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1-07-15 11:00
[기타경제] 세계 선박수주 패권 中에서 한국으로 넘어온 이유는?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3,603  

https://news.v.daum.net/v/20210714040202417







기술력 때문이죠 뭐..

중국 정부 수주 물량에나 의존하는 중국 조선업계와 

기술력으로 전세계 수주 물량 싹쓸이하는 대한민국 조선업계 


답은 뻔한거 아니겠습니까..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크레치 21-07-15 11:00
   
소문만복래 21-07-15 11:14
   
근데 맨날 뭐 수주했니 어쩌니 하면서,
제작년 그 난리를 치며 팡파레를 터트렸던 중동 백수십척 유조선 수주건도,
아직 한척도 안만들고 있음.
원자재 가격 상승에 공급부족까지 이어져서 후판가격이 치솟았는데, 당장 만들게 되면 완전히 쪽박 쓰게 됨. 중국 떨쳐낸다고 덤핑해서 따낸 계약이니까. 정상적으로 납품되어도 수익이라곤 쥐꼬리만한데, 지금 상황이면 수조원 적자나버림.
그렇다고 후판 공급 안정될때까지 주구장창 기다리기도 힘든게, 이러다 계약 파기될 위기상황임.

선박시장이 다시 호황기에 접어드니 어쩌니 말들은 많지만,
실제로 올해 들어 좀 살아나는 분위기이도 했는데,
지금 현재 상황을 보면 또 한동안 암울할거 같음.
     
스크레치 21-07-15 11:54
   
우리가 암울하면

다른나라는 초토화라고 보시면 됩니다.
     
SuperEgo 21-07-15 13:06
   
카타르 LNG는 3사 공히 선가조정 협상 진행중이고
두어달 정도 지나면 윤곽이 드러날걸로 예상됩니다.
현시점에선 아직 오리무중이라 할수 있겠네요.
계약 물량은 생산까지 빠르면 2년 늦으면 3년정도의 텀이
있으므로 당장의 후판가격이 영향을 주지는 않습니다.
즉 그때 가봐야 안다는 것이죠.
또한 조선사 강재가격은 주유소 휘발류가처럼 그때그때
다른 가격이 적용되는게  아니라 협상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연초 강재가격이 10%정도 인상반영됐고 조만간 다시
조정 되긴 할겁니다. 다만 조선 3사 기준 대부분 80%이상
(KSOE 99%) 
올해 수주실적을 올리고 있으므로 굳이 카타르에 목메일
필요는 없어보입니다. 클락슨 리서치에 따르면 현재 모든
신조선가가 강세로 2020년말 기준 신조선가가 10%이상
오른상태고 현재도 계속해 강세를 띄고있다는점은 고무적입니다.
믈론 초호황기의 고점대비 아직도 70%선이긴 하지만
한국조선사들 비용절감 위한 다방면의 노력을 진행중인상황입니다.
환경규제 노후선 교체의 황금 사이클이 아직 제대로 도래하지도
않았다는 점도 고무적인 상황이라 볼수 있겠습니다.
우려에도 불구하고 잘 풀리고 있는건 사실이고 지금 필요한건
응원과 관망입니다.
          
소문만복래 23-05-10 01:59
   
아직까지도 단 한척도 안만들었네요.
     
나루도 21-07-16 14:28
   
와 무식하면 용감하다더니
하나부터 열까지 다 엉터리라 반박할 가치도 못느끼겠네
공부 좀 해라
한심한 글.
          
소문만복래 23-05-10 01:59
   
야이 무식한 새끼야.
자반이 21-07-15 11:37
   
카타르는 아직발주도 안했는데 만들긴 뭘만들어 올하반기에나 발주하는데 발주한다고 뚝딱만들어지는것도 아닌데 인도기간 모르냐? 지금한국조선업계보다 짜장 조선업계가 심각혀 가격으로 수주하는 애들이라
진실게임 21-07-15 12:20
   
행운이 더 컸죠.
그냥 기존 대로 갔으면 기술이고 뭐고 한국 조선업 다 망하고 말았을 텐데...

