 커짐 ㄷㄷㄷ (6) 강남토박이 11-26 2235
16044 [부동산] '철옹성' 강남까지 꺾였다…도곡 3억 압구정 1억 &… (4) VㅏJㅏZㅣ 11-25 2543
16043 [금융] 정부의 '엇갈린 신호'에 혼란 (6) VㅏJㅏZㅣ 11-23 2555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