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1-11-20 13:18
[기타경제] 외교부, 경제안보TF 격상…공급망, 기술, ESG 대응(종합)
 글쓴이 : 사랑하며
조회 : 1,619  


외교부가 경제안보TF를 차관보급 조직으로 격상 운영하기로 했다. 

확대 경제안보TF는 국제사회 화두가 되고 있는 공급망, 디지털·신흥기술, ESG 관련 대응을 담당할 것으로 관측된다.

외교부는 19일 경제안보TF 첫 회의 소식을 알리면서 단장을 이성호 경제외교조정관으로 격상하고, 경제외교 담당 3개국으로 확대 운영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담당국은 국제경제국, 양자경제외교국, 기후환경과학외교국이다.

경제안보TF에는 공급망은 물론 디지털·신흥기술, ESG 분과가 신설됐다. 확대 TF는 기존 외교부 직제를 초월 운영하면서 경제, 기술, 가치, 안보 융합 사안에 체계적 대응을 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확대 TF는 단기적으로는 요소수 문제 등 공급망 교란 대응에 역량을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또 중장기적으로는 외교부 본부와 재외공관, 유관기관의 '팀 코리아' 협업 체계를 통한 대외 위기관리 체계로 발전시킨다는 계획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TF에 대해 "공급망 교란, 기후변화에 따른 큰 변화, 디지털 변화 등 전환기적 메가트렌드가 있는 상황"이라며 "요소수 사태 이전부터 구상해 발족한 것"이라고 말했다.

또 "그간에는 글로벌 트렌드로 실무에 직접적인 연관성을 적게 가진 상태에서 다가왔다면, 최근에는 요소수 문제도 그렇고 피부에 와 닿는 부분들이 나타나고 있다"면서 배경을 설명했다.

아울러 세계 경제 질서가 기존 개방 위주에서 일부 블록을 형성하는 방향 전환이 나타나고 있을 수 있다는 방향의 분석을 더하면서 "정부나 재외공관 역할의 변화가 요구될 수밖에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지금보다는 다른 형태의 재외공관 역할을 기대하는 상황"이라며 "공관 경제 기능도 다시 점검해 봐하는 상황이며, 해외지킴 전진기지이자 센터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에 고민이 맞춰지고 있다"고 부연했다.

앞서 외교부는 1일 미중 기술 패권경쟁 등 과정에서 발생하고 있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 움직임에 대응하기 위해 경제안보TF를 신설했다. 당초 양자경제외교국 차원으로 구성됐으나 이번에 확대 개편이 이뤄졌다.

우선 경제안보TF는 관련 대응 과정에서 소관이 불명확하거나 조율이 필요한 사안 등을 다루게 될 것으로 보인다. 당국자는 "현안은 지금 맡고 있는 국, 과가 있다. TF 차원에서는 전체 관리를 하고 현재 직제 상 부족한 부분들을 보완하면서 역할을 찾아가야 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우선순위를 갖고 일하는 조직이 있으면 우선은 그렇게 가야할 것"이라며 "TF를 다음주에 더 분과별로 점검하는 과정에서 보완할 부분은 보완해야 한다고 본다"고 언급했다.

경제안보TF는 당분간 여러 차례 회의, 점검 등을 거치면서 자리를 잡아가게 될 전망이다. 2차 회의는 다음 달께 열릴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향후에는 상설 조직화 고려도 이뤄질 소지가 있다.

아울러 외교부는 경제외교안보센터 신설도 추진 중인 것으로 파악된다. 이는 산업 장비, 기술 등 신속한 현안 대응 외교 활동에 필요한 보완 연구 등을 수행하는 지원 네트워크 개념이라고 한다.

외교부 차원의 경제안보 노력은 범정부 대응의 큰 틀 속에서 전개될 것이라는 게 당국자 등의 설명이다. 현재 요소수 사태 대응, 경제안보 핵심품목에 대한 범정부적 접근이 이뤄지고 있는 상황이다.

