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11-12 19:58
[전기/전자] 韓 D램 35년…삼성 이어 SK하이닉스, 2세대 10나노시대 개막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4,810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8&aid=0004249389







SK하이닉스, 美 마이크론보다 반년 앞서 2세대 진입 ㄷㄷ 


올해로 D램 개발 35주년을 맞은 한국 반도체 업계, 초격차 전략으로

세계 유일의 10나노급 D램 시대를 활짝 열었다. 


SK하이닉스가 삼성전자에 이어 세계 2번째로 2세대 10나노급 D램 개발에 성공 







<세계 넘사벽 D램 양강 업체 삼성전자 - SK하이닉스의 위엄> 



1. 삼성전자 2017년 11월 세계최초 2세대 10나노급 D램 양산 들어감 

2. SK하이닉스 2018년 2세대 10나노 개발성공 - 내년 1분기 양산 들어감 

3. 세계 3위 미국 마이크론 - 현재 SK하이닉스에도 반년 뒤져 





그야말로 압도적인 기술력 격차 

이 와중에 삼성전자는 SK하이닉스보다도 1년 이상 앞서네요 ㄷㄷ 

그냥 괴물인듯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크레치 18-11-12 19:59
   
설설설설설 18-11-12 20:19
   
진짜 미친기업들....
하나둘넷 18-11-12 23:02
   
기사 잘못되었습니다.

마이크론 이미 하루전에 2세대 10나노 양산
발표했습니다.

하이닉스는 내년 1분기 양산이고요.

https://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30&aid=0002757587
     
뻐드롱 18-11-13 00:21
   
마이크론은 모바일디램으로 알고있어요
          
하나둘넷 18-11-13 04:15
   
모바일용이 공정난이도가 높은지 서버용디램이 높은지는 구별할 의미가 없습니다.

삼성도 2세대 10나노 디램제조는 작년 11월 서버용 디램 먼저 양산후
모바일디램은 올해 7월 양산 시작했습니다.

이런경우 외부자 입장에서 우와 모바일디램이 공정난이도
더 높네? 혹은 삼성과 마이크론의 모바일 디램공정격차는
고작 4개월 차이네? 라고 생각해도 된다는 이야기가 되는데요?
뻐드롱님 이야기대로 라면요.  ㅋ

실제로는 모바일용인가 서버용인가  인가전압 동작클럭
작동 내구조건등 테스트 상황이 제각각이고 시장 이윤측면
에서 각 메이커별 전략에 따라 서버용이냐 모바일용이냐
진입순서가 갈리는 게 더 큽니다.

실양산제품에 적용가능한 10나노 2세대 적용 양산이
가능해졌다는 데 있어서 마이크론이 지난해 올해 많이
치고 올라오는 건 사실입니다.

물론 제조된 램의 성능치 및 내구도 고객 만족도가
어떤지는 향후 평가가 더 진행되어야겠죠.
뻐드롱 18-11-13 00:34
   
Micron is not alone in the LPDDR4x market, though. SK Hynix introduced 16 Gb LPDDR4x chips back at the start of 2017. Micron's 12 Gb capacity is lower, but it allows the company to offer lower-cost quad-die solutions than the competition. LPDDR4x has an output voltage of just 0.6 V compared to 1.1 V in LPDDR4, which translates to increased power efficiency for mobile devices. Micron says that these higher DRAM capacities are required to support the increasing use of AI and AR in mobile devices. With the imminent arrival of 5G handsets next year, having denser memory with higher data rates will help in faster real-time processing of data.

The memory semiconductor market is controlled mainly by Samsung, SK Hynix, and Micron. In fact, Samsung had already announced plans for bringing LPDDR5 DRAM to market by H2 2018 but that date has now been pushed to 2020 with both Samsung and Micron expected to kick off LPDDR5 production sometime next year. Till then, LPDDR4x should provide the needed data rates and power efficiencies for the upcoming crop of mobile devices.

모바일디램으로만 따지면 2020에 삼성이랑 같은시기에 LPDDR5양산들어갈거라 예상하네요
푹찍 18-11-13 00:41
   
얼마전 야심차게 발표된 엔비디아 RTX-2080ti의 파운더스 에디션(레퍼런스 모델) 그래픽 깨짐 이슈가 있어서 난리가 났었는데
메모리 발열 문제로 의심가는 상황에서
장착된 마이크론 메모리을 삼성 메모리로 교체 후 재발매및 교환해 주고 있음 ㅋ
월하정인 18-11-13 13:48
   
SK하이닉스도 해냈군요..
kira2881 18-11-13 15:59
   
대단합니다. 중국에 기술 안넘어가도록 잘 지켜야 합니다.
     
