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1-07-15 11:00
[기타경제] 세계 선박수주 패권 中에서 한국으로 넘어온 이유는?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3,600  

https://news.v.daum.net/v/20210714040202417







기술력 때문이죠 뭐..

중국 정부 수주 물량에나 의존하는 중국 조선업계와 

기술력으로 전세계 수주 물량 싹쓸이하는 대한민국 조선업계 


답은 뻔한거 아니겠습니까..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크레치 21-07-15 11:00
   
소문만복래 21-07-15 11:14
   
근데 맨날 뭐 수주했니 어쩌니 하면서,
제작년 그 난리를 치며 팡파레를 터트렸던 중동 백수십척 유조선 수주건도,
아직 한척도 안만들고 있음.
원자재 가격 상승에 공급부족까지 이어져서 후판가격이 치솟았는데, 당장 만들게 되면 완전히 쪽박 쓰게 됨. 중국 떨쳐낸다고 덤핑해서 따낸 계약이니까. 정상적으로 납품되어도 수익이라곤 쥐꼬리만한데, 지금 상황이면 수조원 적자나버림.
그렇다고 후판 공급 안정될때까지 주구장창 기다리기도 힘든게, 이러다 계약 파기될 위기상황임.

선박시장이 다시 호황기에 접어드니 어쩌니 말들은 많지만,
실제로 올해 들어 좀 살아나는 분위기이도 했는데,
지금 현재 상황을 보면 또 한동안 암울할거 같음.
     
스크레치 21-07-15 11:54
   
우리가 암울하면

다른나라는 초토화라고 보시면 됩니다.
     
SuperEgo 21-07-15 13:06
   
카타르 LNG는 3사 공히 선가조정 협상 진행중이고
두어달 정도 지나면 윤곽이 드러날걸로 예상됩니다.
현시점에선 아직 오리무중이라 할수 있겠네요.
계약 물량은 생산까지 빠르면 2년 늦으면 3년정도의 텀이
있으므로 당장의 후판가격이 영향을 주지는 않습니다.
즉 그때 가봐야 안다는 것이죠.
또한 조선사 강재가격은 주유소 휘발류가처럼 그때그때
다른 가격이 적용되는게  아니라 협상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연초 강재가격이 10%정도 인상반영됐고 조만간 다시
조정 되긴 할겁니다. 다만 조선 3사 기준 대부분 80%이상
(KSOE 99%) 
올해 수주실적을 올리고 있으므로 굳이 카타르에 목메일
필요는 없어보입니다. 클락슨 리서치에 따르면 현재 모든
신조선가가 강세로 2020년말 기준 신조선가가 10%이상
오른상태고 현재도 계속해 강세를 띄고있다는점은 고무적입니다.
믈론 초호황기의 고점대비 아직도 70%선이긴 하지만
한국조선사들 비용절감 위한 다방면의 노력을 진행중인상황입니다.
환경규제 노후선 교체의 황금 사이클이 아직 제대로 도래하지도
않았다는 점도 고무적인 상황이라 볼수 있겠습니다.
우려에도 불구하고 잘 풀리고 있는건 사실이고 지금 필요한건
응원과 관망입니다.
          
소문만복래 23-05-10 01:59
   
아직까지도 단 한척도 안만들었네요.
     
나루도 21-07-16 14:28
   
와 무식하면 용감하다더니
하나부터 열까지 다 엉터리라 반박할 가치도 못느끼겠네
공부 좀 해라
한심한 글.
          
소문만복래 23-05-10 01:59
   
야이 무식한 새끼야.
자반이 21-07-15 11:37
   
카타르는 아직발주도 안했는데 만들긴 뭘만들어 올하반기에나 발주하는데 발주한다고 뚝딱만들어지는것도 아닌데 인도기간 모르냐? 지금한국조선업계보다 짜장 조선업계가 심각혀 가격으로 수주하는 애들이라
진실게임 21-07-15 12:20
   
행운이 더 컸죠.
그냥 기존 대로 갔으면 기술이고 뭐고 한국 조선업 다 망하고 말았을 텐데...