경제안보 문제는 글로벌 경제 변화 속에서 주요 화두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따른 각국 대응 움직임도 일부 나타나고 있다고 한다.

일례로 일본은 경제안보 분야를 총괄할 경제안보상을 신설하고 고바야시 다카유키(小林鷹之)를 임명했다. 또 경제안보 일괄추진법을 병행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총리 차원에서 경제안보 문제를 총괄하는 동향도 있다고 전해진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사랑하며 21-11-20 13:18
   
 
 
Total 16,50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8098
13634 [기타경제] 외교부, 경제안보TF 격상…공급망, 기술, ESG 대응(종합) (1) 사랑하며 11-20 1620
13633 [과학/기술] DNA 분석 대중화 시대 이름없는자 10-02 1620
13632 [기타경제] 지하철 기본요금, 7일 첫차부터 '1400원'…150원 오… (2) VㅏJㅏZㅣ 10-03 1620
13631 [전기/전자] 삼성전자 반도체, 작년에 코로나 뚫고 19조 벌었다 (12) 스크레치 01-12 1621
13630 [기타경제] 미얀마산 중 희토류. 중국 수입 차질 (70% 수입비중) (1) 조지아나 03-29 1621
13629 [전기/전자] 삼성D·LGD 'OLED' 기술력으로 초격차 (2) 스크레치 05-10 1621
13628 [자동차] 현대차 'BTS-보스턴다이내믹스 로봇' 댄스영상 공… (4) 스크레치 06-29 1621
13627 [기타경제] 무디스 한국 5대은행 등급 하향 (1) 바람아들 03-21 1621
13626 [기타경제] 조선업 회생하나.한국 2월 수주량 중국 제치고 전세계 1… (3) 굿잡스 03-07 1622
13625 [주식] 경제지 일간지의 경제기사, 숫자로 팩트체크 (5) fymm 11-12 1622
13624 [전기/전자] 삼성전자 초격차 앞세워 74조 車 반도체 시장 정조준 (7) 스크레치 01-15 1622
13623 [전기/전자] 삼성전자, 화성 13라인 이미지센서 전환 '속도조절 (2) 스크레치 05-25 1622
13622 [기타경제] 아사히 대신 하이트… 日 불매운동 확산에 `애국테마株` … (5) 스크레치 07-08 1623
13621 [자동차] 美·유럽 뻗어나가는 현대차 수소트럭..세계시장 '주… (1) 스크레치 09-22 1623
13620 [전기/전자] 삼성전자, '5G 상용화' 국제 표준 주도 (4) 스크레치 05-21 1624
13619 [전기/전자] 미국 3위 통신사 "화웨이·ZTE 장비 절대로 안 쓴다" (5) 스크레치 02-15 1624
13618 [잡담] 초미세 공정이 돈이 안되다고 주장하는 반도체 전문가.. (9) 달과육팬티 04-14 1624
13617 [금융] 4월말 韓 외환보유액 4523.1억달러..62억달러 ↑ (3) 스크레치 05-07 1624
13616 [전기/전자] 中 CATL, 배터리 리콜설에 주가 급락 (3) 없습니다 07-20 1624
13615 [자동차] 현대차, 브라질 공장서 신형 크레타 양산…25일 정식 출… (1) 스크레치 08-22 1624
13614 [전기/전자] 2019 인도 스마트폰 시장 현황 (3) 귀요미지훈 06-11 1625
13613 [금융] 취약 통화 5걸의 성적 (4) 이름없는자 08-12 1625
13612 [전기/전자] "韓본사의 中자회사 데이터서버 접속도 中정부 승인 받… 나이희 09-08 1625
13611 현대차 中공장 전면 가동 재개됐지만 "불씨는 여전" (3) 스쿨즈건0 08-30 1626
13610 [자동차] 세계 첫 전기차 멀티충전소 제주서 '첫 선' (3) 스크레치 03-06 1626
 <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