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06-18 13:42
[기타경제] 일본 조선사 LNG운반선 건조 '고전', 한국 조선3사 반사이익 커져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4,712  

http://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85376







일본 이마바리 조선이 벌크선 중심 사업구조에서 벗어나 보려고 

LNG 운반선 건조로 발을 넓혔지만 기술력이 없으니 건조에 애를 먹는 모양입니다. 



그 동안 일본 조선사들도 오랜세월 중형 벌크선 건조에만 집중해왔었네요 


벌크선 건조는 높은 기술력을 필요로 하지않는만큼

중국이 저가 벌크선 공세로 나오자 

LNG운반선 쪽으로 일본이 눈을 돌린모양인데 

기술력이 미성숙해서 건조시기 늦어지고 계약까지 취소되고 있는 형편이네요 



그 덕에 LNG 운반선 건조에서 압도적인 기술력을 보유한 

대한민국 조선 빅3 업체가 LNG 운반선 시장을 싹쓸이 해나가고 있군요 





그래도 일본 조선업계도 여태까지 수주물량등은 떨어져도 기술수준 만큼은 괜찮은줄 알았는데 

그동안 중국과 똑같이 벌크선이나 건조하는 수준이었다는게 신선한 충격이네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크레치 18-06-18 13:42
   
직장인 18-06-18 13:45
   
중국처럼 우리나라한테 라이센스 요청을 하면 될 텐데...
블랙미스릴 18-06-18 14:44
   
저도 좀 신선한 느낌 이네요. 근데 벌크선은 정확히 어떤 종류의 선박 인가요? 단가가 가장 낮아 그런가 보다 했는데 그다지 특별한 기술없이 만들수 있나 보네요. 갠적으로 알기로 단가가 가장 높은게 특수선의 일종인 드릴쉽으로 알고있고 이마저도 웃도는게 해양 플랜트로 아는데. 특히 플랜트는 기술이 부족한 상태에서 무리하게 수주했다가 대규모 적자봤죠. 그때의 경험이 있어 지금은 잘 하리라 믿네요. 근데 문제는 유가가 점점 오른다는 주장이 우세해서 플랜트 발주가 늘어나고는 있는데 석유업체들이 자국 업체 위주로 발주해 준다네요. 대표적인 나라가 노르웨이고요. 사족이 길었는데 압도적인 기술력으로 부가가치가 높은 특수선 위주로 수주했으면 하네요. 저가수주는 왜나 지나나 하라고 하죠. 선박발주가 늘어나는 지금이 일종의 치킨게임인데 확실하게 왜는 밟아 줬으면 하는 바람이네요.
     
B형근육맨 18-06-18 14:47
   
벌크선은 쉽게말해 곡물선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좋은비 18-06-18 15:21
   
자국업체인 노르웨이 핀란드 덴마크 이런대서는 이제 그런 특수선 만들수가 없읍니다

인건비가 높고 기술적으로 안됩니다

다만 한국에 주는이유는 자국산 부품을 많이 사용하게금 계약을 한답니다 제 한 1년 그쪽에서 일을
해봣는데요 예를 들어 노르웨이가 드릴쉽을 국내 삼성중공업에 맡기면 거기에준하는 자국내

부품을 일정부분 상용하게끔합니다 전부 우리나라 업체 제품을 쓰는게 아니에요 그리고 설계도도
다 지들이 특수선전문설계업체에 맡긴거 수주업체한테 줘서 만들게 합니다

그러니 특수선만들어봣자 적자가 낳는거엿겠죠 앞으로 이런부분이 개선이 된다면 압도적으로

한국의 특수선에서도 이익이 엄청날겁니다
     
바람노래방 18-06-18 18:02
   
우리나라가 플랜트 기술이 부족한 상태 아닙니다.
MB정권 시절에 석유가 하락하면서 수주 물량이 부족해지자 저가 공세로 나간게 원인이지 기술하고는 상관 없습니다.
그리고 지금도 그렇고 과거에도 그렇고 앞으로도 그렇겠지만 우리나라 조선사는 다 단가 높은 특수선 수주하고 싶어합니다.
특수선은 원유가가 결정적 원인입니다.
석유가가 높아지면 특수선 물량도 늘어납니다.
그렇지만 특수선은 특수선인 만큼 당연히 수주 물량이 적죠.
그래서 수송선, 그중에서도 초대형 컨테이너선 위주로도 물량을 수주 받으려고 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중소 조선소도 벌크선 제작합니다.
페레스 18-06-18 14:47
   
일본은 예전부터 조선사업해왔고 변화가 없는 상수같은거라서 별 위협이 안되는데
중국은 아직까진 변수고 어떻게 변할지 몰라서 항상 기술탈취를 주의하고 경계해야 합니다
허투루 18-06-18 15:26
   
한참 조선 잘 나갈때, 우리나라가 LNG선 해양플랜트에 돈 엄청 때려 부으며 경쟁력을 키웠죠.

유가하락으로 개쪽났다가 이제야 빛을 좀 보는거고요.
민성이 18-06-18 17:38
   
조선은 유가가 올라야 경기가 좋습니다.
그동안 유가가 워낙 싸다보니 고전한거구요.
     
