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1-06-22 17:44
[기타경제] [질문] 미국 기준금리 인상시 일본의 경제 상황 변이
 글쓴이 : singularian
조회 : 2,660  

질문입니다.

내년 쯤 미국이 금리를 올린다 합니다.
지금 까지는 미국과 일본 모두 제로금리 정책을 펼쳐 왔습니다.

일본은 비록 무역 수지 등은 안 좋아도, 
해외에 투자한 것이 있어, 경상수지 흑자를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만약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예산의 20% 이상을 채권 돌려막기를 해야하는 일본의 재정 정책에,
막대한 이자의 지급이 추가로 예상되는데...

경상수지 흑자와 이자지급의 증가의 상관관계 그리고,

재정정책에는 어떠한 변화가 예상될까요 ?

일본이 한국보다 국민총생산은 많아도 예산(가용자산)은 비슷한데, 
향후가 궁금합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revneer 21-06-22 18:25
   
저도 궁금합니다.
환타쥬스 21-06-22 22:45
   
미국이 금리인상을 한다고 해도
일본은 여전히 기존의 금융완화 정책을 유지할 거라고 생각합니다.

본문에 언급하신 부채증가도 원인이기도 하고
여전히 금리를 인상할 만큼 경제성장률이 뒷받침 되지 않고 있습니다.

2년연속 마이너스 성장이었고 작년에는 전후 최악의 마이너스 성장이었습니다.
올해 1분기도 역시 마이너스 성장이었고요.

미국이 금리인상을 준비하는 상황과 현재 일본의 경제 상황은 매우 다른 상황이라 보여지네요.


만약 미국이 금리인상을 한다면 달러강세, 즉 엔저로 이어짐으로
일본 수출은 단기간 호조를 보일 수 있겠으나 원자재 수입액 증가로
내수 시장과 기업은 불황을 보일 것으로 보입니다.

내수물품의 가격상승으로 코로나로 침체된 내수시장이
더 침체되어 전형적인 불황형 인플레의 형태를 보여줄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일본이 소득수지가 높아 많은 경상수지 흑자를 기록하고 있는데
이것이 좋은 현상인지는 저는 회의적입니다.

기본적으로 일본은 여전히 내수시장이 매우 큰 나라중 하나입니다.

그런데 소득수지라는 것은 해외에 투자해서 얻은 일종의 배당금입니다.

고로 이 뜻은 자국내에 투자해야 할 많은 투자금이 해외로 투자되어
내수시장 침체로 이어진다는 뜻입니다.

왜냐하면 소득수지에서 얻은 이익분 만큼 내수에 재투자 되지 않고
다시 해외에 재투자되어 수익을 얻기 때문입니다.

일본 기업들이 실제로 90년대 만큼의 입지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지요.

일본 고용률이 양호해 보이지만 표본조사기 때문에 일본 전반적인 고용률을 반영한다고 보기 힘들고요.

일본 성장률과 내수시장 침체를 보면 실제 고용률과 표본조사와의 괴리가 있을것으로 예상됩니다.


일본에 대해서 썼지만 전망이 밝지 않은것은
한국과 미국 , 그리고 유럽과 전 세계 모두 밝지는 않다고 생각합니다.

미국이 코로나를 완전히 컨트롤 한다고 보기 어렵고
세계적으로 계속 꾸준히 변이바이러스가 생성되기에
경제를 낙관하기 어렵다고 봅니다.

영국은 전국민 80프로 가량이 1차 접종을 끝낸 국가이나
인도 변이바이러스로 다시 일일 확진자 1만명을 돌파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얼마든지 변이바이러스가 생겨나고 전파될 수  있다는 사례라 생각합니다.

또한 한국을 예로들면 팬데믹 이전 증시평균이 코스피 2000-2200선이었으나
지금 코로나로 위축된 경기임에도 코스피 3000을 가볍게 상회하고 있습니다.

세계에서 경기부양을 한 자금이 얼마나 거품을 생성하는지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시라 생각합니다.

미국이 금리인상카드를 생각하는건 실제 경기가 회복되었다기 보다
생성된 거품이 더 커지기 전에 진화하려는 움직임이라 생각합니다.

이건 중국도 마찬가지입니다.

고강도 경기부양을 시행했던 중국이 올해는
양적완화를 축소하는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중국정부가 비트코인을 규제하는데에는 버블을 적극적으로
관리하고자 하는 의지라고 생각합니다.


이미 버블의 위험성은 세계 공통적으로 커졌다고 생각합니다.