온난화와 친환경 규제 바람이 때맞춰 불어서 살려준 거.
나이스가이 21-07-15 12:25
   
전혀 돈이안됨 거제 조선소 하청들 죽어나고 있음
킹크림슨 21-07-15 16:05
   
댓글들을 보니 제가 모르는 사실을 많이 배우게 되네요.

마냥 기쁜 일 만은 아닌듯 하네요.
크레모아 21-07-15 18:31
   
전 세계에 LNG 선박을 만들어 줄 수 있는 나라는 한국 조선소 밖에 없음
분위기가 바뀌었는데 선박 건조 가격을 제대로 받고 해야 하는 거 아닌감?
저가 덤핑 수주는 더 이상 안 된다는 말이지
대당 21-07-15 23:57
   
후판가격이 많이 올랐나 보네
 
 
Total 16,52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388
13773 [잡담] 삼성전자 전세계 R&D, AI 센터.jpg (7) 강남토박이 07-18 4779
13772 [기타경제] 中 "韓 원래부터 선진국 아냐?"..UN 韓선진국 선정 소식에 … (8) 스크레치 07-17 8238
13771 [전기/전자] 삼성은 PC 용 ARM 프로세서를 만들까? (8) 이름없는자 07-17 2871
13770 [기타경제] 베트남서 'K젤리' 열풍 선도..오리온 '마이구… (10) 스크레치 07-17 5413
13769 [전기/전자] LGD 대형 OLED 패널 사업 8년만에 흑전 '눈앞' (3) 스크레치 07-17 2777
13768 [전기/전자] 영국 유력 정치인의 경고..'중국이 반도체 패권 노린… (4) 스크레치 07-17 4339
13767 [전기/전자] "2030년까지 195조원 투자"..EU도 반도체 굴기? 삼성 SK 기회 … (7) 스크레치 07-17 2506
13766 [전기/전자] "中기업 수출규제 늘려라" 압박하는 美..中 반도체 굴기 … (3) FOREVERLU.. 07-17 1763
13765 [기타경제] 韓조선 "올해도 中넘는다" 고부가·친환경 선박 '싹쓸… (1) 스크레치 07-17 887
13764 [잡담] 엑시노스 2200, 6개의 GPU 유닛이 탑재? (5) 강남토박이 07-17 1500
13763 [기타경제] 세계10대 경제대국 순위 (세계은행 7월 최신판 기준) (13) 스크레치 07-16 6802
13762 [자동차] 제네시스 eG80, 1억짜리 전기차는 처음이라.. (4) 스크레치 07-16 2981
13761 [자동차] 기아, 英 진출 30년.."시장점유율 5% 달성" (1) 스크레치 07-16 1976
13760 [기타경제] 우크라 둘러싸고 관련국들 복잡한 행보..러-독 가스관 쟁… (3) 스크레치 07-16 1639
13759 [기타경제] 칭화유니 부도의 이면을 보자 (9) singularian 07-16 3052
13758 [자동차] 한국차 위상 완전히 달라졌다..미국서 없어서 못 파는 현… (17) 스크레치 07-16 4371
13757 [전기/전자] 日소니 車시장에서 잡는다..삼성 '사각' 잡는 이… (3) 스크레치 07-16 2404
13756 [기타경제] 中 '알몸김치'에 경악..김치 수입 3개월째 급감 (9) 스크레치 07-16 2209
13755 [과학/기술] 동남아 국가들의 '중국 백신 불신'.. 中 백신외교 … (2) 스크레치 07-16 1478
13754 [자동차] 현기차 상반기 유럽서 49만대 판매 (2) 강남토박이 07-16 933
13753 [기타경제] 한국 조선 슈퍼 호황에 찬물 (10) 바람노래방 07-16 4962
13752 [전기/전자] 삼성, 2분기 글로벌 스마트폰 점유율 1위 (6) 강남토박이 07-16 2212
13751 [전기/전자] 인텔, 글로벌파운드리 34조원에 인수 추진 (8) Architect 07-16 2934
13750 [기타경제] 韓 국력 전세계 '8위'.. 구매력 총생산에선 日 제… (18) 스크레치 07-15 8848
13749 [전기/전자] 삼성 미군 5G 프로젝트 본격화…테스트베드 구축 (3) 스크레치 07-15 2753
 <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