에스프리 18-06-18 17:48
   
좀더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왜 그런지 알고싶어서요
          
바람노래방 18-06-18 18:07
   
원유가가 높아지면 원유를 더 캐랴고 하겠죠.
그런데 지금 추가로 발굴하는 원유 시추 지역은 대부분이 바다입니다.
바다에서 원유를 캐려면 시추선과 같은 특수선박이 필요합니다.
시추를 하고 나면 이 원유를 운반할 원유 수송선도 필요하고요.
LNG 선도 같은 이유죠.
그리고 원유가 높아지는 원인은 다른 이유도 있겠지만, 전체적인 소비가 늘어났다는 원인이 큽니다.
즉, 전반적인 물동량이 증가했으므로 해상 수송 용량도 늘어나야 하는거죠.
참치 18-06-18 18:48
   
와... 원래 LNG선 같은 특수선의 탱크 용접기술이라든지... 이런거 한국에서도 일본에 기술자 보내서 배우고 그러지 않았나요?

격세지감이군요.
     
좋은비 18-06-18 18:56
   
지금 용접기술은 한국이 세계최고수준의 기술자들이 많습니다
Alice 18-06-19 10:09
   
일본이 이정도 일줄은....
멀리뛰기 21-01-02 14:11
   
[기타경제] 일본 조선사 LNG운반선 건조 '고전', 한국 조선3사 반사이익 커져 잘 읽었어요~
멀리뛰기 21-01-08 14:19
   
[기타경제] 일본 조선사 LNG운반선 건조 '고전', 한국 조선3사 반사이익 커져 멋진글~
 
 
Total 16,521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8901
13596 [기타경제] 베트남 상류층에 부는 ‘프리미엄 韓流’ 열풍 (8) 스크레치 06-18 4729
13595 [기타경제] 중국, 미국에 맞서 외국기업 블랙리스트 내놓는다. (17) 스쿨즈건0 06-02 4729
13594 [전기/전자] 中 TSMC 제재 가능성 (10) 스크레치 05-05 4729
13593 [기타경제] 3분기 평균환율반영한 실시간 명목 GDP LIVE (7) 폭커 10-07 4729
13592 "중국 당국 '일본 제한하라' 했다" (7) 스쿨즈건0 05-26 4728
13591 영국 스마트폰시장 점유율 순위 (2017년 3분기) (3) 스크레치 12-13 4728
13590 [기타경제] 소프트뱅크가 150억 달러 투자한 위워크 기업가치 폭락 (18) 귀요미지훈 11-20 4728
13589 삼성전자, 2020년 꿈의 4나노 시대 연다 (8) 스크레치 05-25 4726
13588 '미래먹거리' 15.3조 투자…4차 산업혁명 예산 46% … (9) 스크레치 09-01 4725
13587 [전기/전자] 中 화웨이의 '굴욕' "반도체 부품 끊겨 4G폰만 출… (15) 스크레치 07-31 4723
13586 [기타경제] "RCEP 위험하다" 최대 수혜국 일본, 축포 안 쏘는 이유 (18) 스크레치 11-16 4720
13585 [자동차] 대한민국 지금이 최전성기인것 같죠? 아닙니다 ㅋ (41) 푹찍 01-30 4720
13584 [기타경제] 역대 최저 실업률 남기고 떠난 文정부...尹정부도 일자리… (35) 샤넬케이 05-11 4720
13583 [잡담] 아래 세계국력순위 소스와 이스라엘이 높은 이유 (34) TTTTTTT 05-16 4719
13582 "돈이 안 돈다"…'돈맥경화' 심각 (4) 블루하와이 04-19 4718
13581 2017~2021년까지 일본은 어떨까요? (9) 보쿠히카 08-22 4718
13580 [기타경제] 美中 무역전쟁에 어부지리…베트남 산단 `즐거운 비명` (4) 엑스일 09-13 4718
13579 [전기/전자] 삼성, 지난해 5G 스마트폰 670만대 판매…53.9% 점유 (5) 귀요미지훈 01-04 4718
13578 [기타경제] 현재 중국 제조업 및 경제상황 (25) 귀요미지훈 04-01 4718
13577 [10월 세계금융 위기설] '10월 폭락설'(October surprise… (7) Shark 09-09 4717
13576 현대기아차 쾌거, 멕시코 진출 3년 만에 점유율 두자릿수… (8) 스크레치 10-22 4717
13575 [전기/전자] 아이폰 베트남 시장점유율 4위로 밀려...부동의 1위는 삼… (9) 스크레치 09-11 4717
13574 [기타경제] 日 '반도체'완벽한 몰락… 파나소닉도 사업 접는… (12) 스쿨즈건0 11-29 4716
13573 [기타경제] IMF 초유의 사태 (7) 스크레치 04-17 4716
13572 [잡담] 홍하이 2016년 2월 25일 샤프 합병 -> 그리고 오늘 2019년 5… (13) 스포메니아 05-07 4715
 <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