온난화와 친환경 규제 바람이 때맞춰 불어서 살려준 거.
나이스가이 21-07-15 12:25
   
전혀 돈이안됨 거제 조선소 하청들 죽어나고 있음
킹크림슨 21-07-15 16:05
   
댓글들을 보니 제가 모르는 사실을 많이 배우게 되네요.

마냥 기쁜 일 만은 아닌듯 하네요.
크레모아 21-07-15 18:31
   
전 세계에 LNG 선박을 만들어 줄 수 있는 나라는 한국 조선소 밖에 없음
분위기가 바뀌었는데 선박 건조 가격을 제대로 받고 해야 하는 거 아닌감?
저가 덤핑 수주는 더 이상 안 된다는 말이지
대당 21-07-15 23:57
   
후판가격이 많이 올랐나 보네
 
 
Total 16,511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8319
13786 [전기/전자] 아시아 최대 부호, 韓 배터리 기업에 러브콜? (7) 스크레치 07-20 3923
13785 [전기/전자] 소부장 日의존도 더 낮춘다.. 지난해 출연연 R&D 규모 89%… (3) 스크레치 07-20 1966
13784 [자동차] '더 센놈 온다' 현대차, 고성능 '아이오닉 5N�… (8) 스크레치 07-20 2007
13783 [금융] 일본의 국가부채는 일본은행 소유기 때문에 괜찮다는 모… (16) 파란혜성 07-20 3556
13782 [전기/전자] 中정부, 네덜란드 정부에 ASML의 반도체 장비 판매 압력 (19) 스크레치 07-20 3866
13781 [전기/전자] 삼성전자 영업이익 50조 보인다...'반도체의 귀환' (5) 스크레치 07-20 2036
13780 [자동차] 현대기아 6월 유럽판매 급증...현대차 ↑57%, 기아 47%↑ (1) 스크레치 07-20 955
13779 [자동차] 현대차 인니공장 생산모델…'코나·크레타·엑센트+… (6) 스크레치 07-20 999
13778 [과학/기술] 2020 전세계 무기 수출국 순위.jpg (4) 몬스트레치 07-20 2719
13777 [전기/전자] 배터리 쓸어담는 美..韓 수출국 1위 껑충 (4) FOREVERLU.. 07-19 5419
13776 [잡담] 국내 터빈 블레이드 제작업체 관심가져보는것도 좋을듯. (3) 조지아나 07-18 5369
13775 [자동차] 현대차·기아, 중국 상반기 판매량 10.8%↓.. 부진 여전 (26) Architect 07-18 4931
13774 [기타경제] "美싱크탱크 G10 확대해야" (19) 스크레치 07-18 7979
13773 [잡담] 삼성전자 전세계 R&D, AI 센터.jpg (7) 강남토박이 07-18 4776
13772 [기타경제] 中 "韓 원래부터 선진국 아냐?"..UN 韓선진국 선정 소식에 … (8) 스크레치 07-17 8238
13771 [전기/전자] 삼성은 PC 용 ARM 프로세서를 만들까? (8) 이름없는자 07-17 2866
13770 [기타경제] 베트남서 'K젤리' 열풍 선도..오리온 '마이구… (10) 스크레치 07-17 5411
13769 [전기/전자] LGD 대형 OLED 패널 사업 8년만에 흑전 '눈앞' (3) 스크레치 07-17 2774
13768 [전기/전자] 영국 유력 정치인의 경고..'중국이 반도체 패권 노린… (4) 스크레치 07-17 4338
13767 [전기/전자] "2030년까지 195조원 투자"..EU도 반도체 굴기? 삼성 SK 기회 … (7) 스크레치 07-17 2505
13766 [전기/전자] "中기업 수출규제 늘려라" 압박하는 美..中 반도체 굴기 … (3) FOREVERLU.. 07-17 1763
13765 [기타경제] 韓조선 "올해도 中넘는다" 고부가·친환경 선박 '싹쓸… (1) 스크레치 07-17 886
13764 [잡담] 엑시노스 2200, 6개의 GPU 유닛이 탑재? (5) 강남토박이 07-17 1496
13763 [기타경제] 세계10대 경제대국 순위 (세계은행 7월 최신판 기준) (13) 스크레치 07-16 6802
13762 [자동차] 제네시스 eG80, 1억짜리 전기차는 처음이라.. (4) 스크레치 07-16 2981
 <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