세계적인 침체를 막을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저는 회의적입니다.
     
singularian 21-06-22 23:22
   
그렇군요,
전세계가 버블로 혼돈이군요.
스웨덴은 집값이 두배가 되어서 연정이 깨졌다하고,
온 지구가 폭탄 돌리기 하며 살고 있는 느낌도 있습니다.
금리를 손댈 수 없거나 지금회수를 할 수 없는 일본은 좀더 아슬아슬해 보이기도 하고요.
멍때린법사 21-06-22 22:46
   
별거없다 봅니다.. 그냥 더 찍으면됨... 애초에 그따위 신경 안쓴다며 지금의 상황까지 온것이 아닌지.
전체 예산의 절반을 채권이자에 투자해도 그 돈은 모두 자신들 은행으로 돌아간다는 입장이라...
신경 안쓸거라 보네요.. 일본  정부는.. 단지 해외에서 어떻게 보냐의 문제가 남는 것이져..
 
 
Total 16,52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451
13523 [전기/전자] 中 14나노 반도체 양산 다가서나.."내년 양산" (16) 스크레치 06-26 1899
13522 [전기/전자] 삼성전자, 6G 앞서간다..테라헤르츠 대역 무선 통신 시연 (2) 스크레치 06-26 869
13521 [전기/전자] OLED 세계 1위 'K-디스플레이'의 힘..그 원천은? (1) 스크레치 06-26 875
13520 [기타경제] 여름 면戰..비화식 냉동, 촉촉한 생면, 관록의 건면 (2) 스크레치 06-26 471
13519 [기타경제] 韓 해운재건 가속도..HMM, 초대형 컨테이너선 인수 마무리 (1) FOREVERLU.. 06-26 816
13518 [자동차] 한국차, 일본서 안 팔리는 이유는? (13) 조국과청춘 06-26 1553
13517 [과학/기술]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 개발’ 예타 통과..14년간 3조 7… (4) Architect 06-26 1010
13516 [기타경제] 2년전 日에 급소 맞았던 삼성의 반격 "포토레지스트 개발… (10) 스쿨즈건0 06-26 3383
13515 [전기/전자] 삼성 엑시노스 中 비보 공급 가능성 (1) 스크레치 06-26 1706
13514 [전기/전자] 이솔, EUV PR 평가 장비 성능 테스트 성공적 "업계 호평" (2) 강남토박이 06-26 1482
13513 [전기/전자] 폴더블폰 시장은 삼성전자 주도… 내년부터 진입 업체 … (1) 스크레치 06-25 1338
13512 [전기/전자] 미국 상무부 반도체 공급망 보고서(요약) (1) 강남토박이 06-25 1515
13511 [전기/전자] [단독]삼성 반도체 장비도 초격차..EUV 선점에 '4조+α&#… (4) 스크레치 06-25 1216
13510 [전기/전자] 반도체 이어 'K배터리' 육성 전략 나온다..내달 종… (1) FOREVERLU.. 06-25 2634
13509 [기타경제] 삼성전자도 내달부터 모더나 백신 자체 접종.."집단면역 … (5) 봉대리 06-25 1880
13508 [기타경제] 국가별 코로나백신 접종현황 (3) 봉대리 06-25 1728
13507 [전기/전자] [단독]삼성SDI 日장악한 포토레지스트 독자개발 나선다 (9) 스크레치 06-23 8941
13506 [전기/전자] 삼성 차세대 5G칩 3종 공개.."초연결시대 진입 주도할 것" (2) 스크레치 06-23 3044
13505 [자동차] 코로나 뚫고 인도 질주, 현대차 SUV 살아있네 (1) 스크레치 06-23 2041
13504 [기타경제] 아시아에 K편의점이 뜬다…한류 타고 이마트24도 '진… (5) 스크레치 06-23 3005
13503 [기타경제] 와 유가미쳤네요 사실상 러시아한테 추월당하네요 (10) kj02020 06-23 4656
13502 [기타경제] 韓 스페인갈등 봉합했다 ...스페인 언론 대서특필 (12) 스크레치 06-23 4107
13501 [과학/기술] 4년 후엔 한화시스템 에어택시로 여의도-강남 5분 컷 (2) 꼬마와팻맨 06-23 1350
13500 [기타경제] 중국의 도넘은 韓 베끼기 (10) 스크레치 06-23 5141
13499 [기타경제] 매출 126조 K콘텐츠, 반도체 넘본다 (5) 스크레치 06-23 2869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