스크레치 18-11-13 21:05
   
저 마이크론은 계속 메모리업계 세계 3위 정도에서 화이팅 해주는게 

대한민국으로서도 좋습니다.

특허괴물이라 밑에서 치고 올라올 싹들은 아예 모두 마이크론이

알아서 특허 소송으로 제거할 가능성이 크거든요 ㅋ
흩어진낙엽 18-11-13 20:46
   
하이닉스와 마이크론 공정차이 글 읽어볼만함
http://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202
멀리뛰기 21-01-02 14:58
   
[전기/전자] 韓 D램 35년…삼성 이어 SK하이닉스, 2세대 10나노시대 개막 감사합니다.
멀리뛰기 21-01-08 14:48
   
[전기/전자] 韓 D램 35년…삼성 이어 SK하이닉스, 2세대 10나노시대 개막 잘 읽었어요~
 
 
Total 16,52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195
13773 삼성전자, 글로벌 SSD 시장 점유율 37%…인텔의 3배 (9) 스크레치 09-13 4821
13772 "韓 OLED 따라잡자"…日 JDI 인수전 달아오른다 (9) 스크레치 11-12 4821
13771 '국제유가 하락' 체감 어려운 이유?..."세금이 60%" (4) 블루하와이 02-17 4820
13770 또다른 세계의 경제 화약고 도이치뱅크 사태 (9) 오마이갓 09-29 4820
13769 2년만에 메모리반도체 호황…삼성전자 "없어서 못판다" (4) 스크레치 09-29 4820
13768 [잡담] 일본 불매운동 타격이 어느정도에요?? (12) wpxlgus1234 08-15 4820
13767 [전기/전자] 믹스폴드2 > 갤럭시Z폴드4 (12) 가생이다 08-12 4820
13766 [기타경제] 베트남 고속철, 도를 넘는 재정부담에 공포감 일어.. (16) 귀요미지훈 11-15 4819
13765 [기타경제] 세계의 5대 철강회사(매출 영업이익 평가) (15) 조지포먼 12-13 4819
13764 [기타경제] 코로나 의리지킨 UAE에 국산 진단키트 첫 수출 (8) 스크레치 03-17 4819
13763 131년 음료제국 코카콜라, 이렇게 추락할 줄이야… (6) 스쿨즈건0 04-27 4818
13762 IMF, 한국 내년 성장률 3.0% 전망…0.1%p 상향조정 (7) 스크레치 07-24 4817
13761 OLED의 힘, LG전자 2분기 TV 시장도 ‘원톱’ (5) 스크레치 07-03 4816
13760 중국의 도전2편 (18) 밥무그라 11-30 4815
13759 [잡담] 재난지원금, 언제까지 조중동 프레임에 갇혀 살텐가! (16) 세월의소리 06-08 4815
13758 [과학/기술] 세계도 놀랐다..강남 한복판 '초대형 파도' 누가 … (2) MR100 06-30 4815
13757 [기타경제] 2022 gdp순위 한국 11위권 다시 제자리로 돌아가는중... (13) 허민 07-12 4815
13756 [기타경제] 韓, 받을 돈이 줄돈보다 4500억弗 많아…외채건전성 역대 … (6) 귀요미지훈 02-23 4812
13755 갤노트7, 눈으로 잠금 해제…애플과 ‘홍채 전쟁’ 시작 (5) 스크레치 08-03 4811
13754 [전기/전자] 韓 D램 35년…삼성 이어 SK하이닉스, 2세대 10나노시대 개… (13) 스크레치 11-12 4811
13753 [과학/기술] 콘솔 게임이 8K TV 판매 성장세 견인할까 (11) 카카로니 11-08 4811
13752 한국, GDP 대비 가계부채 87%...신흥국 1위 (4) 블루하와이 03-08 4810
13751 [기타경제] 中 벼락부자 되나... 서해와 가까운 곳에서 대형 유전 발… (9) 스크레치 10-01 4810
13750 [전기/전자] 삼성전자 시스템 반도체 매출 폭발적 증가 (11) 축신 11-13 4809
13749 [마이너스 금리의 역습] G20 '금융시장 살리기' 공… (2) 오비슨 02-13 4808
 <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